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1원칙 사고 - 원점에서 시작하는 일론 머스크식 문제 해결법
안유석 지음 / 처음북스 / 2025년 6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1960년대가 끝나기 전에 달에 가겠다”고 선언했다. 사람들은 이러한 계획은 미친 짓이며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1969년 닐 암스트롱은 아폴로 11호를 타고 달에 첫발에 내린 역사적인 장면으로 세상을 놀라게 했다. 이로 인해 문샷 사고(Moonshot Thinking)라는 말이 생겨났다. 달(moon)로 쏘아올린(shot) 것처럼 불가능한 목표를 달성하려는 사고방식을 말한다.
우리 시대 혁신의 아이콘 일론 머스크를 ‘문샷 사상가’라고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는 2021년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이다. 그는 다양한 미래지향적 산업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개척자의 모습을 보여줬다. 기존 산업이 가진 문제를 파악하고 극복했으며 결과적으로 혁신을 만들었다. 전기차에서부터 우주 및 인공지능 산업까지 그의 위대한 혁신은 인류의 미래를 발전시키는 새롭고 흥미로운 일이었다.
그러면 세계 최고로 성공한 그의 혁신 비결은 무엇일까? 안유석의 『제1원칙 사고』를 읽으면 해답을 얻을 수 있다. 바로 ‘제1원칙 사고’다. 제1원칙 사고는 고정 관념에서 벗어난다. 그리고는 모든 문제를 가장 근본적인 요소부터 재정의해서 다시 생각하는 것이다.

가령, 그는 테슬라를 전기차의 대표 브랜드로 혁신시켰다. 2000년대 중반 전기차는 ‘바퀴 달린 골프 카트’의 수준이었다. 주행 거리와 성능의 한계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는 전기차를 대중화시키는 방법으로 “왜 전기차는 비쌀까?”라는 의문을 제기하고 물리적 관점으로 해부했다. 결과적으로 그는 배터리라는 근본적인 본질을 파악했다. 기존의 전기차가 큰 단위의 배터리 셀이었다면 테슬라는 작은 셀을 다량으로 연결하여 고출력, 대용량 배터리팩을 완성했다.
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능하게 하는 제1원칙 사고에는 다음과 같이 5가지 핵심 구성요소가 있다.
-문제를 정확히 정의하는 기술
-본질을 쪼개는 근본 요소 분석
-기본 원리로 다시 조립하기
-실험하고 검증하여 답을 찾다
-논리적 사고와 수학적 사고를 활용하는 법
위의 5가지 핵심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뭔가 특별한 게 없다는 느낌이다. 하지만 5가지 핵심 구성요소에서 중요한 사항은 순서에 있다. 다시 말하면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문제의 본질을 쪼개고 나서 기본 원리로 다시 조립하는 가장 창의적인 단계에 이를 수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현실에서 얼마나 유효한지 철저한 검증을 하기 위해 실험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만약에 앞의 순서를 생략하거나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문제의 해답을 찾는다면 실패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래서 본질을 쪼개는 방법으로 ‘5 Whys’기법을 실생활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특정 현상에 대해 연속적으로 “왜 그런가?”를 다섯 번 정도 질문하면서 문제의 본질에 들어가는 기법이다. 즉, 문제에 대하여 질문을 던져 답을 얻으면 바로 그 답에 다시 “그렇다면 왜 그런 결과가 생겼는가?”라고 또다시 질문하는 것이다. 이렇게 5번 질문을 하면 즉각적인 해답이 아니라 좀 더 근본적인 원인을 발견하게 된다.

우리는 일론 머스크의 성공을 통해 거대한 사고 혁명을 알게 되었다. 결국 우리에게 필요한 생각의 힘은 ‘제1원칙’이었다. 세상에 당연한 것은 없다. 생각의 한계에서 벗어나 가장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야 한다. 모든 것에 궁금증을 갖고 새로운 해결책을 완성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