전출처 : 숨은아이 > 된바람에 창문이 덜컹덜컹

된바람에 창문이 덜컹덜컹한다. 우리가 세든 집은 안방과 바깥방(건넌방도 아닌)이 베란다(도 아닌, 그저 짐 쌓아놓고 빨래 너는 공간. --;)와 부엌으로 빙 둘러싸인 구조라서, 방 안에 있으면 겨울에도 그리 춥지 않다. 추운 집에서만 살아온 나는 다른 건 몰라도 이 집에서 그것 하나만은 마음에 든다. 컴퓨터가 있는 바깥방에선 발이 살짝 시리지만, 양말을 신으면 괜찮다. 그렇더라도 오늘 같은 날은 방 안 공기도 서늘하다. 바람벽을 스치는 소소리바람 소리에 살갗이 오소소 일어서는 것 같다. 황소바람이 새어드나 보다. 밖에 나가면 고추바람에 귀가 시리겠다. 어느 님이 어제 가랑눈을 보았다 하셨는데.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사전]에 따르면,
된바람 : 빠르고 세게 부는 바람. ‘북풍’을 뱃사람들이 이르는 말.
소소리바람 : 회오리처럼 휘몰아 불어오는 바람. 이른 봄에 살 속을 기어드는 듯이 맵고 찬 바람.
황소바람 : 좁은 곳으로 가늘게 불어오지만 매우 춥게 느껴지는 바람.
고추바람 : 살을 에듯 독하게 부는 몹시 찬 바람.
가랑눈 : 조금씩 잘게 부서져 내리는 눈.

* 조선 중기에 들어온 고추의 본래 이름은 고초(苦草)였다.
글자 그대로 풀이하자면 ‘쓴 풀’이라고 하겠는데, 옛날 사람들은 고추의 매운맛을 ‘쓰다’고 표현했다. 반면에 ‘맵다’는 말은 고되고 독한 것을 나타낼 때 썼다. ‘고초’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소리의 변화를 일으켜 ‘고추’가 되었다. 고추의 특성인 매운맛이 다른 사물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고되고 독한 일이나 사람을 가리키는 비유로 널리 쓰이고 있다. 예를 들면 ‘고추 같이 매운 시집살이’ ‘고추바람’ 등이 그것이다. 뿐만 아니라 길쭉하고 뾰족한 그 모양에 착안하여 그와 비슷한 모양을 한 사물에도 고추라는 이름이나 별명을 지어 불렀다. 아들을 가리키는 ‘고추’, 끝이 뾰족한 ‘고추감’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에서.

그러니깐 고초 -> 고추 -> (고추의 ‘쓴맛’을 고되고 독하다는 뜻인 ‘맵다’는 말로 표현하게 됨) -> 매운 성질을 지닌 것에 ‘고추’라는 말을 붙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