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네 장 담그기 우리문화그림책 온고지신 6
이규희 글, 신민재 그림 / 책읽는곰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 장이 고추장 된장 간장이야,,"
라고 묻습니다
이책을 받자마자 혼자서 열심히 읽더니 엄마이책참 재미나다,,
"엄마 우리도 장담가 먹자"
라고 말하는 말에 허참,,하고 웃어버렸다,,

솔직히 말하면 나도 장담글줄 모른다
요즘 내또래 엄마중에 장담글줄 아는 엄마들이 얼마나 될까?
정말 궁금하다
요즘 한창 김장철에 장담그는 철이라고 한다
김장은 이제 혼자서도 할 수있는데 장담그는것은,,
아직 한번도 해본적이 없다
어릴적에는 엄마가 장담그는것을 옆에서 구경하고 메주쓸때부터 옆에 딱 붙어 앉아서 메주콩주어먹던 나,,
오늘 나도 아이랑 함께 이책을 읽으면서 장담그기를 아주 열심히 배웠다
엄마 장담그는날 류를 데리고 가서
장담그는것을 한번 보여주어야겠다



가을이는 시골 할머니집으로 이사와서 처음으로 심은 콩수확하지요
콩을 수확하고 나서 그 콩으로 무엇을 하냐하면
좋은 콩을 잘 골라서
콩을 맛나게 삶아 메주를 만든다
그리고 메주를 띄운다고 말을 한다
메주가 잘 띄어지면 메주에는 희끗희끗 곰팡이가 피는데 어르신들은 이 곰팡이보고 아주 이쁜꽃이라고 말을 한다
곰팡이가 이쁘게 피어야 맛난 메주가 된다고 한
하기야 내가 어릴적에 아랫목에 메주를 한참 띄우면 그 캐캐한 냄새에 코를 막으면
먹을때는 좋아하는것이,
라고 하던 엄마의 말이 생각이 난다
그리고 나서,,
짚으로 메주를 달아 둔다



메주를 말린후에 이제 본격적으로 장담그기 시작
메주를 깨끗이 씻고
소금도 준비하고
장독도 잘 씨어 놓고
저렇게 장독에 연기를 쐐어서 벌레도 잡고 소독도한다고 한다,,



그렇게 제일먼저 간장을 만든다
시간이 흘러 그 안에는 들어가는것은 다 이유가 있다

소금물과 매주, 그리고 숯 고추. 대추도 넣어 새끼줄로 금줄도 치고 하얀 버선본도 거꾸로 붙여서 귀신을 쫒아버린다고 하네요
그래야 장맛이 최고래요
그렇게 시간이 흘러 봄이 되면
장이 맛나게 담가지면 메주를 꺼내어서 된장도 만들고
가장은 거르막에 걸러 보관 그러면완성,,


하얀버선을 항아리에 붙이는것은 나도 처음알았다
이야기를 읽으면서 아주 재미난 우리나라 장담그기를 배웠다
점점 공장에서 만들어 파는 인스턴트에 길들여지는 우리들
우리아이들시대가 되면 어쩌면 집에서 장을 담가 먹는 사람이 없어질지도 모르겠다
이렇게 좋은 풍습을,,


간장과 장담그기를 잘 배워서 아이랑 한번 도전을 해보자,
잊혀져 가는 우리네 풍습을 아이들이랑 배우는데 참좋은 그림책이다
멋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