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5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박찬기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 목련꽃 그늘 아래서 베르테르의 편질 읽노라 ]라는 가곡 사월의 노래의 한 구절로 기억되는 베르테르를처음 안 것은 고등학교때이다. 데미안과 더불어 막연한 동경의 대상이기도 한 그는 결코 비극적 결말을 맞이한 주인공이 아니었다. 서글픈 결말마저 그토록 아름답게 만든 폭풍과 같은 열정을 가슴에 품은 순수한 청년이었다. 그의 자살마저도 순수함의 극치로 여겨졌다. 그는 결코 사랑으로 구원받지 못한 이가 아니었다.
그리고 지금 베르테르를 다시 만난다. 그때의 나와 지금의 나를 다시 만난다.그의 편지를 하나하나 다시 읽어본다. 아마 그때의 나는 작은 행복 뒤에 찾아온 절망의 선율을 알지 못했을 것이다. 이제서야 로테를 사랑하기 전과 후의 시공간에 행복이라는 단어를 허락하지 않은 신을 원망하는 그의 고뇌를 느낀다. 로테와 함께하는 작은 행복감과 그 뒤에 찾아오는 폐부를 내리누르는 절망감 사이에서 안절부절 못하는 그를 이해할수 있다. 동조하지는 않지만 결국 고뇌의 방아쇠를 당기고만 그의 마지막 절규를 듣는다.
아홉명의 여인과 염문을 뿌린 괴테는 약혼자가 있는 여인을 사랑하다 상처받는 경험을 했다. 그리고 그의 친구 예루살렘이 유부녀와의 사랑에 상처받아 권총 자살을 한 일을 계기로 이 소설을 집필했다. 어쩌면 그의 모습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베르테르를 통하여 그는 자신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베르테르를 죽임으로써 괴테는 절망에서 벗어나 살아남은 것인지도 모른다. 우리 또한 마찬가지가 아닐까. 절망과 시련의 중압감을 베르테르에게 무거운 삶의 무게로 지우고 고뇌에 찬 총부리를 그의 머리에 겨누고 마는 것이다. 베르테르는 죽고 우리는 남는다.그리고 남겨진 우리는 다시 살아가고 사랑하는 것이다.
삶이든 사랑이든 패배와 실패에 한 조각의 여백조차 남겨두지 않는 경우는 없다. 그만큼 가능성이 남겨져 있다는 말이다. 일단은 살아보고 사랑하는 것이다. 그것이 설령 운으로 맞이하게 되는 작은 행복이어도 좋고 가슴을 난도질하는 시련이어도 좋다. 결국 다시 사랑하고 살아간다는 것은 절망의 선율과 시련의 중압감을 벗어버릴수 있는냐 없는냐의 문제이다. 다시 살아가고 사랑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