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려라, 아비
김애란 지음 / 창비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흐르는 물에 손을 베이지 않고도 칼을 씻는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이다. <영원한 화자>138쪽
개인적으론, 바로 이 문장이 단편을 모은 이 소설집을 관통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손대신 물로 씻는다는 뜻으로서가 아니라, 손을 베이지 않고 손으로 칼을 씻기 위해선 물의 힘을 빌려 적당한 힘 조절과 칼날과의 거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의미로서 말이다. 즉 누구나가 가지고 있는 상처의 칼날을 피하기 위해선 적당한 거리를 두고 관심을 적절하게 두어야 한다고 읽혀진다는 것이다. 마치 서로 다가가면 가시에 찔리기 때문에 거리를 두어야 하는 고슴도치의 사랑 마냥.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대부분 말이 없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그녀가 잠못드는 이유가 있다><사랑의 인사><노크하지 않는 집> 등등, 속으로 생각하되, 밖으로 내뱉는 말은 소설 속에서 찾기 힘들다. 상처를 줄까봐, 또는 상처를 받을까봐 겁내는 마음 때문이기도 하지만, 말을 주고 받음으로써 발생하는 타인과의 벽사이에 틈새가 생길까 부담스럽기도 하기 때문이다. 관계성에서 나를 찾기보다는 홀로 서 있는 나를 발견하는 것이 쉬울듯 보여서일테다.
나를 규정짓는 것은 내가 편의점에서 소비하는 것들로 특징지어진다고 생각하지만, 결국 불특정다수의 사람들이 소비하는 패턴과 다를게 없다는 걸 알게 된다거나.,원룸에 사는 여성이 다른 방에 사는 사람들은 어떤 모습일까 궁금해 문을 열어본 순간 자신의 방과 똑같은 모습을 발견한데서 오는 충격이 이 소설을 다 읽고도 굉장히 큰 여운으로 남는다. 내가 소비하는 것이 나를 말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결코 가당치 않음을 보여준다. 나만의 독특한 자아 정체성은 한번에 사라져버린다.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속에서 대량인간이 탄생된 것이다. 그런데 이 소설 속 인물들은 왜 이리 태연한 것일까?
그것은 이미 베이지 않고 칼 씻는 법을 터득한 덕분이다. 나와 너가 다르지 않다는 사실이, 오히려 삶을 평온하게 만드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타인을 이해하기에는 너무 먼 거리지만, 타인이 나와 그다지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기에는 또 가까운 거리. 그래서 내게 이 소설은 희망과 절망 사이에서 가늘게 떨고 있다. 자신만의 껍데기에 갇혀 사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이 어떻게 서로 소통할 것인지, 그것이 불가능하다고 해서 실망하지 않을 것인지. 솔직히 책을 덮고 나서도 어떻게 정리를 해야 할 지 혼란스럽다. <노크하지 않는 집>의 주인공처럼 나와 똑같은 누군가를 마주치지 않을까 공포스러울 따름이다. (왠지 소설을 읽다 박민규를 떠올렸다. 근데 웃음의 색깔이 다소 차이가 난다. 그 차이가 바로 희망의 농도차이라고 느끼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