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의 목적은 무엇일까?라고 생각하면서 영화를 보진 않았다. 제목이라는 것은 영화의 전체 맥락을 설명해주기도 하지만 때로는 영화를 이해하는데 방해물로 작동되기도 한다. 그래서 나의 영화보기는 영화를 보기 전과 본 후에만 영화제목을 머릿속에 남겨둘뿐 영화를 보는 동안에는 기억 속에서 지워버린다.

이 영화는 홍보전략으로서도 연애의 목적은 무엇인가에 대한 다양한 사람들의 서로 다른 정의들을 내세웠다. 그러나 영화를 본 느낌은 연애의 목적은 무엇일까에 대한 궁금증이나 답을 구하려하기 보다는 도대체 왜 연애가 이렇게도 힘든 것일까? 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영화는 굉장히 노골적인 대화들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그런 노골적인 표현들 때문에 영화의 질이 떨어진다거나 고개를 돌려버리고 싶다고는 평가될 수 없다. 솔직한 감정의 표현과 연애의 진행과정이 잘 녹아들어가 있으면서 남녀가 서로 끌고 당기는 과정이 담겨 있어 오히려 맛깔스럽다. 더군다나 생각지도 못한 반전이 있으니 이건 덤이지 않겠는가? 좀 아쉽다면은 그런 반전을 끝까지 밀고 나가지 못하고 사랑과 연애에 대한 신화적 힘에 굴복해버린 결말이라고 할까? 

그럼, 영화를 보면서 느꼈던 비애감을 이야기해보자. 이렇다할 연애 한번 못해본 사람으로서 연애에 대해 이러쿵 저러쿵 이야기를 하려다보니 조금 낯간지럽다. (아~이런 현실이 오히려 나에겐 비극이다) 남녀가 만나 좋아하는 감정이 생기는 것은 당연한 사건(?)이다. 그런데 세상은 그렇게 감정대로 흘러가도록 놔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는 발생한다. 즉 서로 좋아하면 다른 모든 것은 아무 상관이 없다면야 좋겠지만 사회라는 것 속에서 그 감정은 항상 주위와 어떤 관계를 형성할 수밖에 없다. (불륜이라는 것도 결혼제도라는 것이 없다면 성립되지 않을 사랑의 감정이지 않겠는가?) 둘만 존재한다면 무슨 상관이랴만 남녀는 각자의 사회적 위치에서 만나는 것이고, 그 위치가 바로 사랑의 장애물이 된다. 더군다나 사랑이라는 감정은 호르몬의 작용으로 길어야 2년반 정도라니...(영화 속에서는 3개월이냐 3년 이냐로 다툰다)

감정에 충실하다보면 실제로는 우리가 사랑이라는 말하는 것은 항시 한시적이 되고, 또 둘이 똑같이 생겼다 똑같이 없어지는 것도 아니니, 꽤 복잡해지겠다. (사랑의 감정이 한명이 아니라 이사람 저사람에게 시도 때도 없이 일어난다면 어떡하겠는가?) 즉, 둘만의 사랑이라는 것도 그리 간단치만은 않은 문제인 것이다. 아무튼 영화 속에서 보여지는 사랑 속에서는 둘만의 문제로 끝나지지 않는다. 조교와 학생의 사랑, 선생과 교생의 사랑은 더군다나 사회적 위치에서 어떤 서열감을 드러내고 있어 더욱 복잡해진다. 즉, 사랑과 함께 힘이 작용하는 균열의 틈이 보인다는 것이다. 둘만의 사랑에서 보이는 틈이 아니라 그들을 둘러싼 사람들이 만들어가는 틈으로 인해 결국 힘의 역학관계로 빠져들게 된다. 그래서 사랑은 끝내 힘에 굴복해 아름다운 종말을 고하지 못하고 처참해진다.

그래서 이 영화는 연애의 목적을 말하기 보다는 연애의 힘듬을 말하는 것이며, 바로 그 힘들다는 것으로 인하여 연애의 목적은 아무것도 아니거나 그 어느 것도 대체할 수 없는 무엇이 되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고서야 그렇게 힘든 연애를 해야만 할 이유는 없을테니까 말이다. 따라서 아무 것도 아닌 것에 또는 세상의 모든 것에 모험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은 연애가 아니라 결혼을 하는 것일지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6-06-06 2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귀여운 박해일.. 능글맞은 그 표정이 생각나요..

하루살이 2006-06-07 0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기대되는 배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