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최초로 번역된 앨러리 퀸 책란 글을 올리면서 이책이 국한문 혼용이라고 설명드렸더니 노이에자이트님이 무척 관심을 가지시더군요.

국한문 혼용은 국문과 한문을 섞어 쓴 문체로 한문에 국문을 섞어 쓴 초기의 단계와 국문을 위주로 하고 한문을 조금 섞은 후기의 형태로 나누어지지만 보통 모두 포괄하여 국한문혼용체라 부른다. 이두(吏讀)•구결(口訣)에서 발상을 얻어 쓰기 시작한 것이 국한문혼용체의 전신(前身)이라 할 수 있고, 그 뒤 한글 창제 이후 많은 언해류(諺解類) 기록에서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하였다. 좁은 뜻으로는 개화기 이후 근대화 과정의 하나로 언문일치(言文一致) 운동이 전개되어 한문체가 물러나고 국문체로 지향하려는 과도적 단계의 문체만을 가리키게 된다고 나오는군요.
가끔 책을 읽다보면 한글뒤에 ( )를 치고 한자를 병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어떤이들은 이것도 국한문 혼용이라고 주장하가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이것은 국한문 혼용이 아니라고 하느것이 대세인 것 같습니다.

하도 오래전에 본 책이라 이 책이 정말 국한문 혼용인지 궁금해서 다시 한번 책을 뒤져 보았습니다.그런데 한자가 나오긴 나오는데 거의 대부분 숫자만이 한자로 나오네요.과연 이것이 국한문 혼용인지 살짝 의심스럽습니다.

<1962년 출판 폭스가의 살이-숫자만 한자로 나오네요>

위에 소개한 앨러리 퀸의 폭스가의 살인은 1962년에 나온 책인데 한문은 숫자에만 쓰이고 있습니다.아래는 앞전에 소개한 빨강머리 앤인데 이 책은 1964년에 나왔습니다.2년뒤에 나온 책이지만 이때는 거의 한자가 쓰여져 있지 않네요.다만 한글뒤에 ( )를 치고 한자를 병기하는 단어가 한 페이지에 어쩌다 한 개 정도 나올뿐입니다.

<1964년 출판 빨강머리 앤- 부재(不在)라는 한자가 병기되어 있군요>

제가 가진 책중에서 진정한 국한문 혼용은 춘원 이광수 단편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1957년 작품으로 위의 책들보다 대략 5~7년정도 전인데 책 내용중 상당수 단어가 한자입니다.한자 교육을 받지 못한 이들은 책을 읽기가 힘들정도네요.

<1957년 출판 춘원 이광수 단편집-상당히 한자가 많고 현재 잘모르는 한자도 수두룩..>

같고 있는 오래된 책들을 다시 한번 봐야겠지만 일단 50년대에는 국한문 혼용이 상당수였다고 판단되고 60년대 들어서는 국한문 혼용이 거의 없어졌다고 생각되는군요.

by caspi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후애(厚愛) 2010-03-15 1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래된 책들을 갖고 계시는군요.^^
그런데 읽기 힘 들 것 같아요.
오래 된 책들은 헌책방에서 구매하신거에요?
너무 부러워요~ ㅋㅋ

카스피 2010-03-15 11:12   좋아요 0 | URL
세로 읽기도 걸림돌이고 국한문도 걸림돌이고 너무 촘촘한 글씨체도 걸림돌이고 바스러 질것 같은 종이질도 걸림돌이라 실제 읽지는 못하고 그냥 책덕후의 감상용이지요.
넵 모두 헌책방에서 구한거지요.너무 오래된 책들이니까요^^

노이에자이트 2010-03-16 16: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로줄은 숫자쓸 때 아라비아 숫자를 쓸 수 없으니 한자로 쓸 수밖에 없지요.알파벳은 눕혀쓰기로 되어 있구요.제가 가진 60~70년대 세로줄로 된 소설들 중에는 본문은 한글인데 작은 제목이나 장은 국한문 혼용으로 된 것이 있습니다.소설이 번역서인 경우 번역자주는 거의 국한문 혼용이지요.정음사 세계문학전집을 갖고 계시니 한번 확인해 보십시오.

제가 가진 50년대 책은 전부 비소설입니다.그 당시는 소설원문도 국한문 혼용이군요.매우 유용한 자료입니다.

카스피 2010-03-17 09:43   좋아요 0 | URL
ㅎ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