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에 순오기님이 마더 구스에 관한 글을 올리신적이 있지요.댓글에 마더 구스이야기는 동요지만 서양 문화에 차지하는 부분이 커서 추리 소설속에서도 인용된바 있다고 썼지요.

간단히 마더 구스의 유래에 대해서 써보겠습니다.

<거위를 타는 아줌마 마더 구스>

마더구스(Mother Goose)는 사람 이름이다. 그 사람이 실존 인물이었는지 아닌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어린손자를 기쁘게 해주기 위해 재미있는 노래를 만들었던 여인의 이름이 바로 Mother Goose였다. 약 200년전 영국의 식민지였던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살았던 마더구스(Mother Goose)는 단순히 가락을 붙여서 노래를 불러주다가 비망록을 쓰기 시작했는데 그 흔적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온 것이다. 거위를 타고 날아다니면서 사람들의 노래를 수집했다는 Mother Goose 는 수많은 라임을 모은 여인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그녀가 수집한 노래자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Mother Goose란 용어는 Nursery Rhymes 보다 앞선 1697년 Perrault가 80여개의 전래동화를 묶어 만든 Histories and Tales Of Long ago 의 표지에 물레를 돌리며 이야기를 들려주는 여인을 Tale of My Mother the Goose 라고 표현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마더구스(Mother Goose)는 유럽의 역사와 언어문화를 담고 있다. 영어 학습의 도구뿐 아니라 영미문화를 익힐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현재 마더구스(Mother Goose)는 Sesame Street 텔레토비 Blue s Clue 등 서양어린이 프로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아 그림책과 문학작품에서도 원형 또는 변형된 형태로 등장하기도 한다. 마더구스(Mother Goose)는 크게 아기를 위한 노래, 놀이와 관계된 노래, 이야기를 다룬 노래, 역사적 사실을 비유한 노래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아이를 달래거나 즐겁게 해주기 위한 놀이와 교육적인 노래도 있지만 Hympty Dumpty 같은 경우에는 어른들을 위한 수수께끼로 유럽지역에 이와 유사한 노래가 있을 정도이다. 또한 라임이 지닌 은유 속에는 당대사회의 대한 비판의식과 난폭하고 잔인한 내용도 담고 있어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마더구스(Mother Goose)의 대부분 노래는 운율에 맞추어 만들어졌기 때문에 소리 내어 따라하다 보면 아름다운 멜로디를 느낄 수 있다.

이처럼 마더구스는 동화나 민담을 기본으로 한것이 많지만 개중에는 당시의 사회적 현실을 반영한것들도 있지요.요새 국내에서도 마더구스를 통해 어린아이에게 영어를 알려준다고 하는데,그러기에는 마더구스노래의 상당수가 부정적이며 잔인하기때문에 교육에는 부적잘하지 않나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도 국내에서 출판되는 것은 그래도 좀 순화된 내용들이 번역되서 괜찮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by caspi


댓글(7) 먼댓글(1)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10-09-18 20: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호~ 마더구스에 대한 설명 고맙습니다!!

카스피 2010-09-18 21:02   좋아요 1 | URL
예전에 아가사 크리스티 추리소설에 대해 정리하다 조사한 글이지요.의외로 크리스티 추리 소설중엔 머더 구즈의 동요가 무척 많더군요^^

라로 2010-09-18 22:0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학구적인 카스피님~^^
정말 그러고보니까 내용이 잔인한게 많아요!.ㅎㅎㅎ

카스피 2010-09-19 01:54   좋아요 1 | URL
ㅎㅎ 별말씀을요.근데 한가지 아셔야 될점은 마더 구즈가 형성됬을 17세기 무렵의 경우 아이들은 어린이라는 개념이 아닌 작은 어른이란 개념이었기에 이런 잔인한 내용들을 아무 꺼리낌 없이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말 할수 있었다고 합니다.

라로 2010-09-20 11:03   좋아요 1 | URL
아하~~~ 그래서 그렇군요~~~.^^

님 풍성한 한가위되시고 즐거운 추억 많이 만드시길요~.^^

양철나무꾼 2010-09-19 02: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카스피님.
이 글을 조금만 일찍 봤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올 초에 저작권이 없어진 몇몇 작품들을 리라이트해 어린이 영어동화로 만드는 데,살짝 참여했던 적이 있는데...진행하다가 위와 같은 이유로 접었습니다.

잔인하고 난폭할 뿐더러 대단히 중의적이었던 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카스피 2010-09-19 11:52   좋아요 1 | URL
ㅎㅎ 사실 서양의 동화는 상당히 잔인한 측면들이 많이 있습니다.우리가 아는 대표적인 동화인 그림 형제의 동화책도 초창기의 작품들은 상당히 잔인했는데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이를 순화시킨 것이 많다고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