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촉각 공감각
조엘 살리나스 지음, 정유선 옮김 / 성안당 / 2019년 1월
평점 :
절판


 

 

인간의 뇌는 주변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해석한다. 보이는 것을 보고, 들리는 것을 들으면서 주변 상황을 인식한다. 하지만 어떤 뇌는 종종 이 같은 인지 과정에서 벗어난 특이한 기능을 활성화하기도 한다. ‘책’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퍽퍽한 식감의 삶은 닭고기 맛이 난다고 느껴지는 사람이 있다. 특정 글자나 숫자를 보면 색깔이 보인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통증을 느끼는 상대방을 보면 자신도 통증을 느끼는 사람이 있다. 이 세 사람의 반응은 마약에 취해서 나오는 환각 증상이 아니다. 거울-촉각 공감각(mirror-touch synesthesia)’ 능력자(줄여서 ‘공감각자’)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일이다.

 

공감각자들은 전쟁 영화를 보는 것이 고문이다. 이들은 상대방의 신체에 가해진 물리적 충격을 보는 것만으로 그 자극이 마치 자신의 몸에 가해진 것처럼 감각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감각자들은 물건을 보면 맛을 느끼거나 이름에서 색깔을 보는 경험을 한다. 공감각자 중에는 비범한 예술적 감각을 가진 이들도 많다. 화가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먼(Richard Feynman, 그는 살아있었을 때 삼바 춤을 즐겼고 봉고라는 타악기를 수준급으로 연주했다), 가수 빌리 조엘(Billy Joel) 등이 있다.

 

신경과 의사인 조엘 살리나스(Joel Salinas)는 공감각자다. 그는 《거울 촉각 공감각》에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공감각 능력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저자는 자신의 공감각 능력을 뇌과학의 관점으로 설명하면서 인간의 감각과 뇌의 활동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쉽게 풀어낸다. 이 책 머리말의 첫 문장은 남들과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경험하는 공감각자의 삶을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나는 나를 배반한다.  (16쪽)

 

 

공감각자의 뇌는 상대방의 경험을 인식한다. 그 순간 공감각자의 몸은 ‘상대방의 몸’이 되고, 그 몸에 ‘내 감각’이 들어설 자리가 없다. 공감각자는 ‘강제적으로’ 공감한다. 거울-촉각을 몸소 느껴보지 못한 사람은 공감각자들이 평생 ‘나 자신과 싸움’을 하면서 살아간다고 생각할 것이다. 틀린 건 아니다. 실제로 저자는 공감각 능력으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었다. 공감각자의 뇌는 스펀지가 물을 흡수하듯이 다른 사람을 인식하면서 확인된 정보를 받아들인다. 저자는 자신의 뇌가 다른 사람의 경험과 감정에 지나치게 몰두하지 않도록 더욱 신경을 써야 했다. 외부 반응에 아주 예민한 공감각자는 늘 겪어야 하는 거울-촉각 경험을 피하고자 바깥세상과 단절된 채 살아가기도 한다.

 

여기까지만 보면 거울-촉각 공감각이 그 능력을 갖춘 사람을 불행하게 만드는 저주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거울-촉각 공감각은 병리적인 현상이나 장애가 아니다. 거울-촉각 공감각도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 중의 하나이다. 거울-촉각 공감각도 장점이 있다. 저자는 환자들의 정서적 · 신체적 경험을 느끼고 받아들이는 ‘입체적인 의사’이다. 그는 이 경험을 통해 환자들의 진심을 확인하고, 그들이 느꼈을 통증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어느 정도인지 알게 된다.

 

 

 눈앞에서 환자가 세상을 떠날 때마다 나도 죽은 것처럼 느껴졌다. 그 느낌은 결코 약해지는 법이 없었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여러 번 죽었다. 환자가 죽는 것을 볼 때, 죽음 속으로 사라지기 전 마지막 순간을 내 몸에서 체험했다. 헛된 공포의 마지막 순간, 또는 침묵의 특전이었다. 나는 이러한 순간마다 달갑지 않았고, 우발적이며 충격적이고 혼란스러운 죽음을 막기 위해 항상 무언가, 무엇이라도 해야 했다. 환자의 마지막 순간의 의식을 존중하고, 그들 삶에서 마지막 순간의 증인이 되고 싶었다. 환자의 마지막 바람은 존중받아야 하고 아무 결함 없이 확실히 이행되어야 한다.  (194쪽)

 

 

환자의 고통에 공감하지 못하는 의사들이 많다. 이런 의사들은 아프다고 칭얼대면서 찾아오는 환자들을 돌려보내기 위해 효과가 미미한 약을 처방한다. 그것은 인간의 고통에 대한 최소한의 관심이 없는 행동이다. 환자와의 정서적 거리감을 조금이라도 줄여보려는 의사들은 저자의 공감각 경험 사례를 참고했으면 한다.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로써 과학적인 진단과 분석, 즉 ‘의술’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아울러 환자의 통증과 고통 및 두려움까지 공감하며 귀담아 들어주는 ‘인술’이야말로 질병으로 고통받아 병원을 찾는 환자들을 위해 갖춰야 할 덕목이다.

 

《거울 촉각 공감각》은 색다른 능력을 가진 신경과 의사의 자서전이 아니다. 이 책은 ‘공감’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게 만든다. 공감. 얼핏 들으면 평범하고 쉬운 단어이지만 그 의미가 모호하다. 왜냐하면 우리는 그동안 공감을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이라고 믿어왔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은 좋은 말인데도 피부에 와 닿지 않는다. 누구나 공감의 중요성을 말하지만, 대부분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얼추 생각하는 선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저자가 말하는 공감은 이러한 단순히 ‘생각하기’에만 있지는 않다.

 

 

 공감은 단지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왜 그 일이 일어나는지 생각할 정도로 신경 쓰는 것이다.  (386쪽)

 

 

정말로 진지하게 공감을 하려면 눈이라는 거울에 단순히 비친 상대방이 나 자신의 정신적 공간 안으로 들어와야 한다. 즉 ‘나’와 상대방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만약 어떤 사람이 된다면 그 사람의 감정을 파악할 수 있고, 그 사람이 행동하는 이유를 깊이 이해할 수 있다. 물론 상대방에 향한 과도한 몰입은 경계해야 한다. 아무리 생각해도 어떤 사람에게 공감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공감하지 못해도 괜찮다. 공감 능력이 남들보다 떨어졌다는 생각으로 자책하지 않아도 된다. 상대방을 생각해주는 공감도 좋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태도이다. ‘내가 원하지 않은 공감’, ‘강제적인 공감’ 같은 억지스러운 공감은 진지한 공감을 위해 비워야 할 우리의 정신적 공간을 비좁게 만든다. 그런 공감은 ‘나’를 속이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