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자키 하야오의 영화 중 제일 재미있게 본 것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입니다. 나이를 먹고서도 절대 늙지 않는 감독의 모습에 찬사를 보냅니다. 그리고 3년 만에 내놓은 작품. <하울의 움직이는 성>

소녀가 마녀의 저주로 할머니로 변하게 되면서 겪게 되는 모험담이라고 짧게 말할 수 있겠습니다. 센과 치히로 보다는 다소 웃음이 준 것 같습니다. 대신 마법은 보다 풍성해졌고요. 음악은 역시 짱입니다. 히사이시 조의 음악은 정말 만화와 똑같이 환상입니다. 심금을 울리죠.

주인공 소피라는 소녀와 함께 이야기의 또 다른 축을 구성하는 것은 하울이라는 미소년 마법사입니다. 어렸을 적 캐서피(?)라고 했던가, 악마의 불씨를 삼키고 심장을 내놓는 장면은 많은 것을 상징하는 것 같습니다. 자유로운 삶을 선택하는 것은 그냥 얻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다고 심장을 내놓는 것이 양심을 판다거나 악마로의 변신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영화를 보면서 느끼는 것은 전쟁에 대한 반대, 사랑의 아름다움, 나이 먹는다는 것의 의미 등등 여러가지를 찾을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이런 주제들은 미야자키 하야오가 계속해서 추구해 온 것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것보다는 소피가 하울에게 심장을 돌려주는 장면이 기억에 남습니다. 하울은 심장을 받은 후 그 무게에 힘겨워합니다. 마음은 그만큼 무거웠던 것이죠.

하지만 그 무게말고 하울에게 달라진 것은 무엇일까요? 하울은 마음을 받기 전에도 착했습니다. 마음을 줄 상대가 없을 뿐이었지만요. 실은 그런 것 같습니다. 꼭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있어야지만 세상에 온정을 베푸는 것은 아닐지도 모릅니다. 그냥 무감각하게 착할 수도 있습니다. 하울처럼 말이지요. 사랑이 그의 눈을 뜨게 했다고는 보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꼬마아이의 모습을 보면 하울이 과거에 그를 어떻게 대했는지 알 수 있으니까요.

그렇다면 무거워진 마음은 어떻습니까? 심장이라는 마음을 전해받은 하울은 그 전과 어떻게 달라져 있을까요? 또는 달라질까요? 혼자 상상해봅니다. 때론 그 마음이 무거워 힘에 겨워하기도 할 겁니다. 하지만 마음이 주는 뜨거운 눈물을 흘릴 수 있을겁니다. 자신을 보호하고 있던 껍질을 벗을 수 있을 겁니다. 그것이 좋은 건지, 행복을 줄련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무거워진 만큼 분명 삶의 깊이도 깊어질 것이라고 믿습니다. 무거우면 무거울 수록 깊이 가라앉듯 말입니다.  마음은 보이지 않더라도 불처럼 그렇게 환하고 크게 번질테니까요. 그리고 그것이 어두운 삶을 환히 밝혀줄 수 있을테니까요. 비록 그 모습이 추할지 아름다울지 알 수는 없지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icaru 2004-12-29 0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화에 대한 느낌은 정말 십인십색인가봐요~ 님은 하울의 마음에 뽀인트를!!

잘 읽고 갑니다!!!

하루살이 2004-12-30 09: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0년 넘게 사랑해 온 감독의 작품. 알고보니 어렸을 적 코난부터. 그럼 20년도 훨씬 넘게 애정을 갖었던 것이죠. 정말 놀라웠죠. 나우시카 라퓨타 토토로 키키 붉은 돼지 ... 잊어버릴 수 없는 캐릭터들. 그래서 이제는 항상 무언가 새로운 것을 찾으려고 집착하려 합니다. 때론 이것이 영화를 즐기는데 방해가 될련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즐겁습니다.^^ 언제나 실망시키는 법은 없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