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떠나는 남자
로랑 그라프 지음, 양영란 옮김 / 현대문학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여행은 돌아옴을 전제로한 떠남이다. 휴가란 여행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잠시 벗어나 있는 것. 그것은 나를 둘러싼 현실로부터 벗어남으로써 나라는 이미지로부터의 탈출을 의미하기도 한다. 나라는 허상은 사람들과의 관계속에서 특징지어지므로 그 관계를 벗어나게 되면 그 허상또한 사라질 수 있는 가능성을 품고 있다. 하지만 다시 돌아서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우리는 과감히 그 고정된 나라는 상을 탈출할수가 없다. 내가 아닌 다른 나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잠시 쉬어갈뿐인 것이다. 또는 나는 그대로인채 다른 사람들이나 환경과의 만남을 통해 나를 조금이나마 변화시켜줄 뿐이다.  

여기 <매일 떠나는 남자>라는 소설 속 주인공은 이런 휴가가 아닌 완전한 떠남을 바라는 남자다. 어디로 떠날지 언제 떠날지도 모르는 상태지만 날마다 떠날 것을 바란다. 지금과는 너무나도 다른 새로운 나로 태어나기 위해서 말이다. 그래서 세계 어느 곳으로도 떠날 수 있도록 풍토병 예방 주사를 꼼꼼히 맞기도 하고, 여행지 카탈로그를 집안에 가득 쌓아놓기도 한다. 여행용 가방을 하나 사두고 그 안에 차곡차곡 여행에 필요한 물품을 사서 채워놓기 시작한다. 반면 자신의 집에는 언제든지 마음껏 떠날 수 있도록 점점 비우기를 시도한다. 또한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사랑이나 증오심을 품으려 하지 않고 어떤 일에건 적극적인 개입을 주저한다. 이것은 완전히 떠나는 것을 방해할 사슬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삶이 행복한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불평할 일도 없는 그저 마음이 편안한 상태다. 그러고 보면 실제로 떠나지 않았어도 이미 그의 정신은 떠나 있는 상태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남자, 끝내 40년 동안 떠나는 계획만 세우고 떠나지 못했다. 20년 넘게 살던 원룸의 전세집도 주인이 바뀌면서 할 수 없이 옮겨야 할 처지에 빠졌을 때 비로소 호텔로 옮긴다. 그러나 그 호텔이란 것도 잠시 머무는 곳이 아니라 계속 거주하는 장소다. 누군가가 그를 찾아온 후 다음에 어디서 볼 것인가 물어본다면 그는 지금 이 호텔에 계속 머물러 있을 것임을 말한다. 결국 죽을 때까지 설문조사서 발표된 프랑스에서 가장 우울한 곳 캉에서 한발도 벗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죽음 이후 그는, 아무 것도 남기지 않으려 했던 삶의 행보와 달리 느닷없이 나타난 아들 덕에 달로, 우주 속으로 여행을 떠난다.

번역자는 이 남자가 비록 실제론 떠나지 못했지만 나날의 삶이 떠남과 같다라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난 반대로 결국 떠나지 못하는 현대인의 비애를 이 남자가 대변하고 있는듯이 보여진다. 가지고 싶지 않아도 갖게 만드는 이 사회는 훌훌 털어버릴 수 없도록 만든다. 남기고 가버리면 될 것이지만 쉽지 않다. 모아놓은 시간과 열정이 그를 꼭 붙잡고 놓아주지 않는다. 사물함에 사표를 항상 써두고 떠날 준비를 하지만 떠나지 못하는 남자는 이 시대 셀러리맨과 닮아 있다. 그저 여행가방에 여행물품을 하나 둘 쌓아두는 것 이외에는 실제로 방 밖을 나서지 못하는 삶의 굴레.

도대체 사람들은 왜 떠나고 싶어할까? 그 욕망의 근원은 무엇일까? 난 완벽한 떠남의 근저에는 완전히 다른 삶에 대한 동경이 숨어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혹 과거로 시간을 되돌릴수 있다면 이라는 몽상과도 맞닿아 있는듯이 보여진다. 지금의 내가 꼭 불행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현재의 나가 아닌 다른 나로서의 삶을 꿈꾸어 본다는 것은 왠지모를 해방감을 준다. 내가 놓여진 지금 이 곳에서 그런 변신을 시도할 수도 있지만 왠만해선 가능한 일이 아니다. 그래서 꿈을 꾼다. 떠나는 꿈을. 그리고 그 꿈은 하루하루 매일 매일 떠나는 나를 보여준다. 그래서 나의 방안에도 여행가고 싶은 곳에 대한 정보가 적힌 쪽지들이 이쪽 저쪽에서 뒹글고 있다.  가끔씩 컴퓨터 앞에서 아름다운 그곳을 찾아 인터넷 여행을 떠난다. 나도 매일은 아니지만 가끔씩 떠나는 남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