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 라이프
이사카 고타로 지음, 양억관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리뷰를 쓰려고 보니 앞에 쓰신 분들이 왠만한 이야기는 이미 다 써버렸네요. 영화 '록, 스타, 앤 투 스모킹 배럴스' 의 얼개와 비슷하다는 거나, 센다이 역 주변과 늙은 개, 메모장을 든 미녀, 전망대라는 똑같은 배경을 두고 벌어지는 서로 관련없는 사람들의 연쇄반응 등등.

그래도 기어코 읽은 느낌을 써봅니다. 그만큼 흥미진진했으니까요.

소설은 크게 돈으로 해결되지 않는 것은 없다고 생각하는 화상 도다와 그와 계약을 맺은 시나코라는 인물, 바람처럼 나타났다 사라진다는 프로도둑 구로사와와 그 동료들, 신의 경지에 오른 예언자 다카하시와 그를 추종하는 츠카모토, 그리고 다카하시의 인품에 반한 가와라자키의 그룹, 심리상담가 교코와 그와 밀애중인 축구선수 아오야마, 정리해고를 당한 후 우연히 수중에 총을 얻게 된 도요타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각각의 인물들은 서로를 알지 못하고, 개별적 사건에 얽매여 있다.

하지만 소설이 진행되면서 이들은 토막살인사건과 복권 당첨, 우체국 강도라는 큰 사건에 서로 얽매여져 있게 된다. 그렇다고 서로가 서로를 알아보는 것은 아니며, 그저 일련의 사태가 서로 얽히고 설켜 어떤 도도한 흐름을 만들어간다. 게다가 소설속 시간이 뒤죽박죽처럼 느껴져 이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전혀 감을 잡지 못하다가 결말 부분에 이르러서야 '아하'하고 무릎을 치게 된다.

이런 구성의 재미에 흠뻑 빠지다 보면 작가가 이야기하고 있는 세계가 화엄의 세계임을 눈치챈다. 현상세계는 상호 교섭 ·활동하여 무한한 연관관계를 갖는다는 사사무애(礙)의 법계연기(). 만물이 서로 인연이 되고 있으며 상호 의존하고 있다고 하여, 전우주의 조화와 통일을 설한다. 중생과 부처, 번뇌와 깨달음, 생사와 열반() 등이 서로 대립되는 현상이 아니라 원융무애()한 것이며, 한 사물은 개별적인 존재가 아니라 그대로 전우주[, ]가 된다.(네이버 백과사전 중에서)

무슨 소리냐고? 솔직히 나도 잘 모르겠다. 다만 화엄이란 '그물'을 뜻한다는 것. 그리고 모두가 '벼리'라는 것으로 이해할 뿐이다. 소설 결말 부분에 등장하는 부자 화상과 해고 노동자의 만남이 바로 이것을 설명해준다. 소중한 것 또한 개별적이며, 내 자신이 its all right 할 수 있다면 그만일 뿐이다. 똑같이 아마추어이며 첫 행보인 인생에 있어 프로가 어디있단 말인가?  되풀이되는 일상 속에서나마 상상의 힘을 빌어 타인과 소통하고, 나를 추스릴 수 있다면, 그게 바로 인생이라는 항로의 거대한 모험이며, 화엄의 세상을 주유하며 깨달음으로 가는 길일지도 모른다. 그러니 '괜찮을거야' 자신에게 속삭이며 길을 떠나볼 일이다. 그러면 삶은 정말 괜찮을지도 모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6-05-31 1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노래가 생각나네요. 괜찮아, 잘될꺼야~^^

하루살이 2006-05-31 19: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 노랠 흥얼거리게 됐다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