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25 - 사과와 링고
이희주 외 지음 / 북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착한 여자의 섬뜩한 사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25 - 사과와 링고
이희주 외 지음 / 북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 시대 가장 주목해야 작가와 작품의 보고(寶庫)이효석 문학상 수상작품집 2025은 삶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이야기하고 있다. 수상작품집에는 대상으로 선정된 이희주의 사과와링고를 비롯하여 각양각색 다섯 편의 우수작품이 실려 있다. 그중에서도 사과와 링고는 착한 여성의 반전을 볼 수 있다. 파국적 결말을 깊이 있게 그려낸 섬뜩한 이야기다.

 


사과와 링고는 두 자매의 팔자(八字)에 질투 섞인 감정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겉으로 보면 언니와 동생의 불편한 관계이다. 그러니까 언니(사라)는 동생(사야)를 보살펴야 하는 팔자를 타고났다는 편견 속에 놓여 있다. 소설은 사야는 이번이 마지막이라고 하면서 사라에게 돈을 빌린다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문제는 마지막이라는 말이 화가 날 정도로 거짓말인 줄 알면서도 끝내는 가족이라는 이름 앞에서 사라의 미운 감정이 속절없이 사그라진다는 점이다. 이상하게도 동생의 거짓말이 점점 커질수록 언니로서의 깊은 걱정과 사랑이 점점 부각된다는 사실이다.

 

작가는 자매를 통해 인간의 정체성을 말하며 미묘한 긴장감을 불러일으킨다. 자매는 정반대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사라가 아름답지 않는 평범한 여성이라면 사야는 타고난 아름다움을 지닌 고양이상 미녀이다. 또한 사라가 억척스럽게 살면서 자신의 삶을 만들어가는 반면에 사야는 아름다움에 몰입한 나머지 아름다움에 최선을 다한다. 어쩌면 궁핍한 생활속에서도 고양이 두 마리를 기르는 사야의 심리는 일종의 판타지에 가깝다.

 

작가는 사야의 정신적 위기 상황을 관찰하면서 인간은 누구나 애완동물이 되고 싶다는 것은 묘사하고 있다. 작가의 말을 빌리자면, “먹여주길 바라고, 재워주길 바라고, 이유 없이 사랑받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동생의 행동은 애완동물의 팔자 같았다. 자신이 원하는 걸 위해 노력하지 않고 오히려 보호받으려는 행동이라고 할까? 마치 돈 많은 여자를 만나 살면서 셔터맨이 되고 싶은 남자의 고백이나 다를 바 없다. 언니와 동생의 차이점은 단지 애완동물이 되는 팔자인지 아닌지에 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특히 인상 깊었던 순간은 사라가 고양이들을 보고 돈 먹는 하마라고 말할 때이었다. 그녀가 돌보는 고양이들의 이름은 이 소설의 제목이기도 하다. 사과와 링고는 치료하기 힘든 병을 앓고 있어 돈 먹는 하마라는 핀잔을 듣게 된다. 애완동물이 되는 팔자인 그녀에게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고양이들이 돈 먹는 하마가 되어도 좋을 나름대로 애정을 가지고 있으니까.

 

하지만 사라의 절망적인 입장에서 보면 정말이지 고양이가 아니라 돈 먹는 하마일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돈 먹는 하마를 감당하느라 경제적 활동이 불안한 그녀의 동생이 오히려 돈 먹는 하마가 되는 악순환은 간과할 수 없는 일이었다. 결국에는 이렇게 살아봐야 더 좋은 삶을 살 수가 없다는 불안감이 그녀의 착한 심성을 파괴하게 된다.

 

이렇듯 사과와 링고는 누구나 한 번쯤 마주하게 될 애완동물의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혼란과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담아내고 있다. 사야의 고양이들을 죽이는 사라의 행동은 사랑일까? 아니면 파괴일까? 가장 강렬한 단절은 죽음밖에 없다. 고양이들의 흔적을 지워야 하는 운명은 얼마나 아름다운 복수(復讎)인가? 복수는 복수가 아닌 듯 계속된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이효석문학상 사과와링고 너는별을보자며 삽 빈티지엽서 옮겨붙은욕망 우리들의적이산을오를때 이효석문학상수상작품집20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사랑한 단어들 - 삶의 장면마다 발견하는 순우리말 목록
신효원 지음 / 생각지도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과 글을 풍요롭게 하는 순우리말의 향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사랑한 단어들 - 삶의 장면마다 발견하는 순우리말 목록
신효원 지음 / 생각지도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언어는 존재의 집이다.

-하이데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하면서 사람들과 소통을 하고 있다.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소셀 네트워크 공간에서는 본명 보다는 필명, 즉 닉네임을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쉽게 말하면 별명(別名)이다. 나는 몇 번의 닉네임을 바꿔가면서 비로소 내 성격에 맞는 단어를 찾았다. 바로 오우아. 겉으로 보면 오우아는 모음의 연속이며 무엇보다도 무슨 말인지 도무지 알 수 없다. 하지만 오우아는 사연이 있는 단어다. 오우아는 이덕무 선생이 쓰던 오우아거사(五友我居士)’를 줄여 쓴 말이다. 풀이하면 내가 나의 벗이라는 뜻이다.

 

우리는 한글이라는 독특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앞서 말했듯 우리가 일상에서 무심코 쓰는 말이 한국어라고 생각하는 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물론 정반대로 외국어라고 생각했는데 한국어인 경우도 적지 않다. 요즘같이 신조어가 다양하게 만들어지는 상황에서 한국어에 대한 정체성이 혼란스럽다. 굳이 번거롭게 정체성을 따지느냐고 반문할 수 있겠지만 우리에게 언어적 소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상대방과 말하는 차원이 아니라 소통하기 위해 그렇다.

 


그런 면에서 신효원의우리가 사랑한 단어들은 매우 반가운 책이다. 한국어를 전공한 저자는 자연스럽게 삶의 장면에서 순우리말을 발견했다. 순우리말은 100% 우리말이다. 다시 말하면 순우리말은 한자, 일본어, 영어 등 다른 언어가 섞이지 않았다. 내가 즐겨쓰는 오우아라는 닉네임은 비록 우리말이라고 하더라도 순우리말이라고 할 수는 없다. 결과적으로, 이금희 방송인의 말을 빌리자면 순우리말은 ‘AI가 쓸 수 없는 글이라는 사실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밑줄을 그어 가며 책을 읽는다고 말했다. 마음에 새겨두고 싶은 문장, 나를 움직인 문장에 밑줄 그어 가며 자신만의 역사를 영글(영글다: 과실이나 곡식 따위가 알이 들어 딴딴하게 잘 익다)’었다. 그리고는 조금 더 나은 사람이 되고자 열망하며 드레있는 아름다운 사람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런데 왜 하필 드레일까? 드레의 순우리말은 인격적으로 점잖은 무게를 뜻한다. 드레와 점잖은 무게의 연결고리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

 

이렇듯 저자는 잊지 못할 삶의 장면을 이야기하면서 동시에 일상적인 단어의 아름다움을 발견했다. 특히 우리 입에 익지 못한 순우리말을 사랑하였다. 책을 읽는 사람들의 공통점이랄까? 책을 읽다가 어느 순간 내가 모르는 단어를 알게 되었을 때 흐무뭇함(매우 흡족하여 만족스럽다)’은 이루 말할 수 없다. 놀랍게도 내가 모르는 단어들은 대부분이 순우리말이었다.


책 구석구석에는 저자의 순우리말에 대한 마음새(마음을 쓰는 성질)가 고스란히 느껴졌다. 마치 숨겨진 보석을 찾듯 숨겨진 단어를 찾는 것처럼 새삼스럽게 흥미로웠다. 또한 눈물, 웃음, 이야기 하나하나 새겨진 순우리말에 열중하는 한결같이(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꼭 같다) 열중하는 모습이었다. 우리는 이토록 곰살스러운(다정하고 부드러운 사람)’에게 끌릴 수밖에 없지 않은가?

 


가령, 걸음을 부르는 순우리말은 이렇다. 기운이 없어 비틀거리며 걸을 때는 허영허영하다’, 나쁜 소식을 듣거나 울적한 일이 생겼을 때 걸음에 힘이 빠져 쓰러질 듯한 걸음은 허전거리다’, ‘저춤거리다라고 한다. 반면에 힘없는 것과 관계없이 느릿느릿 걸음은 느실느실하다’, 아름다운 산책로를 걸을 때 한 걸음 한 걸음 꼭꼭 눌러 담아 천천히 걸음은 발밤발밤하다이다.

 

순우리말을 듣고 있으면 일상적인 말보다 더욱 실감 난다. 그만큼 삶의 모습을 감각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은 단순히 순우리말을 그러모아둔(흩어져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거두어 한 곳에 모으다)’ 단어집이 아니라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하는 말과 글의 향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전의 사계
손정수 지음 / 은행나무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계절로 재해석되는 고전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