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선비 살해사건 1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6년 6월
평점 :
제목을 보니 꽤 자극적이다.『조선 선비 살해사건 1』이다. 얼핏 보기에는 공포나 추리소설 같다. 하지만 책을 펼치면 조선의 역사가 눈앞에 생생하게 그려진다. 이른바『사화로 보는 조선역사』가 새롭게 태어났다. 탄탄한 학문적 소양을 바탕으로 쉽고 가볍게 전달해 주고 있어 예전보다 많이 흥미로워지고 친절해졌다.
일찍이 토인비는『역사의 연구』에서 이 문제에 대해 인상적인 말을 남겼다. 그는『일리아드』를 예를 들면서 역사로서 읽기 시작한 사람은 창작으로 가득차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창작으로 읽기 시작한 사람에게는 역사로 가득차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결국 역사가는 동시에 위대한 예술가가 아니고서는 위대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이쯤 되면 이 책이 왜 친절한 역사서인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와 창작이라는 방법을 아주 절묘하게 배치하고 있다. 그러면서 팽팽한 긴장감을 한시라도 책 밖으로 나가게 하지 않고 있다. 더구나 역사에 대해 보다 인간적인 대중적 글쓰기를 하고 있는 이덕일이라는 저자의 작품이다 보니 책 표지를 한 번 보았는데도 안 읽을 수 없게 만들었다.
이 책은 살인 사건을 다루다 보니 많은 인물들이 나온다. 그중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고 생소한 사람들도 있다. 정도의 차이가 있겠지만 이들 모두는 피로 얼룩진 조선의 창업에서부터 점차 권력화되는 과정에서 살생부(殺生部)라는 살인 사건을 만들어낸다. 즉 권력이라는 게임에서 이기는 자는 살아남고 패한 자는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또한 권력을 움켜진 자들은 다시 한 번 그들끼리 대의명분 없는 권력을 놓고 경쟁하면서 피비린내 나게 했다. 어제의 동지가 내일에는 역적이 되는 권력의 비정함은 예사롭지 않았다.
그런 면에서 태종의 눈물은 매몰차다. 악어의 눈물로 불린다. 권력의 소용돌이 한가운데서 부대끼며 성장하는 것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1차 왕자의 난으로 이복형제를 2차 왕자의 난으로 동복형제를 그리고 왕이 되어서는 처남들을 처참하게 살인한다. 그것도 부족하여 세종에게 왕을 양위하더니 세종의 장인을 사사하고 장모를 노비로 만들어 버린다.
하지만 이런 권력에 맞서 죽음을 맞이한 사람들도 있다. 고려 말 혼란한 정국에서 최영의 유언은 한결 엄하고도 진솔하다. “남에게 해가 되는 일을 했다면 내 무덤에 풀이 필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풀이 피지 않을 것이다”라고 했다. 또한 이방원이 <하여가何如歌>로 정몽주의 마음을 사로잡고자 했으나 정몽주는 <단심가丹心歌>로 답하면서 조선의 창업에 반대했다. 그리고 세조의 왕위 찬탈에 박팽년, 성삼문 같은 사육신들이 죽음으로 부당함을 호소했다.
이렇듯 권력을 사이에 놓고 비극적인 살인 사건을 보고 있으려니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권력은 단지 부의 상징만은 아니었다. 권력은 당대의 영웅이고자 했던 자들에게는 어쩔 수 없는 필요악이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권력자들의 쓸쓸한 몰락은 과거의 사실로 기억될 뿐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라는 것이다. 살인자인 동시에 살해의 대상이 된다.
그렇다면 우리가 선비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어땠을까? 그들은 살해의 대상이었다. 이유인즉 그들은 ‘얄미운 자’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의 충성은 하늘을 따르는 의(義)였다. 반면에 이(利)에 부화뇌동하는 자들은 피비린내 나는 힘겨루기를 해왔다. 이것이 사화(士禍)의 갈등을 일으키는 엄청난 권력의 불균형이었다.
저자는 조선의 역사를 되돌아보면서 지식인의 칼날을 날카롭게 들이대고 있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정도전 대 정모주라는 인물들의 대결구도를 파란만장한 삶으로 녹여내면서 동시에 그들이 어떻게 역사에 등장하였는지? 그리고 어떻게 몰락했는지? 선비 살인 사건을 통해서 파헤치고 있다.
저자의 이런 덕택에 선비들의 죽음은 무모하지 않았다. 오늘날 우리가 선비정신이 부활하기를 바라는 것은 혼탁한 우리 시대에 참다운 선비가 없는 아쉬움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 선비들의 의(義)로운 목소리를 듣는 것이 무엇보다도 통쾌했다. 그 옛날 이덕무가 책을 읽는 이로움이 지식의 확장이 아니라 답답한 가슴이 속시원하게 된다고 했는데 정말로 그런 기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