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사전 1
허영만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도 나도 부자가 되려는게 꿈인 세상이다. 몇 년안에 몇 억을 모을 수 있는가가 화두다. 그야말로 세상엔 온통 재테크 기술로 넘쳐난다. 정말 모든 사람들이 모두가 부자가 되는 그런 세상이 머지않아 올지도 모르겠다는 환상마저 갖게 만든다. 이렇게들 열심히 공부하는데 말이다.

그런데 왜 부자가 되려고 하는 걸까? 만화는 행복해지기 위해서라고 말한다. 부자가 되면 다 행복해지는 걸까? 라고 물었을때 그렇다라고 답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에 작가는 부가 행복의 충분조건은 아니라고 말한다. 하지만 필요조건이라 한다면 또한 생각해볼 문제다. 부가 행복의 전제가 되어야 한다면 국가의 부 지수가 낮으면서, 그리고 실질적으로 수입이 적은 사람들이 행복지수가 높은 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하지만 이러한 명백한 사실을 알고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진 것이 없다면 왠지 불안하다. 가난하면 절대 행복해질것 같지가 않아 보인다. 지금 당장에라도 단 몇 억, 아니 몇 천만원만 하늘에서 떨어진다면 훨씬 행복할것처럼 느껴진다. 그런데 정말 얼마나 가지고 있어야 부자이고, 또 얼마나 여유가 있어야 행복할수 있을까?

어렴풋한 기억으론 만화에서는 부동산을 제외하고 10억 이상의 재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부자라고 했던 것 같다. 여기에서 소개하고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자수성가한 사람들이다. 이들이 어떻게 부자가 됐는지를 알려주는 것이 이 만화의 목적인바 그것을 잠깐 소개해보면, 부자가 되겠다는 굳은 의지와 그것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성실성과 실천력이 그 뿌리라고 한다. 무엇인가 비결을 바랐던 사람들에겐 실망감을 안겨줄듯 싶다.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이렇다. 아끼고 아껴쓰는 절약정신으로 종잣돈을 만들고, 그것을 대부분 건물에 투자해 임대수입이나, 부동산 차익을 노려라. 제대로 파악한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기억 속에선 역시 이 땅에서는 부동산이 최고야 라는 느낌만이 강하게 남아있다. 그런데 이들이 돈을 모으는 행태를 보면 조금 치졸해보이기도 한다. 오죽했으면 이 책의 저자 허영만의 아들이 다음에는 베푸는 부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그려보라고 주문했을까? 그렇게까지 해서 돈을 모아야만 할 것인가 의문이 드는 부분이다. 그러나 일정한 부의 축적 이후의 그들의 삶은 솔직히 부러운 면이 없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양심을 건드리는 부분이 있으니 만화 속에서도 드러나는 자본주의의 속성이다.

자본주의에선 모든 사람들이 부자가 될 순 없다. 조금 전의 부동산을 당장 생각해보더라도 임대업을 한다면 주인과 세를 든 사람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고, 땅도 가진 자와 가질 수 없는 자로 나뉘어야 한다. 즉, 자본주의에서는 일정한 부 안에서 누군가가 많이 가진다면 누군가는 그만큼 덜 가질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전체 자본의 양이 늘어난다 하더라도 그것을 나누어 갖어야 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선 제로섬 게임을 할수밖에 없다다. (그것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복지제도적 측면, 특히 세금을 통해 차이를 줄여나갈 수도 있을텐데, 우리는 오히려 그 차이의 심각성을 말하면서도 실재론 그 차이를 더욱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으니 한심스럽다.)내가 가진만큼 누군가는 덜 가지고 있어야지만 하는 사회. 그 속에서 하나라도 더 갖기위해 다들 악다구니를 쓴다면 과연 그 세상은 행복한 곳일까? (우리 사회는 더 갖는 것이 더 자유로울 수 있는, 그리고 갖고 있는자가 더 챙길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으니, 극소수의 특권자가 되기 위해 어떤 수단도 다 동원할 수 있도록 유혹하고 있지 않은가?)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서 있는 몇몇 사람만이 돈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곳, 그래서 그 자유로운 소수가 되기 위해 많은 것들을 희생해야 하는 곳, 그곳이 행복할 수 있을까?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나라도 행복해지자고, 그러기 위해선 돈을 모아야 한다고, 비책을 찾는 사람들을 욕할 수도 없을 것 같다.  행복으로 가는 유일하고 빠른 길은 먼저 부자가 되는 길밖에 없다고 세상은 가르쳐오지 않았는가? 한번도 그것을 의심해보지 않는 사람들에겐 부자가 되는 것이 일생 일대의 과제가 될 수밖에 없는 것이 당연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제로섬으론 자본주의만이 유일한 생존자가 된다. 아니, 이런식의 자본주의라면 그것을 지탱해줄 사람들을 잃음으로써 끝장날 시기가 올지도 모르겠다.

정말 제로섬으로 움직이는 무서운 세상 속에서 제로섬이 아닌 시너지게임을 할 수 있는 세상은 환상이고 망상일까? 시너지로 움직이는 그런 세상을 꿈꾸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는게 현실일까? 마음 한켠엔 부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움크리고 있다. 그 마음을 활짝 피더라도 모든 사람들이 행복할 수 있는 그런 방법은 없을까? 곳간에서 인심 난다고 일단 곳간부터 채워야만 가능한 일일까? 이 책이 말하는 부자가 되는 방법을 그대로 마음의 부자가 되는 방법으로 적용해, 세상이 풍요로워질 수 있다는 믿음으로 굳은 의지를 갖고 하나하나 방법을 찾아 행동하면 혹시 '행복의 나라'가 가능할까? 의지와 성실성이라는 똑같은 방법을 가지고서도 세상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과연 어디로 갈꺼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