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빈치 코드 1
댄 브라운 지음, 양선아 옮김, 이창식 번역 감수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고전의 매력은 그것이 끝없이 변주된다는데 있다. 영화나 소설에서 자주 등장하는 복수에 대한 테마는 그리스 로마 신화로까지 거슬러 올라갈수도 있겠으나, 개인적으로는 <몽테크리스토 백작>에서 그 절정기를 맞이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리고 그 이후의 작품들은 몽테크리스토의 변주일뿐이라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기호학을 밑바탕으로 하고, 역사를 얼개로 해서 그려낸 추리소설이라는 형식은 움베프트 에코의 <장미의 이름>이 현대적 의미의 고전으로 불릴만하다. <다빈치 코드>는 여러모로 보나 이 <장미의 이름>의 변주곡이다. 변주가 꼭 질의 낮음을 의미하거나 원본의 복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변주는 변주 자체로 훌륭한 음악이 될 수 있다. <다빈치 코드>또한 이런 훌륭한 변주 중의 하나라고 생각되어진다.

<장미의 이름>이 엄숙함과 권위에 파묻힌 당대의 종교적 독선과 편견을 비극으로 표현하고, 그것으로부터의 해방을 희극으로 나타냈듯이, <다빈치 코드>는 예수에 대한 기존의 생각을 깨뜨리고, 새로운 충격을 가져다준다. 이것 또한 남자 중심으로 운영되던 종교적 권력에 대해 여성성을 드러냄으로써 편중된 힘에 대해 균형을 찾고자 한다. 따라서 여성성의 드러냄이 이 소설의 전체 근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드러냄은 기호학적 관점에서 수많은 예시를 통해 드러난다. 특히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최후의 만찬'에 대한 작가의 해석이다. 소설을 읽는 도중 정말 최후의 만찬 그림이 작가가 설명한 대로 일까 하는 궁금증에 잠시 책을 접고,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를 펴든다. 그리고 찾아보는 다빈치의 그림. 도판의 그림 자체가 워낙 희미해 그 진위 여부를 알 수 없지만, 얼핏 예수 오른편의 인물이 매우 여성스럽다는 것을 느낀다. 그리고 그런 순간 찾아오는 전율.

<다빈치 코드>는 같은 작가의 전작 <천사와 악마>보다는 조금 재미가 덜하긴 하지만 여전히 매력적이다. 남성과 여성, 음과 양의 조화에 대한 추구,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감추어지고 왜곡되어지는가에 대한 관찰은 역사가 왜 승자의 기록인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되어주기도 한다. 그리고 또한 그렇게 퍼즐맞추기 식의 조롱 비슷한 다빈치의 장난등을 보면서, 다빈치를 그리는 작가의 시선이 정겹게 느껴지는 순간이기도 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yonara 2005-02-28 14: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위대한 작품의 반열에 오른 것 같습니다. '장미의 이름'은 이제 SF영화계의 '스타워즈'요, 갱스터 영화계의 '대부'가 된 듯 싶습니다. ^_^

하루살이 2005-02-28 15: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 말입니다. 영화 <장미의 이름>도 추리 영화의 고전으로 꼽히면 더할나위 없을테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