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의 종말
제레미 리프킨 지음, 이영호 옮김 / 민음사 / 199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기술의 발전이 세상을 변화시켜 온 중요한 일부분임은 사실이다.  특히 산업혁명과 같은 대변혁은 증기기관의 발명이라는 하나의 기술적 발명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변화는 노동의 변화를 가져오기도 했다. 농사기술의 발전과 그 도구들의 발명으로 노동력이 대체됨으로써 1차산업에 종사하던 사람들이 2차산업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이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2차산업이라는 분야는 많은 사람들을 필요로 했다. 이런 거대한 물결은 또다시 2차 산업의 3차 산업으로의 이동을 촉진했고 이제 21세기를 맞이해서 다시 한번 변화의 바람을 맞이하고 있다. 즉 서비스 분야에서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노동력이 대체되고 또한 1,2 차 산업에서 계속되는 기술의 발전은 점차 인간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까지 된 것이다.

그럼으로 인하여 실업자들이 대폭 증가하게 되고 3차 산업의 기술화로 인해 정보산업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간의 수입격차가 벌어져 빈부격차 또한 심각한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인간의 노동이 기계로 대체되는 순간 4차산업이라는 분야가 이러한 노동력을 흡수해야 하겠지만 아직 이런 분야의 태동을 발견할 수 없다. 그렇다면 대체되어진 노동은 어떻게 될까?

일단은 노동시간을 단축해서 많은 사람들이 노동을 나누어 갖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에도 분명 한계가 있다. 리프킨은 이부분에서 대량의 실업자와 빈부격차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깊어져 혁명과 같은 분노로 표현되어지거나, 많은 사람들이 나머지 노동시간을 나눠가짐으로써 얻게 되는 레저시간 또는 여유시간의 확대로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는 두 방면으로의 길을 내비친다. 그리고 당연히 우리는 후자의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그 방법으로서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라는 새로운 분야를 제시한다.

사회적 경제라는 것은 지금의 시민단체나 자원봉사와 같은 자발적 집단의 생성과 이들의 경제적 활동을 이야기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 기존의 노동자들이 이분야에서 일을 했을때 세금 감면등이 주어지고, 정부나 기업체에서 이런 분야를 만들어 새로운 노동력을 흡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만들기 위한 재원은 부가가치세를 통해서 많은 부를 창출한 사람들로부터 거둔 세금을 실업자들에게 주는 방법과 기업체에 주어졌던 세금감면 정책을 철회하고 이 분야로 돌리는 등의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 사회적 경제라는 것이 비록 4차산업이 되지는 못하지만 분명 새로운 분야임에는 틀림없다. 그리고 리프킨이 제시한대로만 이 세계가 움직여준다면 분명 미래는 유토피아가 될 것이다. 지금의 현실을 직시해보더라도 실업자의 증가와 빈부의 격차라는 현상은 분명 들어맞고 있으며 시민단체나 자원봉사집단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노동시간을 나눠갖는다거나 빈부격차의 해소에 대한 방법은 도대체가 희망이 없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융합이 이루어지지 않듯이 노동시간을 실업자와 나눠갖는다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다운쉬프트 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으나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노동시간의 단축은 환영할지 모르나 수입이 주는 것은 쉽게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먼저 필요한 것은 세상이 어떻게 변해가는가에 대한 통찰과 아울러 그것에 맞는 생활방식의 변화를 머릿속으로 그려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 유행하고 있는 웰빙과 다운쉬프트에 대한 참다운 뜻을 알고 그것에 맞는 삶으로의 이동도 한가지 방법이다. 그러나 세상은 이런 변화마저도 소비패턴속으로 흡수하고 있다. 그리고 그 수혜자는 몇명의 소수에게로 돌아가 그들만이 풍족한 삶을 영위한다. 진정 우리가 필요한 것은 죄수의 딜레마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내가 이익을 얻기위해 취한 행동이 결국 모두를 공멸시킬 가능성이 농후하다. 적게 벌고 적게 일하고 많이 놀 수 있는 세상, 소비의 유혹을 떨쳤을때 가능하다. 모든 것을 자본의 속성으로 몰고가는 현실에서 과연 우리는 유토피아의 꿈을 이룰 수 있을것인가?

 

진짜로 놀 줄 아는 인간이 되자. 시간에 잠식되지 말고 돈에 잠식되지 말고 진짜로 나를 자유롭게 만드는 참다운 놀이에 빠질 수 있는 인간이 되자. 논다는 것에 대한 죄의식에서 벗어나 기계가 대체해버린 노동을 맘껏 유용하자. 그러기 위해선 남을 위해 사는 방식이 필요한 것이다. 사회적 경제로의 진입. 그것을 통한 대동제. 유토피아는 그곳에 있을지 모른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caru 2004-10-01 11: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어....만만치 않은 책으로 보이는군요... 사실...저도 읽을려고 사놓았답니다만...
곧 읽어야겠다는 의욕이 불끈!!

icaru 2004-10-01 1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전에....제가...이이의 소유의 종말을 읽고, 썼던 리뷰의 제목도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란 단어를 넣어 붙였었는데...님도 그러네요..헐...!! 이런 일치는...음...ㅋㅋ

하루살이 2004-10-01 15: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 저도 다음 책으로 소유의 종말을 읽으려고 준비중인데. 정말 ... 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