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1분
파울로 코엘료 지음, 이상해 옮김 / 문학동네 / 2004년 5월
평점 :
나는 두 여자다. 한 여자는 기쁨, 정열, 삶이 그녀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모험들을 맛보길 갈망하고, 다른 한 여자는 진부한 일상, 가족적인 삶, 계획하고 완수할 수 있는 자잘한 행위들의 노예가 되기를 갈망한다. 나는 한 몸 속에 살면서 서로 싸우는 주부이자 창녀다.(198쪽)
모험은 항상 위험하다. 새롭되 위험하지 않다면 모험이라 부르지 않을 것이다. 그 위험은 정열이라는 파도를 만나 좌초당한다. 정열은 모험을 행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용기라는 순풍을 제공한다. 그래서 도달하는 곳은 신세계다. 자신이 항상 꿈꾸어 오던 신세계. 비록 그곳이 생각만큼 안온하지 않더라도, 욕망을 좇아 끝내 도달한 곳이기에 아름답다.
주인공 마리아는 브라질의 시골서 휴양지로 잠깐의 모험을 떠난다. 혼자이기에 두렵지만 이내 발걸음을 내디딘다.
원죄는 이브가 금단의 열매를 먹은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의 도움 없이 자신의 길을 가야 하는 것이 두려워 자신이 느낀 마음의 동요를 아담과 나누어 가지고 싶어한 데에 있다.(271쪽)
끝내 외로운 존재가 사람이다. 결국에 맞닥뜨려야 하는 것은 혼자다. 가정과 사회라는 안락한 품은 평온함과 안락함을 주지만 노예의 삶이기도 하다.(그러나 또한 얼마나 달콤한가?) 마리아는 자신에게 닥쳐온 유혹의 끈을 잡는다. 나이트클럽 댄서로 스위스로 날아가는 그녀. 그녀는 제네바에서 창녀로서의 삶을 선택한다. 분명 선택이다. 어찌할수 없이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로 선택한다. 그 생활 속에서 마리아는 사랑과 삶에 대해 하나둘 배워나간다. 남자들 또는 여자들의 하루라는 것이 단지 성생활에 소비되는 11분을 위해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리고 자신을 찾아오는 사람들 속에서 세상을 깨우친다.
세상을 움직이는 것은 쾌락의 추구가 아니라 중요한 모든것에 대한 포기라는 사실만 알아둬요. (262쪽)
이것은 그녀가 사랑하게 되는 화가 랄프의 말이다. 그리고 이 말은 책을 읽는 나에게 고개를 끄덕거리게 만든다. 누군가 때문에 또는 무엇 문에 라는 이유를 달고서 포기하는 것 속에서 살아가는 것이 나의 현재요, 사람들의 현재가 아닐까?
욕망은, 당신이 보는 것이 아니라 상상하는 것이예요.(209쪽)
그래, 잠시 잊고 있었다. 상상한다는 것을. 상상마저 허락하지 않는 삶을 누가 강요했는가? 현실을 바탕으로 하지 않는 상상은 몽상이다. 상상은 실현되어질 수 있는 욕구의 극한점을 보여준다. 욕구에 충실한 삶은 상상을 현실로 만든다. 그 욕구들을 억압하는 사회에서 많은 이들은 주부로서의 삶을 택한다. 창녀는 손가락질 받는다. 손가락질 받는다는 것은 혼자 동떨어져 있음을 강요한다. 그리고 그것은 두려움으로 다가선다. 당당한 창녀 선언을 하자는 것은 아니다.(뭐, 그렇다고 문제될게 있겠는가마는.. 아직도 우리 마음 속엔 두려움이 크게 자리잡고 있음을...) 그러나 간혹 욕구를 드러내야 하지 않을까? 상상을 펼쳐야 하지 않을까? 외로워도 슬퍼도 상상의 나래는 꺽이지 않을 것임을 당신도 알고 있지 않는가! 때론 슬픈 주부가 아니라 아름다운 창녀이고 싶은게 우리들의 마음이 아닐까?
자, 슬슬 모험을 떠나보자. 이 커다란 세상에 오직 나 하나와 마주쳐보자. 나의 상상을 향해서 길을 그려보자. 그 길이 눈앞에 보이지 않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