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의 이름은 유괴 - g@me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권일영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읽으면서 스스로 똑똑하다고 느낀다. 사건이 어떻게 진행될지 간파하고 있다는 자만감으로 가득찬다. 하지만 알고보면 어디선가 보았던 영화나 드라마와 닮아 있다는 사실을 깨우친다. 이 책은 영화로 이미 만들어졌던 것이다. 그러니 이미 해답을 알고서 책을 읽었던 셈이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는 전혀 이 사실을 알아채지 못했다. 또는 정말로 내가 영화나 드라마를 본 것이 아니라, 추측이 맞았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소설의 재미는 이 트릭과 결과에 있지 않다는 점에서 유쾌하다. 시선의 변화. 바로 그 부분에 이 소설의 매력이 숨어 있다.

소설은 유능한 광고기획사 직원이 자신이 맡고 있던 프로젝트에서 제외되면서 시작한다. 임무에서 빠진 것은 순전히 광고주의 입김 때문이다. 그는 세상을 게임으로 바라보고, 그와의 게임에서 꼭 승리하리라 생각한다. 우연히 만나게 되는 광고주의 배다른 딸과 함께 계획하는 유괴. 소설은 바로 유괴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범인의 입장에서 진행된다. 범인을 찾는 탐정의 시선이 아니라, 범인의 입장에서 사건을 바라본다는 점이 특이한데, 완전범죄를 이루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신경을 쓰는지 살펴볼 수 있어 흥미진진하다. 그것은 마치 평상시 걷던 길을 다른 방향으로 걸을때 느끼는 색다른 느낌과 비슷할련지도 모른다.

또하나, 소설 속에서 부록처럼 나오는 범인이 개발한 게임에 대한 설명이 시선을 끈다. 청춘의 가면으로 기억되는데, 사회 생활을 하면서, 또는 가족을 대하든, 친구를 대하든 누군가와의 대면에서 서로 다른 얼굴을 한다는 것, 즉 그 사람에 맞는 가면을 써야지만 무난한 관계를 유지하고 성공할 수 있다는 게임의 시놉시스는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으로 보여진다. 유괴를 계획하고 범행을 저지르면서도 태연하게 회사에 출근해 사람들과 대화를 나눈다거나, 그것을 역이용하는 광고주의 모습 등은 소위 말하는 2차적 관계의 가식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주인공들을 통해 마치 중국의 가면탈 묘기를 하듯 가면을 바꿔쓰는 현대인의 모습과 함께, 쓸 수밖에 없는 현실에 대해 생각하게끔 만든다.

하지만 해피엔딩처럼 보이는 이 소설이 조금 씁쓸한 것은 도대체 희생자는 어떻게 위로받아야 할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현실이 그러하니, 희생은 마땅히 그냥 넘겨야 할 것인가? 어차피 게임 같은 인생인데, 희생이야 그냥 무시하거나 잊어버려야 하나? 그런데 권선징악이 현실과 떨어져있듯, 차라리 소설 속의 결과가 진짜 현실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떨쳐버릴 수는 없을듯하다. 세상 곳곳을 돌아보건데, 해피엔딩에 가려진 희생자들은 얼마나 많던가? 소설가의 의도와는 전혀 다른 공상 속에 잠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6-03-01 15: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죠. 주인공이 아닌 자들의 삶이 가려져 있듯이요.

하루살이 2006-03-02 09: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상 모든 사람들에게 작은 빛쪼가리 하나라도 마음 한 켠에 간직할 수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