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파업 프로그램 중엔 자원봉사 활동도 있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 대학교때 농촌봉사활동을 제외하곤 사회에 나와서 자원봉사를 경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리가 봉사활동을 간 곳은 고덕에 있는 우성원이라는 곳으로, 장애인 철인 3종 선수등으로 언론을 통해 많이 알려진 곳이기도 하다. 나는 그곳에서 주로 중증 자폐증세가 있는 사람들이 거처하고 있는 요양원 방과 화장실을 청소하고, 오후엔 식당을 깨끗이 하는 일을 했다. 물론 내가 지금 거처하고 있는 자취방보다 훨씬 깨끗한 곳을 쓸고 닦다 보니 이상한 기분이 들기도 했다. 청소를 끝내고 잠깐 짬을 내 아저씨 한분과 공 주고받기를 했는데, 난처하게도 그 놀이를 언제 어떻게 끝내야할지 몰라 당황스럽기도 했다. 다행히 점심시간이 다가와 한숨 놓긴 했다.^^

자원봉사에 대한 기억은 그렇게 남다른 것 같진 않은데, 자원봉사를 하기전 원장님께서 하신 일장연설의 한 대목이 가슴 속에 또렷이 남아 있다. 원장님께서는 이 곳에 기거하고 있는 사람들이 정신연령이 잘해야 5살 정도라면서 그들을 대하는 어려움을 토로하시기도 했는데, 화재의 위험성이나, 집을 잃고 헤매는 통에 찾아 다녀야 하는 일 등을 늘어놓으셨다. 그리고 그 중 가슴 속에 남은 에피소드 하나. 운동회를 열어 100미터 달리기 경주를 하는데, 이게 좀처럼 끝을 맺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원생들이 50미터 쯤 달리다, 먼저 간 사람이 갑자기 자리에 우뚝 서서 뒤에오는 원생을 기다려 같이 걸어들어온다는 것이다. 이래가지고서는 좀처럼 운동회가 흥겨울 수가 없다는 말씀에 나는 오히려 내 무릎을 탁 쳤다.

그래 사람사는 꼴이 이런 모양도 갖춰야지 하면서 말이다.

지금 우리가 사는 모양새는 너도 나도 그 100미터를 빨리 가겠다고 아우성이다. 때로는 뒤에서 잡아채기도 하고, 앞에서 발을 걸기도 하고, 또는 남은 아무 상관없이 그저 앞만 보며 뛰어가는 경우가 태반일 것이다. 먼저 가겠다는 아수라. 앞에 가던 사람들이 멈추어서 함께 가겠다고 손을 내민다면, 그 모습은 어떨까? 물론, 100미터 신기록을 향해 뛰어가는 사람들도 있어야 제 맛일것이다. 누군가는 그 신기록을 향해 몇천 킬로미터를 훈련하고, 멋진 달리기의 표본을 보여줄 수도 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1등을 할 수도 없고, 모든 사람들이 신기록을 달성할 수도 없다. 그러나 자신만의 기록을 갈아치울수 있을련지는 모르겠다. 그리고 그렇게 신기록을 향해 가는 사람들을 통해 달기기의 자세와 주법 등을 새로 배울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두가 그렇게 달릴수는 없는 것 아닌가? 그런데 세상은 그렇게 모두들 달리라고 강요하는 듯 하다. 그래서 왠지, 달리기를 멈추고서 뒤어 오는 사람들과 함께 가자고 손을 내밀었다는 원생들을 통해 경쟁이 아닌 다른 삶의 모습을 배울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때로는 고독하게 자신의 100미터를 향해 뛰어가면서도, 때로는 잠시 멈추어서서 손을 맞잡고 걸어도 가는 세상이 될 수 있었으면... 그리고, 그런 세상을 향해 과감히 멈추어설 필요도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지금의 이 파업이 바로 그 멈추어섬의 하나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든다.

(파업 19일째 잠이 몰려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