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위이름의 변천사

우리가 현재 먹고 있는 키위는 보통은 뉴질랜드 산으로 알고 있지요.하지만 키위의 원산지가 중국이란 사실을 알고 계신 분들은 의외로 적은 편입니다.

<저 제스프리란 이름탓에 당연히 뉴진랜드가 원산지인줄 착각하고 있지요>


키위의 원산지는 중국이었으나 중국에서도 그다지 선호되던 과일이 아니었던 탓인지 정확한 명칭은 딱히 없었고 그나마 많이 불리웠던 이름이 미호우타오(원숭이가 먹는 복숭아란 뜻)으로 불리웠다고 하는군요,


이후 1904년 뉴질랜드 출신의 영어교사 매리 이사벨 프레이저에게 발견되어서 세계로 퍼지게 되는데 이때 매리는 미호우타오가 영국의 과일인 구즈베리와 비슷하게 생긴것에 착안하여 과일을 발견한 이창(지명)의 이름을 본따 이창 구즈베리라고 지었다고 합니다.


이후 2치대전 당시 연합군들한테 인기를 끌었던 이창 구즈베리는 이창이란 지역명을 떼고 연합군의 일원의 중국의 이름을 붙여 차이니즈 구즈베리라고 칭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한국전쟁 당시 중국은 미국의 적대국이 되었고 차이니즈 구즈베리를 판매하던 뉴질랜드 농장주들은 이름에 따른 판로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다시 멜로네트(작은 멜론)이라고 개명하게 됩니다.


하지만 멜로네트로 이름을 바꾸자 미국 관세청은 멜론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방침에 따라서 멜로네트에도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게 됩니다.이에 뉴질랜드 농장주들은 고율의 멜론 관세를 피하기위해 다시 이름을 바꾸기로 하는데 이때 농수산물 수출회사 사장인 잭 터너의 아이디어로 이 과일의 이름을 뉴질랜드 국조인 키위을 이름을 붙여 키위라고 부르게 되었고 이 이름 키위가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고 하는군요.


즉 현재 우리가 먹고 있는 키위는 미호우타오>이창 구즈베리>차이니즈 구즈베리>멜로네트>키위로 몇십년만에 이름은 5번이나 바꾼 과일이 되었습니다.


참고로 한국에도 키위와 비슷한 품종인 (참)다래가 있어서 초창기 한국에 들여온 키위는 양다래로 불리었다고 하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