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수요일, KBS <환경스페셜>에서 독수리를 보여줬다. 현재 세계에 만마리 정도 남아있는 보호종인 독수리는 최근 한국에서 자주 눈에 띤다.  주로 몽고의 여러 지역에 퍼져살고 있는 독수리는 강추위를 피해, 먹이를 얻기 위해, 한국 땅을 찾는 것이다. 철원지방에서 간혹 보였던 독수리들이 최근 광양까지 내려올 정도로 남하한 것은 순전히 먹이 부족때문이다. AI 영향으로 각 지자체들이 철새들에게 먹이를 주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힘이 약한 것들이 밀려나게 된 영향인 것이다. 이것은 반대로 그 이전까지 각 지자체들이 무분별하게 먹이주기 행사를 관광자원으로 활약하면서 독수리들이 떼로 몰려들도록 유도한 데에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은 개인적으로 독수리도 철새였다는 것을 이제야 알게 됐다. 그저 맹금류, 특히 하늘을 나는 용맹한 새라고만 생각해왔는데 말이다. 아무튼 AI 의 전파체로서 독수리가 실제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검증없이 관광의 미끼로 사용했다가 가차없이 저버리는 행정으로 말미암아 독수리는 배고픔과 싸워야만 하는 처지에 몰렸다는 것이 이내 슬프다. 또한 사람의 선입견이 얼마나 잔인한 짓을 저지르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있다. 나도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알게 된 것인데, 독수리는 사체만을 먹는다고 한다. 살아있는 것을 사냥해서 먹이를 취한다고 생각해온 것은 순전히 잘못된 편견일 뿐인 것이다. (세상에, 독수리가 하이에나였다니...) 그런데 이런 편견으로 말미암아 마을 주변까지 먹이를 찾아 날아온 독수리들을 오리 우리에 가둬버리고 굶기는 잔혹한 일도 생기고 있다. 반면, 광양의 흑염소 목장에선 도중에 죽어버린 염소들의 사체를 벌판에 뿌려줌으로써 독수리들이 깨끗하게 청소를 하고, 배부를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기도 한다. 물론 이것도 함정은 있다. 그 사체들이 어떻게 죽었는지 모른 상태에서 어떤 오염원이 있는지에 대한 검사없이 주어지는 것은 아무래도 위험한 일인 것이다.

먹이를 인위적으로 주어서 독수리의 개체를 늘리는 것이 과연 정당한 일인지에 대한 논란은, 독수리가 스스로 먹이를 찾을 수있을 정도로 자연이 복원된다면 쉽게 풀릴 수 있는 문제다. 물론 그 복원이란 것이 너무 어려운 일이라는게 문제지만.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먹이를 한 입이라도 더 먹기 위해 서열마저 무너지고, 야성마저 사라져버린 독수리들의 치열한 몸싸움을 보자니 너무 가슴 아팠다. 아무리 비정한 생존경쟁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그토록 비열하게 만들어버린 것은 인간의 탓이다. 야성이 사라진 독수리가 상상이 가는가. 가축처럼 되어버린 독수리라니...

독수리가 다시 힘차게 날 수 있는 날은 올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란여우 2006-03-09 14: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처음뵙겠습니다.
방명록에 인사를 드릴까 하다가
독수리 글 읽고 너무 동감하여 여기다 인사를 드립니다.
저는 알라딘의 말 많은 파란여웁니다. 꾸벅~
어제 이 방송 보면서 말문을 잊었습니다.
조만간 독수리 공부를 해 뵈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지요.
철창안에 갇힌 독수리와 농장 주인의 얼굴 두꺼운 거짓말..
인간의 위악성에 치가 떨립디다.

오대산 사진을 보면서 예전 산행이 떠오릅니다.
갖다와서 서투른 그림을 한 장 그린 것도 어딘가에 남아 있을테지요.
앞으로 종종 님의 서재에 꼬리를 감추고 들락날락해도 되겠습니까?

하루살이 2006-03-09 15: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반갑네요. 파란 여우라니. 제가 여우보단 늑대를 좋아하지만 색깔 중엔 파란색을 제일 좋아한답니다.^^
방송을 보면서 치가 떨리던 기억이 다시 떠오르네요. 님은 독수리에 대해 공부까지 하겠다니... 훌륭하십니다. 그리고 그림이라... 왠지 파란여우와 무척 잘 어울리는것 같네요. 꼬리 감추지 마시고 자주 들러주세요. 저도 마실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