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도 배워야 하는 시대가 왔다. 내년엔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 행복 교과서가 시판될 예정이다. OECD 국가 중 청소년 자살률은 최상위권이면서. 행복지수는 최하위권인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중앙일보 11월 17일자) 당연히 행복도 연습과 훈련을 통해 단련될 수 있는 기술이라는 전제를 깔고 있다. 즉 무엇인가를 목표로 내세우고 그것을 완성했을 때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라, 어떤 조건에서든 그 상황을 활용해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친다는 것이다. 이 행복의 기술은 긍정심리학에서 차용됐다. 즐거운 삶, 몰입하는 삶, 의미있는 삶을 통해 행복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취지하에 나온 교과서가 혹시 지금의 교육방식처럼 주입식으로 변질되면 어떻게 될까.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하기 위해선 어떤 삶의 방식을 택해야하는가. 라는 질문에 정답을 찾기 위해 교과서를 달달달 외우기만 한다면 과연 행복의 기술을 터득할 수 있을까. 물론 성적과 관련된 시험과목이 아니라면 걱정할 필요도 없는 일이다. 하지만 성적과 관련되지 않은 과목이라면 또 학생들이 얼마나 관심을 가져줄까. 

한편 88만원 세대라는 말이 결코 과장이 아닌 사회에서, 사다리에서 걷어차이지 않고 무한 경쟁에 뛰어들어야 하는 사회에서, 행복은 돈으로 주어진다는 배금주의가 팽배한 상황에서, 아이들이 행복의 기술을 배운다고 하더라도 현실과의 괴리감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또는 불평등하거나 부조리한 현실을 허허 하하 하며, 긍정의 심리로, 행복하다는 '최면'으로 넘어가버린다면 변화 또는 변혁의 꿈마저 저버리는 것은 아닐까. 삶에 지친 도시인의 한 사람으로 쓸데없는 기우에 빠져본다.  

 

사족 

수많은 행복론 속에선 결코 행복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을 가르쳐 준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라는 책 일독을 권한다. 이 책 또한 'ㅇㅇㅇ하면 행복해 질 수 있다'라는 것이 함정임을 가르쳐준다. 다른 한편 과연 행복이란 것이 우리 삶의 지상 과제인지도 생각해볼 문제이다. 왜 우리는 행복에 그토록 천착하는가. 그리고 나와 당신의 행복은 과연 같은 행복일까. 누군가는 행복이라 쓰고 도전이라 말하고, 누군가는 행복이라 쓰고 만족이라고 말한다면 모두가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일일까. 그렇기에 행복이라는 단어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의도하지 않은 갈등. 부정적 힘에 대한 성찰도 필요한 때이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