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단어들 - 삶의 장면마다 발견하는 순우리말 목록
신효원 지음 / 생각지도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과 글을 풍요롭게 하는 순우리말의 향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사랑한 단어들 - 삶의 장면마다 발견하는 순우리말 목록
신효원 지음 / 생각지도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언어는 존재의 집이다.

-하이데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하면서 사람들과 소통을 하고 있다.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소셀 네트워크 공간에서는 본명 보다는 필명, 즉 닉네임을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쉽게 말하면 별명(別名)이다. 나는 몇 번의 닉네임을 바꿔가면서 비로소 내 성격에 맞는 단어를 찾았다. 바로 오우아. 겉으로 보면 오우아는 모음의 연속이며 무엇보다도 무슨 말인지 도무지 알 수 없다. 하지만 오우아는 사연이 있는 단어다. 오우아는 이덕무 선생이 쓰던 오우아거사(五友我居士)’를 줄여 쓴 말이다. 풀이하면 내가 나의 벗이라는 뜻이다.

 

우리는 한글이라는 독특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앞서 말했듯 우리가 일상에서 무심코 쓰는 말이 한국어라고 생각하는 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물론 정반대로 외국어라고 생각했는데 한국어인 경우도 적지 않다. 요즘같이 신조어가 다양하게 만들어지는 상황에서 한국어에 대한 정체성이 혼란스럽다. 굳이 번거롭게 정체성을 따지느냐고 반문할 수 있겠지만 우리에게 언어적 소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상대방과 말하는 차원이 아니라 소통하기 위해 그렇다.

 


그런 면에서 신효원의우리가 사랑한 단어들은 매우 반가운 책이다. 한국어를 전공한 저자는 자연스럽게 삶의 장면에서 순우리말을 발견했다. 순우리말은 100% 우리말이다. 다시 말하면 순우리말은 한자, 일본어, 영어 등 다른 언어가 섞이지 않았다. 내가 즐겨쓰는 오우아라는 닉네임은 비록 우리말이라고 하더라도 순우리말이라고 할 수는 없다. 결과적으로, 이금희 방송인의 말을 빌리자면 순우리말은 ‘AI가 쓸 수 없는 글이라는 사실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밑줄을 그어 가며 책을 읽는다고 말했다. 마음에 새겨두고 싶은 문장, 나를 움직인 문장에 밑줄 그어 가며 자신만의 역사를 영글(영글다: 과실이나 곡식 따위가 알이 들어 딴딴하게 잘 익다)’었다. 그리고는 조금 더 나은 사람이 되고자 열망하며 드레있는 아름다운 사람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런데 왜 하필 드레일까? 드레의 순우리말은 인격적으로 점잖은 무게를 뜻한다. 드레와 점잖은 무게의 연결고리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

 

이렇듯 저자는 잊지 못할 삶의 장면을 이야기하면서 동시에 일상적인 단어의 아름다움을 발견했다. 특히 우리 입에 익지 못한 순우리말을 사랑하였다. 책을 읽는 사람들의 공통점이랄까? 책을 읽다가 어느 순간 내가 모르는 단어를 알게 되었을 때 흐무뭇함(매우 흡족하여 만족스럽다)’은 이루 말할 수 없다. 놀랍게도 내가 모르는 단어들은 대부분이 순우리말이었다.


책 구석구석에는 저자의 순우리말에 대한 마음새(마음을 쓰는 성질)가 고스란히 느껴졌다. 마치 숨겨진 보석을 찾듯 숨겨진 단어를 찾는 것처럼 새삼스럽게 흥미로웠다. 또한 눈물, 웃음, 이야기 하나하나 새겨진 순우리말에 열중하는 한결같이(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꼭 같다) 열중하는 모습이었다. 우리는 이토록 곰살스러운(다정하고 부드러운 사람)’에게 끌릴 수밖에 없지 않은가?

 


가령, 걸음을 부르는 순우리말은 이렇다. 기운이 없어 비틀거리며 걸을 때는 허영허영하다’, 나쁜 소식을 듣거나 울적한 일이 생겼을 때 걸음에 힘이 빠져 쓰러질 듯한 걸음은 허전거리다’, ‘저춤거리다라고 한다. 반면에 힘없는 것과 관계없이 느릿느릿 걸음은 느실느실하다’, 아름다운 산책로를 걸을 때 한 걸음 한 걸음 꼭꼭 눌러 담아 천천히 걸음은 발밤발밤하다이다.

 

순우리말을 듣고 있으면 일상적인 말보다 더욱 실감 난다. 그만큼 삶의 모습을 감각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은 단순히 순우리말을 그러모아둔(흩어져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거두어 한 곳에 모으다)’ 단어집이 아니라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하는 말과 글의 향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전의 사계
손정수 지음 / 은행나무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계절로 재해석되는 고전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전의 사계
손정수 지음 / 은행나무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고전(古典)에 대해 간단하면서 명쾌한 정의를 찾아보면, 이탈로 칼비노(Italo Calvino, 1923~1985)왜 고전을 읽는가에 나오는 고전이란 독자들에게 들려줄 것이 무궁무궁한 책이라는 이야기입니다. 흔히 고전이라고 하면 읽지 않아도 마치 읽은 것 같은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고전 딜레마에 빠진 나머지 고전에 나오는 지식을 암기하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제가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을 읽은 까닭도 고전이라는 타이틀 때문이었습니다. 물론 처음에는 제대로 완독할 수 없었습니다. 젊은 청년이 가난 때문에 노파를 죽였다는 내용에는 뭔가 특별한 메시기가 없다고 여겼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죄와 벌에 대한 의문이 생겼습니다. 청년이 왜 노인을 죽였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궁금한 나머지 다시 읽어보니 로쟈(소설의 주인공)이 나폴레옹을 영웅으로 생각했으며, 자신 또한 나폴레옹이 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영웅심으로 로쟈는 노파의 살해를 정당화합니다. 다시 말하면 가난이라는 운명에 복수하려고 한 게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도 같은 맥락으로 읽었습니다. 83일 동안 고기를 한 마리도 잡지 못한 늙은 어부가 운 좋게도 큰 고기를 잡았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상어의 공격을 받게 되고 사투를 벌인다는 내용입니다. 상식적으로 보면 어부가 고기를 잡는 내용은 놀랍지 않습니다. 평생을 어부로 살았으니까요. 문제는 운이 끝났다고 비난을 받은 어부가 끝까지 고기를 잡으려고 하는 데 있습니다. 어쩌면 이 또한 어부의 운명이 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작가는 운명이 아닌 다른 메시지를 보여줍니다. 바로 사자 꿈입니다. 그래서 노인은 실패는 하더라도 패배는 할 수는 없다는 묵직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불변의 가치를 지닌 위대한 작품인 고전을 새롭게 인식하고자 손정수의 비평 에세이 고전의 사계를 읽었습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타이틀은 비평입니다. 고전을 읽고 쓰는 리뷰는 한 편의 에세이입니다. 하지만 리뷰는 감상에 가깝습니다. 반면에 비평은 고전에 대한 안목입니다. 고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없이는 비평할 수 없습니다. 특히 저자는 고전의 창작 과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는 작가 자신의 삶의 문제와 깊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작가 자신이 곧 소설 속 주인공으로 등장하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저자는 문학작품의 주인공을 이해하기 위해 노스럽 프라이의 비평의 해부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비평의 해부를 살펴보면 역사비평에서 문학작품의 서사 양식를 신화, 로맨스, 상위모방, 하위모방, 아이러니로 구분합니다. 이에 따라 주인공은 신적 존재, 반인반신, 영웅, 보통사람, 인간이하 존재가 됩니다.



그리고 이 책에서 가장 독창성인 부분은 원형 비평입니다. 원형 비평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극의 구성원리를 말하는 데 뮈토스(플롯)’을 시간적 원리로 놓고 디아노이아(테마)’를 공간적 원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 뮈토스 시간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계절의 순환이 희극, 로맨스, 비극, 아이러니라는 서술 패턴과 대응한다는 점입니다.


그러고 보니 이 책의 제목이 왜 고전의 사계(四季)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비평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저자는 나름대로 사계에 대한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즉 희극의 뮈토스인 봄을 소설의 열린 결말과 인류의 미래로 해석합니다. 여기에 대한 작품이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으로 전개됩니다. 이러한 논리로 보면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은 아이러니의 뮈토스로 겨울이며 인간의 고뇌로 빚은 시대의 초상으로 그려집니다. 반면에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는 가을의 뮈토스로 가을이며 삶의 미궁과 이야기의 미로로 평가됩니다. 마지막으로 여름은 비극의 뮈토스이며 현실의 압력을 뚫고 나오는 환상의 힘을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으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돌이켜보면, 고전을 바라보는 시선은 각양각색입니다. 요즈음은 AI가 작품을 요약하고 정리해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작품에 대한 논리적인 맥락과 숙고하는 과정이 없다고 하면 고전에 대한 무궁무궁한 가치를 잃어버리게 될 것입니다. 손정수의 비평 에세이를 읽으면서 고전이 시대에 따라 재해석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비평이라는 정교하고 논리적인 사고의 결에 따라 고전에 대한 안목이 훨씬 풍부해지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밤에만 착해지는 사람들 시인의 마음을 받아쓰며 내 마음을 들여다보는 필사 에세이
오은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의 투명한 자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