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클라우드 아틀라스의 최대 볼거리는 분장쇼다. 휴 그랜트가 1인 6역이나 했나? 아니, 저 사람이 수잔 서랜든이었어? 배두나 같은데... 톰 행크스가 틀림없어.  할 베리가 저런 모습으로 나타나다니! 등등 6종류의 다른 시간대의 인물들로 나오는 주인공들을 확인하는 재미가 솔솔하다. 1849년에서부터 2321년 까지의 6가지 사건을 다룬 이 영화의 흐름은 시간의 순서대로 흐르지 않기 때문에 종잡을 수 없을 정도다. 게다가 이들의 탁월한 분장 솜씨를 확인하는 것은 줄거리를 이해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으니 엔딩 자막이 오르며 나오는 보너스 장면을 통해 놀라는 기쁨을 누리면 될 것이다.
 
2. 500년이라는 시간동안 주인공들은 환생을 통해 거듭된 만남을 갖는다. 다만 영화가 헷갈렸던 것은 같은 모습으로 환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배역을 통해 환생을 쫓아가다간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대신 감독은 별똥별 모양의 점을 통해 한 인물의 궤적을 따라갈 수 있도록 배려해놓았다. 이것은 마치 환생이 똑같은 인생을 되풀이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해주는 듯하다. 반대로 예를 들어 톰 행크스라는 배역을 통해 환생을 쫓아가다보면 그의 변화된 심상을 확인할 수도 있다. 욕망에 가득찬 의사에서 점차 남을 생각할 줄 알게된 박사, 그리고 사랑에 성공한 남자로. 이렇게 쫓아가는 것은 인과응보라는 관점에서 옳은 선택일 수도 있겠다.
 
3. 2144년 네오 서울의 모습은 워쇼스키 감독의 전작 <메트릭스>를 떠올리게 만든다. 아일랜드와 메트릭스, 토탈리콜을 합쳐놓은 듯한 내용. 다른 시대들의 이야기도 마찬가지다. 어디선가 본듯한 것들의 뒤섞임이라는 인상을 벗어나지 못한다. 3시간이 안되는 러닝타임에 6시대의 사건들, 즉 1시대당 45분 정도의 러닝타임으로 이야기를 꾸려나가는 셈이다. 45분 정도면 충분한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6가지 사건 중 호기심을 자극하거나 감동을 주는 이야기는 없는듯하다. 물론 이것이 서로 연결된 구조임을 감안해 전체 맥락에서 보더라도 이야기는 그다지 재미가 없다.
 
4. 환생 또는 죽음이란, 문을 닫고 새로운 문을 여는 것이라는 생각이 영화의 핵심 테제라고 본다. 그리고 그 새로운 문을 열었을 때 사랑하는 사람이 기다리고 있는 것, 그것이 바로 삶이 주는 신비, 또는 행복이라 하겠다. 물론 그러기 위해선 다른 이들에게 친절을 베푸는 착한 일을 전생에 많이 해야 할 것이다. 세상은 나 홀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것은 내세로도 이어진다는 것이 영화가 말하고 싶어한 것일지 모른다. 그리고 내세가 보다 나은 세상이 되려면 경계 앞에서 두려워 주춤하지 말고 훌쩍 뛰어넘을 수 있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노예해방운동, 핵발전소를 둘러싼 오일기업의 비리 파헤치기, 클론들의 인권운동, 외계 종족과의 교류 등등. 세상은 누군가의 용기로 더 나아진 것이다. 그 용기는 그를 이해하고 사랑하는 동반자가 있을 때 더욱 힘을 발휘한다.
 
5. 소음과 소리, 음악의 구별은 마음먹기에 따라 달렸다고 말하는 주인공. 일체유심조를 떠올리게 만드는 단어들과 카르마와 환생을 말하는 것이 불교를 떠올리게 만든다. 그러나 불교는 환생의 고리를 끊는 것이 목표다. 되풀이 되는 인생이란 고통의 연속이며, 이것은 집착이 낳은 것이기에, 8정도를 통해 그 집착을 없애면 환생의 고리가 끊어지고 열반의 세계로 간다는 것. 그런데 영화는 열반의 세계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되풀이되는 현생이 더 나은 세상이 되기를 바란다. 그리고 더 나은 세상이란 나를 따스하게 안아줄 수 있는 누군가가 있다는 것. 그래서 영화는 해피엔딩의 동화로 끝난다. 더 나은 세상을 향해 힘쓴 사람들이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행복해진다는. 그러나 감동은 없다. 다만 인생은 혼자가 아니라는, 또는 아니여야만 한다는 위로를 가슴 속에 쓸쓸히 담아둘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