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
박현찬, 설흔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라는 흥미로운 책을 읽었다. 그것은 이 책에 나오는 지문의 심정과 같았다. 연암이 누구인가? 조선 최고의 문장가이다. 그러니 그분에게 글쓰기를 배울 수 있다면 이보다 더 멋진 인생을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그가 쓴 책들이 하나같이 금서(禁書)에 속한다. 이유인즉 정치적으로 험난한 탓도 있었지만 그 속내를 들여다보면 그의 글쓰기가 문제였다. 바로 문체반정(文體反正)을 파격적으로 휘몰아치고 있다.
가령, 연암은 우리에게 적오(赤烏) 즉 붉은 까마귀에 대해 아는 바를 써보라고 한다. 우리가 아는 한 까마귀는 검다. 그런데도 굳이 붉은 까마귀를 고집하는 것은 무엇일까?
이것을 유몽인의『어우야담』에 나오는 제비와 개구리에 비유할 수 있다. 놀랍게도 제비는『논어』를 일고 개구리는『맹자』를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제비는 ‘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시지야’(知之謂知知 不知謂不知 是知也)라고 지저귀며 개구리는 ‘독락악여중락악숙락’(獨樂樂與衆樂樂孰樂)이라고 운다는 것이다.
연암이 말한 붉은 까마귀라는 것도 실상 이렇다. 그는『연암집』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까마귀를 보라. 세상에 그 깃털보다 더 검은 것은 없다. 그러나 홀연히 유금(乳金)빛이 번지기도 하고 다시 녹색 빛을 반짝거리기도 하고, 더욱이 해가 비추면 자주빛이 튀어 올라 번득이다가 비취색으로 바뀌기도 한다. 그렇다면 내가 그 새를 두고 푸른 까마귀라 해도 좋을 것이고, 붉은 까마귀라 해도 문제될 것이 없다, 라는 것이다.
이처럼 연암의 비판적 글쓰기는 새롭다. 하지만 새롭다고 해서 언제나 파격적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연암은 이를 경계하고자 글쓰기의 세 단계를 주장하고 있다. 첫 번째는 법고(法古)의 원리이다. 책을 정밀하게 객관적 입장에서 관찰하라는 것이다. 두 번째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원리이다. 옛 것을 따르는 것과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조하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사이의 원리이다. 이는 법고와 창신의 대립을 넘어서는 것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연암의 사상을 현실감있게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의 호인다운 인간적인 면도 느낄 수 있다. 이 모두가 ‘인문실용소설’이라는 독서를 위한 쉽게 풀어 쓴 덕택이다. 이로 인해 옛 사람이라는 이유만으로 가까이 하기가 어려웠던 연암이 오늘날 우리 곁으로 친근하게 다가와서 어떻게 글을 써야 하는지? 알려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