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80년대 청소년들에게 많은 즐거움을 준 아리랑사의 한국소년소녀명작전집에 있는 명랑소설의 나머지 한 축을 담당하신 분이 오영민 선생이다.그런데 오영민 선생은 앞선 조흔파나 최요안 선생에 비해 정보가 더 빈약한데 인터넷에서 선생의 정보를 찾기가 참 힘든 편이다.아무래도 다른 두분이 소설가라든가 방송작가로 큰 성공을 얻으셨다면 오영민 선생은 아동 소설에 국한되서인지 더 정보가 없는 편입니다.


오영민 선생은 1926년에 황해도 봉산에서 태어나서 소설을 쓰시다가 90년대 들어 아동문학평론을 하신것으로 나오는데 미국으로 이민갔다가 94년에 귀국해 돌아가신것으로 나옵니다.조흔파 선생이나 최요안 선생보다다 더 정보가 없는 것이 좀 아쉽습니다.

오영민 선생의 책중 제가 읽었던 것은 이미터 선생,6학년 0반 아이들이란 책을 초딩시절 도서과에서 읽은 기억이 납니다.


오영미 선생의 명랑소설 역시 작품을 찾기가 매우 힘든데,일단 인터넷을 검색하면 아리랑사의 한국소년소녀명작 전집에 다음과 같은 책이 나옵니다.

백만명의 하나(1977)

억세게 흐르는 강

꿈은 햇살을 타고

2미터 선생(1982)

이제부터 피는 꽃

개구장이 박사

내 뜨거운 목소리

내일모레 글피

아스팔트에 트는 싹

엄청나게 좋은 꿈

6학년 0반 아이들(클로버 문고)








오영민 선생의 작품은 제가  2미터선생,6학년 0반 아이들,개구장이 박사등을 읽은 기억이 나는데 다른 작품을 읽어보질 못해서 단언할 순 없지만 조흔파 선생이나 최요안 선생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명랑소설을 썼다면 오영민 선생은 당시 국민학생을 대상으로 명랑소서을 쓰지 않았나 싶습니다.


명랑소설은 전쟁이후 70~80년대까지 고단한 삶에 지쳤던 우리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준 귀중한 분야이긴 하지만 아동문학중에서도 비주류라고 할수 있는 명랑소설에 대한 우리 문학계의 괸심이 전무하다보니 아무러 정보가 없다는 점에서 참 아쉽단 생각이 듭니다.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24-07-23 08: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 보니 명랑소설이라는 분류 명도 재미있어요 ^^
오영민님의 책도 최요안님의 책 다음으로 재미있게 읽었는데 백만명의 하나, 아스팔트에 트는 싹,, 2미터선생님, 6학년 0반 아이들 이 기억에 남아요.
말씀하신대로 정보가 거의 없는 예전 책들을 caspi님 덕분에 다시 보게 되어 정말 반갑고 고맙습니다~

카스피 2024-07-23 16:00   좋아요 0 | URL
ㅎㅎ 어릴적에 해외 명작동화만 읽으시다가 오영민 선생의 책을 읽으셨다면 아마도 신세곌를 경험하셨을 듯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