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날씨가 35도로 얼마전까지 폭우가 내렸다는 사실이 당최 밎기지 않을 정도로 무척 무더운 날씨다.

너무 더워서 정말 가만히 있어도 땀이 줄줄 나는데 이런 와중에 더 짜증나게 하는 기사가 나왔다.


무더운날 미친 XX들의 소녀상 옆에서 일장기를 들고 난리 부르스를 추고 있다는 보도였다.더워서 짜증이 나 죽겠는데 저런 뉴스를 보니 정말 폭발하기 일보직전이다.

그런데 뉴스를 보면서 한가지 의문이 드는것이 왜 일장기를 휘드르는 단체를 극우보수라고 지칭하는 것이냐는 것이다.세상의 어떤 극우 보수 단체도 자산의 나라를 침략한거나 식민지로 삼은 국가의 구기를 휘드르면서 지랄발광을 하지 않는다.

소녀상앞에서 일장기를 휘드르고 난동을 피우는 저들은 극우보수가 아니라 그냥 친일 매국노 집단일 뿐이다.

일부에서 친일파=보수라는 프레임을 씌우려고 하는 것 같은데 일본과 협조하면서 잘 지내자는 것(물론 혐한과 일본의 군국주의 회귀는 단연커 반대해야 함)과 저렇게 미치광이처럼 일장기 휘드르는 놈들은 구별해야 된다고 여겨진다.

개인적인 생각에 미친 놈들한테는 그냥 몽둥이가 약이다.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잉크냄새 2025-07-24 2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럽에서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것과 같은 일일텐데, 서양에서는 저런 문제를 어떻게 대처하는지 궁금하군요.
몽둥이는 저도 동의합니다.

카스피 2025-07-25 11:18   좋아요 0 | URL
서양에서도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인간들은 원래 극혐했는데 요즘은 이민자 문제때문인지 오히려 파시스트를 찬양하는 이들이 많이 늘어났다고 하네요.
 

이재명 대통령과 민주당이 공을 들인 민생회복 소비지원금이 이번주부터 신청을 받고 시행되고 있는데 시행초기부터 말썽이 많다.

가장 큰 이유는 급조된 정책이다 보니 시행착오가 많다는 것인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지류형(종이로 된) 상품권이 없다는 것이다.현재 전국적으로 카드나 쿠폰형식등 지자체마다 다양하게 공급이 되는데 어르신이나 시장에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지류형 상품권은 전체 지자체 중에서 몇곳밖에 배포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

전통시장에서 지류형 상품권을 원했던 가장 큰 이유는 전국의 전통 시장 상인중에 카드 단말기를 설치하고 사업자 등록증을 신청한 이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 즉 영세상인들이 많아서 가장 흔한 카드형의 경우 그림의 떡이기 때문이다.게다가 지류형의 경우 사용기간이 카드형과는 달리 최장 5년까지 유효하기 떄문에 사람들이 지류형을 선호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지류형을 포기한 지자체들의 경우 지류형을 배포하기 위해서는 최소 6주 이상이 걸리는데 워낙 다급하게 시행하다보니 지류형 상품권은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카드의 경우도 각 지자체마다 공무원들의 편의주의적 발상 탓에 많은 국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광주시의 민생지원 회복 카드 색상 논란이다.광주시의 입장은 오지급을 막기위해서 분홍색 카드(18만원), 연두색(33만원), 남색(43만원)으로 나누어서 배포했다고 한다.즉 카드에 따라 소득 수준을 알 수 있어 사람들이 많은 곳에서 사용시 난 가난뱅이요라는 낙인 찍힐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광주시 만의 문제가 아니라 부산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부산은 동일한 카드이지만 카드에 따라 위 3가지 금액이 적혀 있다고 한다.

물론 광주시나 부산시등 지차제들의 고민을 모르는 바가 아니다.갑작스레 대규모의 카드 발급을 하고 이를 오배급이나 부정수급이 안되게 공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마 공무원들의 빈약한 상상력으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조치였다고 생각된다.


물론 이것은 대통령이 분노하며 질타했듯이 공무원들의 인권의식이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대통령 취임하자 마자 무슨 군사 작전 하듯이 정부와 민주당이 민생회복 지원금 정책을 밀어 붙인 것이 가장 큰 것이다.

대통령과 민주당이 민생회복 지원금 정책을 실시한것은 떨어진 내수 경제 진작을 위해서 실시한다고 했지만 실제 인기 영합을 위한 정책임을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국민의 세금을 털어서 지원하는 민생회복 지원금 사업이 보다 시간을 들여서 정교하고 차질없이 진행되야 함에도 불구하고 번개불에 콩구어 먹듯이 급하게 진행하다보니 일선의 각 지자체 공무원들이 과부하게 걸릴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일단 지원 형태만 보더라도 고령자나 전통시장이 원하는 지류형이 부족한 것도 문제지만 카드형의 사용기간이 올해 안으로 알고 있는데 지류형은 최장 5년까지 유효하다고 하니 빠른 소비 진작 효과를 이끌기 위해 정부가 11월 말까지 쿠폰 사용 제한을 둔것과 배치되는 상황이다.이것만 보더라도 이 민생지원 사업이 얼마나 급하게 진행되었는지 알 수 있다.지류형의 사용기간이 5년이나 되다보니 공공연하게 이른바 현찰로 사고파는 카드깡이 성행 할 수있고 정부도 문제를 인식하고 급하게 단속을 한다고 하는데 실제 제대로 실행될지 의문이다.아무래도 급전이 필요한 취약계층에서 단 얼마라도 현찰을 쥐기위해서 이를 판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대통령이 질책한 카드 색상논라도 지자체 공무원들의 경우 위에서 내리는 지시를 급하게 따르다보니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발급될 수 있도록 처리한 것인데 아무래도 이런 논란이 있을지는 미처 생각해 볼 시간적 여유가 없었을 것이다.문제는 대통령의 지시대로 최대한 가장 빠르고 신속하게 배포하는 것이 최대의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민생회복 지원금 사업은 분명 좋으 정책이지만 국민의 세금이 들어가는 사업이므로 보다 신중하고 정교하게 진행하는 것이 당연한 것인데 마치 군사작전마냥 밀어붙이다보니 이런 잡음이 날 수 밖에 없는데 최종 책임자인 대통령과 정부가 지자체의 말단 공무원들에게만 분노와 훈계를 하는 모습을 보니 참 어안이 벙벙할 지경이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느 서점의 서가 사진입니다.


아마 아베-문재인 정부가 무슨 반도체 소재 수출 제한 문제로 일본과 으르렁거리면서 국내에서 한참 노 재팬 운동이 활발히 일어났던 2020년 전후의 사진이 아닌가 싶네요.

이 당시 일본에선 아예 혐한이라고 한국을 무시하고 부정하는 책들이 서가 한 코너를 꾸밀정도로 많이 나왔기에 한국에서 일본의 문학작품을 왜구소설이라고 지칭해도 하등 이상하지 않을 시절이었죠.물론 저렇게 대놓게 왜구소설이라고 분류한 서점 쥔장의 패기가 참 대단하단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그떄도 한가지 의아했던 점은 전 국민이 일본 여행도 가지 말고 일본 제품도 쓰지 말자는 노 재팬 운동이 한창이었는데 왜 문학계나 독서인들 사이에서 일본 책을 읽지 말자는 소리가 전혀 없었는지 그것이 참 궁금하더군요.


지성인들이라서 문학과 정치적 알력은 아무 상관이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어서 그런 것인지 잘 모르겠네요.그나저나 왜구소설이 떡 하고 써붙였던 서점은 어떤 서점인지 무척 궁금하긴 하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라딘에서 책 제목을 마음대로 줄여서 책을 배송 받은 사람이 매우 난감했다는 글이 있네요.

주문한 책은 아래와 같습니다.


넵 사회과학 도서이지요.이 책을 주문했는데 택배 상자에는 이렇게 표시되어서 왔다고 하는군요.


아니 책 제목을 마으대로 줄여서 배송 받는 사람을 민망하게 만드는지 모르겠네요.사회과학책을 읽는 지성인을 한순간에 변태로 바꾸어 버렸네요 ㅋㅋㅋ

알라딘 당신 크게 실수 한거야 ㅋㅋㅋㅋ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선생님을 대하는 학부모들의 태도가 가관이 아니다.주호민처럼 자기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는다는 생각에 선생을 고소하고 민원을 넣는 것을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요즘은 뉴스에도 여러 차례 보도되듯이 학부모들의 진상짓이 그 도를 넘는 것 같다.


그래선지 요즘 선생님들도 학생을 가리키는 것에 대해 매우 소극적이고 별다른 관여를 안하다고 한다.


요즘 학부모들은 집에서 가정 교육을 하나도 안하면서 모든 것은 학교에서 알아서 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지만 학생들을 지도하려는 선생들의 열정에 대해 학부모들이 자기 자식 기 죽인다고 개 진상들을 피우니 이제는 대부분 선생님들이 스승이라는 생각보다는 그냥 월급받는 공무원이란 저런 생각으로 학생들을 대하는 것 같다.즉 과거와 같이 잘못된 학생을 바로잡고 지도하려는 이른바 열정 교사들이 사라진 것이다.


물론 아직까지도 안 그런 선생님들도 많이 계신다.

위 숏츠에서 선생님은 편하면 안된다고  편안하면 애들이 망가진다는말  하는 잔소리 많은 열정 선생님이 계신데  요즘은  그냥 편하게 하고싶은거 하고 간섭하지 말라고 학생들이 요구하고 학부모들도 민원을 제기하니 저런 선생님들은 현실에서 서서히 사라지는 것 갇다.결국은 좋은 선생님기준을 점점 바꾸는거 같은데 자녀을 위해서 위와 아래의 선생님들중 과연 어떤 선생님이 좋은지는 학부모들이 심각하게 고민해 봐야 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