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책 (100쇄 기념판) 웅진 세계그림책 1
앤서니 브라운 글 그림, 허은미 옮김 / 웅진주니어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읽다 보면 웃음이 나는 재밌는 책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감동도 한 몫 합니다. 그래서 인지『돼지책』은 오랫동안 아이들이 좋아하는 그림책입니다. 그것은 곧 어른들에게 한 번쯤 읽어보게 합니다. 과연 이 그림책이 무엇을 그리고 있는지? 무엇이 아이들의 마음을 잡고 있는지? 그 속내가 무척이나 궁금증을 불러 일으킵니다.

『돼지책』이라는 제목부터 흥미롭습니다. 제목을 하나만으로 이 책이  돼지에 관한 책이겠지, 하면 상상력이 부족한 탓입니다. 이 책은 사람이 어떻게 돼지로 변하는지 앤서니 브라운의 독특한 시각으로 잘 드러나 있습니다. 아이들에게 돼지는 친근하면서도 아이러니하게도 놀림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흔히 돼지 같다고 하면 ‘나만 괜찮다’고 생각하는 아주 이기적인 사람을 말합니다.

이 책에 나오는 피곳 씨와 두 아들이 돼지증후군이라는 심각한 병에 걸렸습니다. 피곳 씨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회사였습니다. 그리고 두 아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학교였습니다. 이로 인해 집 안 일은 하나에서 열까지 피곳 씨 부인이 해야만 했습니다.  이런 피곳 씨 부인의 가사 노동이 어느 정도인지 이 책의 표지를 보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어른 한 명을 업기도 힘든데 아이 둘까지 업고 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메모 한 장을 남겨두고 피곳 씨 부인이 가출합니다. ‘너희들은 돼지야’라는 짤막한 내용에서 한껏 긴장된 부인의 음성이 생생하게 들리는 듯 했습니다. 한 동안 다음 장으로 넘기지 못하게 했는데 나 또한  이 병의 바이러스에 노출된 탓입니다. 그만큼 공감했습니다. 피곳 씨 부인이 가정부처럼 살아야 하는 것은 아무래도 가족의 책임이 큽니다.

며칠 동안 아내이자 엄마가 없는 집 안을 생각해보면 눈앞이 캄캄해집니다.  집 안이 돼지우리처럼 변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무엇보다도 아내가 없다보니 반겨주는 사람이 없어 외로움이 만만치 않습니다. 아내의 빈자리가 새삼 이런 것이구나, 충분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집 안에서 돼지증후군이란 쉽지 않은 내용을 유쾌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집 안 일을 도와주지 않는 가족들에게 엄마의 가출은 효과만점입니다. 비로소 엄마의 행복이 무엇인지 가족들이 알게 되었습니다.

예전과는 달리 아빠가 요리하고 아들이 청소하면서 엄마의 집안 일을 도와주는 따뜻한 변화를 보니 마음이 흐뭇해졌습니다.  또한『돼지책』에 나오는 피곳 씨같은 사람이 바로 자기자신 일 수도 있겠구나, 생각하니 그동안 이런 사실을 모르고 살아온 게 놀라웠습니다. 이제는 가족 모두의 행복을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