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 기억이 정확한지 모르겠으나 <위대한 탄생 시즌 1>에서 우승했던 백청강은 예선에서 이런 평을 들었다. "평범한 톤, 흔히 들을 수 있는 목소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열정과 노력이 그를 정상에 서게 했다. 물론 그의 성장배경이 우승을 하는데 한몫 했을지도 모른다. 하여튼 우승하면 바로 데뷔할 정도의 보석을 찾아내는 <슈퍼스타K>와는 달리 <위대한 탄생>은 멘토라는 제도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과정을 엿볼 수 있었다. 반면 는 각 기획사를 대표하는 3인이 최고의 연습생을 뽑는듯이 보인다. 마치 훌륭한 원석을 발굴해내 나중에 찬란한 보석을 만들어 보이겠다는 투다. 즉 '타고난' 아이들을 뽑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타고난' 재능을 뽑고자 하는 것이 <위대한 탄생 시즌3>에서도 주 흐름으로 나타난 듯하다. 이것은 열정이나 노력은 이제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사항이 되버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래서 '타고난' 목소리, 톤, 끼가 있어야 심사위원들의 눈에 들 수 있는 것이다.

 

2.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 논어 옹야편에 나오는 글이다. 흔히들 천재는 노력하는 자를 이길 수 없고,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이길 수 없다 정도로 이해한다. 그리고 바로 이런 맥락에서 한때 이영표를 비롯해 운동선수들의 단골 인터뷰 내용이 되기도 했다. "운동장에서 즐기고 싶다." 내심 이기고 싶은 마음을 이렇게 표현한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어쨌든 즐기는 것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그것에 동감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시절이 수상해진 탓일까. 마음껏 즐기거나 <미쳐야 미친다>고 외치기 보다 타고남이 우선으로 보이는 시절이 도래한 듯하다. 죽어라 노력해도 안되는 일을 자꾸 마주치다 보니 일어난 현상일지도 모르겠다.

 

3. 열정이 노동이 되어버린 세상이다. 청춘의 열정을 이용해 돈을 벌어들이려는 사람들이 많다. 열정에 대한 정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사회 제도가 아직 제대로 정립되지 못한 탓이다. 그래서인지 모르겠다. 열정이 사업이 되라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것을 찾으라고 충고하는 말들이 넘쳐나는 시대가 됐다. 그러나 사람들은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무엇에 열광하는지 잘 알지못한다. 우리가 받아온 교육은 자신의 재능을 알아채는 것이 아니라, 남들과의 싸움에서 지지 말라는 것이었으니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타고난' 재능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찾아내는 또는 평가하는 심사위원들의 눈이 우리에게 필요하다. 내가 '타고난' 것은 무엇인지 알 수 있다면 그것을 위해 미칠 수 있을테니 말이다. 개인적으로 오디션 프로그램이 재미있는 이유는 바로 그런 눈을 볼 수 있다는 데 있다. 그런데 그런 눈은 그냥 길러지는 것이 아니다. 여기에 딜레마가 있다. 하지만 생각해보라. 우리는 우리 몸뚱아리를 가지고 몇년, 몇십년을 살아오지 않았는가. 천천히, 그리고 찬찬히 나를 돌아보자. 내가 '타고난' 것이 무엇인지 찾아보자. 그리고 그것에 몸을 맡겨보자. 밥벌이의 험난함이 우리를 가로막고 있을지 모르지만 위대한 탄생의 꿈마저 잃는다는 것은 정말 슬픈 일이 아니겠는가. 나는 나를 캐스팅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