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플갱어
주제 사라마구 지음, 김승욱 옮김 / 해냄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 역사교사인 테르툴리아노 막시모 아폰소는 어느날 동료교사로부터 비디오 한편을 소개받는다. 그 비디오를 보면서 테르툴리아노는 깜짝 놀라게 된다. 자신과 똑같이 생긴 사람이 등장한 것이다. 5년전 콧수염까지. 단순히 닮았다는 정도가 아니라 완전히 똑같다니... 그래서 교사는 이 배우가 나온 영화를 모두 섭렵한다. 그리고 영화사에 거짓 편지를 써서 주소를 알아낸 후 이 배우를 만나고자 한다. 그리고 만나게 된 두 사람. 말 그대로 도플갱어. 실제로 DNA가 똑같을 확률이 50억분의 1이라니 현실에서 일어나지 않으란 법은 없다. 그리고 두 사람에게 닥친 인생의 격동... 반전이라고 할 수 있는 결말에 이르면 정말로 나를 나이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를 심각하게 고민하게 만든다.

소설을 읽으면서 납득하지 못했던 점은 자신과 똑같은 사람이라고 해서 왜 꼭 만나봐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였다. 그저 놀라고 신기해하며 지나칠 수 없었던 것일까? 이것을 그럭저럭 무시하고 읽어간다면 소설은 종반부로 접어들수록 흥미진진해진다. 원본과 복사본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소설 속 인물들이 누가 먼저 태어났는가에 집착하는 이유는 자신이 원본이고 싶어하는 욕망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의 삶이 원본과 복사본이 차이가 없는 디지털 시대다. 어느새 디지털 마인드로 무장되어져 있다. 내가 복사본이라고 해서 달라질 건 또 무엇일까? 지금까지 SF 영화들이 집착했던 자아 정체성의 문제에서 나의 기원에 대한 접근은 이제 더이상 중요한 문제는 아닐성 싶다. 재패니메이션 공각기동대의 의문이 여전히 유효한 것은 정체성을 기억에서 찾기 때문일 것이다. 어쨋든 복사본이 복사본임을 자각하지 못하고 살아간다면 그의 삶이 꼭 복사본이라고 할 수 있을까? 그 삶 자체는 그에게 있어 원본이지 않을까?

소설은 이 부분보다 오히려 정체성의 문제를 외관으로 돌린다. 두 주인공이 왕과 거지처럼 서로 모습을 뒤바꾸기 위해서 한 것은 옷을 바꿔입는 것이다. 옷을 바꿔입는 것만으로 둘은 완벽하게 서로의 자리를 차지한다. 물론 완벽하지는 않다.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극적 반전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완벽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추었다. 그리고 그 옷을 바꿔입은 행위 하나만으로 자신의 과거 삶을 통째로 바꾸기도 한다. 이것은 옷이 날개라는 말로써도 어느 정도 공감이 가는 부분이다. 군복을 입고 예비군이 됐을때의 행동변화나 과감한 옷차림으로 변했을때의 자신감 등등 외관이 자신의 성격도 바꿔주는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렇다고 옷을 바꿔입는 것만으로 정체성이 완전히 흔들릴 수 있을까

소설은 정체성이라는 문제보다 오히려 마지막 부분의 극적인 사건 전개때문에 흥미로울 뿐이다. 정체성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로 문제를 옮겨가기 때문이다. 어떻게 살아야하는지의 해답이 정체성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면 삶은 보다 다양해질 수도 있을 것이라는 엉뚱한 생각으로 책장을 덮었다. 나는 나를 무엇 또는 어떤 사람이라고 단정짓지 말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여우 2006-10-20 1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얼굴이 지극히 평범한 이유때문인지 "어디서 본 것 같다"는 말을
수없이 듣습니다. 개성적이지 못한 외모때문에 화딱지가 났던 시절도 있지만
외모에 거의 신경을 끄고 사는 지금은 평범한 얼굴에 만족해요
그런데 정말, 누군가 저와 똑같다는 사람이 있다면 그 땐 어쩔까..난감합니다.
정체성에 관한 괴로운 일에 시달릴지도 모르겠군요.
하지만, 나는 나죠!^^

하루살이 2006-10-20 1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나는 그냥 나일뿐이죠. 무엇이라 정의되는 어떤 것이 아니라 그냥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