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잡설
최창조 지음 / 모멘토 / 2005년 5월
평점 :
절판


10년 전쯤일까. 최창조 교수의 강의를 청강했던 기억이 있다. 그때 들었던 강연중 기억에 또렷이 남는 것은 한국의 자생풍수는 비보개념이라는 것이다. 즉, 무덤을 잘 써서, 후손들이 잘 되기를 바라는 음택의 개념과는 거리가 먼, 조상들의 지혜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는 양택(?) 위주의 접근이 충격으로 다가왔다.

우스개 소리로 "우리나라 명당은 군부대와 절간이다"라고 말하며 돌아다닌 시절이 있었는데, 그 명당이란 개념이 송두리째 뒤바뀌는 체험이었으니 오죽하겠는가? 바람이 유독 강한 깊은 산속에서 산불이 났을 경우, 진화를 하기 위해선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다. 절은 산불을 감시하고, 진화시 노동력을 긴급하게 투입할 수 있는 곳에 세워졌다는 주장은, 경치좋은 곳에 '떡'하니 자리 잡은 절간이라는 기존 관념과 맞부딪히게 된 것이다.

최창조 교수의 강연으로부터 받은 인상은 상당히 강렬해 그의 책들을 찾아 읽어보고 싶었다. 하지만 당시 그의 책들은 전문적 내용이 많아 접근하는 것이 쉽지않았다. 흐지부지 세월은 흘러가고, 풍수에 대한 막연한 동경 또는 공부좀 해봐야되겠다는 의무감이 어깨를 다시 누르고 있는 요즘, 문득 그의 에세이를 접할 수 있게됐다.

이 책은 풍수에 대한 전문적 내용이라기 보다는 한국의 자생풍수를 공부하면서 겪게 된 인생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대학이라는 조직의 속성과 부딪혀야 했던 이야기며, 숨은 의도 없이 이야기했던 천도불가론 등으로 인한 세간의 관심과 질책이라는 고뇌 등등 속내를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풍수를 좋아하게 된 어렸을 적 추억이라거나, 행방불명된 형에 대한 기억, 대학을 떠나야 했던 사연 등등이 그의 다 타버린 마음 속을 들여다보는 것 같아 절절하다.

최창조 씨의 기본적인 풍수에 대한 생각은, 터라는 것은 그저 인생의 무대일 뿐이며, 그것이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인가의 여부는 순전히 무대 위에서 연기를 하는 배우에게 달려있다라고 요약할 수 있다. 즉, 아무리 좋은 무대라 하더라도 배우가 형편없으면 그 연극은 실패하는 것이 되고 말지만, 싸구려 무대 위에서도 열심히 노력하는 배우들이 있다면 그 연극은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저자의 생각에 십분 동감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의 땅에 대한 생각을 결코 잊고 싶지 않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산도 여러 가지 말을 해 준다. 그것을 들을 수 있어야 풍수를 할 수 있다. 너무 많은 짐을 지고 있는 봉천동 산동네의 산들은 그 괴로움을 다소곳이 토로하고 있다. 고층 건물을 허리가 부러지게 지고 있는 남산은 거의 사경이 되어 신음소리조차 잘 들리지 않는다. 깊은 애처로움을 지니고 산을 바라보면 그런 것을 다 들을 수 있다. 그저 지나치는 관심 정도로는 산이 전하고자 하는 뜻을 제대로 헤아릴 수 없다. 측은지심은 사람에게 있어서 뿐만이 아니라 산에 대하여서도 심성의 단초가 된다. 진정한 정만이 산과의 대화를 가능케 한다. 그런데 서울생활은 그런 심성의 단초까지 마비되게 해 버린 것이다. (46~47쪽)

마치 샤머니즘이나 물신주의로 비쳐질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책 속에 비쳐지는 술 좋아하는, 또는 술에 취해 살 수 밖에 없었던 그의 행적을 알고 있다면 결코 위의 글이 신비주의적이라거나, 호언으로 들리지는 않을 것이다. 산과 말 할 수 있을 정도로 정을 나눈다는 것. 물론 산뿐만이 아니라 숨은 속내를 이야기하고 위로받고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정이 필요하다. 신음소리, 아우성 소리를 듣지 못하는 우리네는 비정하다. 산은 또는 땅은 그런 비정한 사람들에게 무정한 재앙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재앙이 두려워서가 아니라, 내가 발을 딛고 있고, 함께 숨을 쉬고 있는 이 땅과 산에게 대화를 건네고 사랑을 나눌 수 있다는 상상만으로도 행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퍼도 퍼도 한 없는 정을 나누어 줘보자. (제발 울지마거라 새만금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