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미켈란젤로는 13살에 기를란다이오(Domenico Ghirlandaio)의 제자로 들어갔으나 이듬해 로렌초 디 메디치의 주목을 받으면서 메디치家가 수집한 고대조각들을 자유로이 접하고 이를 통해 조각의 기술을 익혀갔습니다. 이 시기에 제작한 <센토들의 싸움>과 로마체제 중 제작한 <바쿠스>는 그의 초기 학습과정을 잘 보여줍니다(도1, 2).
|
 |
|
 |
 |
도1 미켈란젤로<센토들의 싸움>, 1492년경, |
대리석, 84.5×90.5㎝, 피렌체, 부오나로티의 집 |
|
| |
|
 |
 |
도2 미켈란젤로 <바쿠스> |
1497년, 대리석, 높이 203㎝, |
피렌체, 바르젤로 미술관 |
| | |
<바쿠스>(도2)는 로마의 조각을 그대로 모사한 듯하며 그리스 신화를 부조로 새긴 <센토들의 싸움>(도1) 또한 주제와 기법면에서 고대조각을 연상시킵니다. 그러나 20세를 전후하여 제작한 이 두조각에서 우리는 벌써 미켈란젤로의 특징을 느낄 수 있습니다. <센토들의 싸움> 의 수많은 군상들이 서로 부딪치고, 밀고, 당기는 투쟁과 갈등, 술에 취한 듯 넘어질 것 같은 <바쿠스>의 불균형 등은 그의 긴 생애에서 남긴 작품들 속에 언제나 배어있는 요소입니다. |
|
 |
 | |
|
 |
 |
1494년 그는 피렌체를 떠나 볼로냐에 잠시 머문 후 로마에 체재하였습니다. 이 기간 중 제작한 <피에타>(Pieta,도3)와 피렌체로 되돌아가 제작한 <다비드>(도4)는 그가 이전기간에 습득한 고전적인 조각기법의 완성을 보여줍니다.
|
 |
|
 |
 |
도3 미켈란젤로 <피에타>, 1499년, 대리석, 높이 174㎝ |
바티칸, 베드로 대성당 |
|
| | |
마리아의 섬세한 옷주름과 죽은 예수의 시신의 축 늘어진 근육묘사는 대리석으로 할 수 있는 가장 사실적인 묘사의 단계로 이끌었습니다. 24세였던 미켈란젤로도 자신이 이룬 기술의 완성에 만족한 듯 합니다. 수많은 그의 작품들이 미완성으로 끝나고, 모두 서명이 없는데, 이 작품에만 그가 싸인을 남겼다는 것만으로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의 싸인은 마리아의 가슴을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띄에 새겨있습니다. 그러나 이 작품의 세부묘사는 사실적이지만 구조나 도상은 임의의 설정이 우선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피라밋형의 안정된 구조를 지니고 있는데 미켈란젤로는 이 안정감을 만들기 위해 마리아의 어깨와 치마폭을 좀 더 넓게 잡고 있습니다. 마리아가 죽은 예수를 무릎에 앉혀놓는 자세는 중세부터 내려온 도상인데, 이와 더불어 마리아는 33살의 아들이 있는 어머니이기보다 수태고지를 받던 10대의 소녀 나이입니다. 순결한 성처녀 마리아를 강조한 도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피렌체가 아직 공화정으로 있을 때 시장은 곤팔로니에레(Gonfaloniere, 군대 최고 지휘자)의 커다란 방 양쪽 벽에 피렌체가 치룬 전쟁의 그림을 주문하였습니다. 하나는 1440년 밀라노군을 퇴각시킨 <앙기에리 전투> 이며, 다른 하나는 피사 근처에서 치룬 <카시나 전투> 전자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에게(1503) 후자는 미켈란젤로에게(1504) 주어졌습니다. 두 대가의 그림이 한방에서 한 시기에 그려지고 있다는 사실은 그것 자체만으로도 사회의 커다란 관심이었습니다. 두 대가에게 경쟁을 붙여놓은 것이지요. 아쉽게도 두 그림은 완성되지 못하였고, 피렌체는 공작정치로 변하였습니다. 그리고 1563년 공작은 이 자리를 바자리의 그림으로 대치시켰습니다. 원작은 남아있지 않으나, 후대의 화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던 이 그림은 루벤스와 상갈로의 드로잉으로 그 모습을 다소나마 짐작할 수 있습니다(도6,7).
|
 |
|
 |
 |
도6 피터 폴 루벤스, 레오나르도의 <앙기에리 전투> |
(1503)를 모사한 드로잉, 1600-08년, 펜과 잉크 |
45.2×63.5㎝, 파리, 루브르 박물관 |
|
| |
|
 |
 |
도7 세바스티아노 다 상갈로(?) 미켈란젤로의 <카시나 전투>를 |
모사한 그리자유 패널, 홀크햄 홀, 라이체스터경 수집 |
|
|
| | |
 |
|
 |
 | |
|
|
|
|
 |
 |
교황 줄리오 2세는 미켈란젤로에게 자신의 무덤도 주문하였습니다. 이 또한 오랜 기간에 걸친 큰 프로젝트였고, 완성되지는 못하였습니다. 여기서는 이의 부분으로 제작한 일명 노예상 두 점을 보겠습니다. 16점의 노예상중에서 완성된 것은 현재 루브르에 소장되어있는 1점뿐이며(도13), 미완성 몇 점이 피렌체 아카데미에 소장되어 있습니다(도14). 가슴을 천으로 묶인 누드의 남자는 이를 벗기려하는 동작이지만, 그의 표정은 오히려 내적인 구속과 갈등임을 보여줍니다(도13). 미완성 작품은 우리에게 여러 가지 궁금증을 불러일으킵니다(도14). 우선 우리는 일반적으로 돌을 깨어낼 때 겉의 큰 부분을 털어내고 부분으로 들어간다고 생각하는데 미켈란젤로는 그렇게 하지 않고 가슴과 무릎부분은 거의 완성 단계까지 이끌고 나머지는 아직 돌덩어리로 남겨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그의 제작과정을 말해주는데 즉 미켈란젤로는 완성될 작품과 같은 크기의 석고 모형을 만들고 이를 큰 컴퍼스를 이용한 점 기법으로 옮김으로써 대리석으로 완성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
 |
|
 |
 |
도13 미켈란젤로 <노예상> |
1513년경, 대리석, 높이 229㎝ |
파리, 루브르 박물관 |
| |
|
 |
 |
도14 미켈란젤로 <노예상> |
1519-36년경, 대리석, 높이 267㎝, |
피렌체, 아카데미 |
| | |
|
 |
 | |
|
|
|
 |
 |
우리 나라에서 미대입시를 위해 외우다시피하는 석고상 줄리앙은 쥴리아노의 불어 발음으로 바로 이 가족묘 중 일부입니다. 줄리아노(Giuliano di Medici, Duke of Nemours:1478-1516)는 레오 10세의 형제이며, 마주하고 있는 묘의 주인공 로렌조(Lorenzo di Medici, Duke of Urbino: 1492-1519)는 레오 10세의 조카였습니다(도16,17).
|
 |
|
 |
 |
도16 미켈란젤로 <줄리아노 디 메디치의 무덤> |
1526-33년, 피렌체, 산 로렌조 |
|
| |
|
 |
 |
도17 미켈란젤로 <로렌조 디 메디치의 무덤> |
1526-33년, 피렌체, 산 로렌조 |
|
| | |
|
그러나 미켈란젤로가 만든 묘의 주인공들은 미켈란젤로가 직접 보았거나, 초상화가 남아있던 인물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닮은 바가 없습니다. 줄리아노의 얼굴은 오히려 그가 젊은 때에 제작한 <다비드>(도4)의 얼굴과 같은 유형이어서, 구체적인 한 인물의 얼굴이기보다 이상적인 인간형의 모습임을 알 수 있습니다. 미켈란젤로는 이 두 조각상을 통하여 인간의 두 유형 즉 행동하는 유형(칼을 들고 있는 줄리아노)과 명상하는 유형(생각하는 자세의 로렌조)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명상하는 로렌조의 석관 위엔 아침과 저녁을, 행동하는 줄리아노의 석관 위엔 낮과 밤을 놓음으로써 시간의 운행과 영원함을 동시에 설정해 놓고 있습니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