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전도사 최윤희씨가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아무리 힘들고 어려운 일이 있더라도 행복한 마음가짐으로 살아가자던 사람이었다. 그런데 자신의 말과 완전히 상반된 자살을 선택했으니 그야말로 충격적인 사건이다. 이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입장 또한 천차만별일 것이다. 나에게는 가장 먼저 안락사가 떠올랐다. 

1. 존엄사와 안락사

2004년 스페인 영화 <씨 인사이드>(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감독)는 안락사를 다루고 있다. 26년 전 바다에서 다이빙을 하다 전신마비가 된 라몬 삼페드로가 죽을 수 있는 권리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다. 안락사를 인정하지 않는 스페인에서 실제로 벌어진 일을 그리고 있다. 그는 입으로 펜을 잡고 글을 쓰면서 유명세를 타고, 그를 동정하는 두 여자와 사랑.우정의 관계를 맺는다. 하지만 가족들의 헌신도 새로 찾은 사랑도 그의 죽음에의 동경을 꺾진 못한다. 스스로 택한 죽음이란 절대 악이 아니라 누군가에게는 아름다운 선택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절대 죽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했던 나에게 안락사에 대한 생각을 바꿔준 영화였다. 

최윤희씨가 자살했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 맨처음 든 생각은 왜였다. 그 왜에 대한 답은 그녀의 유언으로 어느 정도 밝혀졌다. '죽고싶을 정도로 고통스러운'이라는 단어로는 절대 그 고통을 설명할 수 없다. 정말 끔찍할 정도의 고통을 몸으로 느껴본 사람만이 감히 죽음과도 맞바꿀 수 있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실감한다. 그 고통을 피할 수만 있다면 죽음도 기꺼이 감수할 수 있는 정신상태를 이해한다는 것은 쉽지 않지만 가슴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고통을 치료할 수 없고 그 끝을 가늠할 수 없다면 더더욱 그렇다.  

누군가는 그 육체적 고통으로 인한 정신적 고갈을 털어놓을 수 있는 상대만 있었더라도 자살은 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행복을 말하던 사람이 불행한 자신의 처지를 털어놓을 수 없을 정도로 각박한 사회현실을 탓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물론 정신적 고충을 털어놓고 치유할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끔찍한 육체적 고통을 근본적으로 치유할 수 없을 때, 끊임없는 병원신세로 망가져 가는 모습이 예측될때, 행복한 기억을 가지고 이성적인 모습으로 자신의 삶을 스스로 마감할 수 있는 안락사를 인정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사회적 고민도 있어야 한다. 점차 존엄사를 인정해가고 있는 현실에서 이젠 안락사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필요한 시점이지 않을까. 행복전도사는 그렇게 마지막 인사를 나눈 것은 아닐까. 

존엄사와 안락사 - 두산백과사전 중 

존엄사란 최선의 의학적 치료를 다하였음에도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에 이르렀을 때, 질병의 호전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하고 질병에 의한 자연적 죽음을 받아들임으로써 인간으로서 지녀야 할 최소한의 품위를 지키면서 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비하여 안락사는 질병에 의한 자연적 죽음이 아니라 인위적 행위에 의한 죽음이라는 점이 다르다. 안락사 중에서도 환자의 요청에 따라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에게 약제 등을 투입하여 인위적으로 죽음을 앞당기는 것을 '적극적 안락사', 환자나 가족의 요청에 따라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공급이나 약물투여 등을 중단함으로써 환자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 행위를 '소극적 안락사'라고 한다. '소극적 안락사'를 존엄사와 동일시하는 견해도 있다.

 

2. 지행일치의 어려움

한편으론 최윤희씨가 말한 행복은 머리로 알았던 행복이지 않았을까 생각해봤다. 물론 자신의 경험치만큼 쌓인 행복에 대한 지식이었을 테다. 자신이 살아온 꼭 그만큼의 지식으로 사람들에게 행복을 전도하지는 않았을까. 그래서 어떤 고통과 어려움이 닥치더라도 행복을 떠올리라고 말했을지도 모른다. 자신이 죽음에 이르기 직전까지 그러했듯이 말이다. 그리고 결국 자신의 죽음으로 행복 전도사는 행복에 대한 자신의 정의를 새롭게 내리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직접 몸으로 부딪혔든 책이나 강의, 대화를 통해 얻었든 간에 경험이 가져다 주는 지식은 그 사람의 행동을 결정하곤 한다. 하지만 때때로 자신이 쌓아온 지식과 선택의 상황에서 내린 결정이 어긋나는 경우도 간혹 있다. 그 지식이 가슴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머리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 지식은 마땅히 그러해야 한다는 당위성은 있지만 실제 내 몸을 움직이게 만드는 힘은 없다. 그에게 길은 가르쳐주지만 실제 발걸음을 옮기는 용기까지 주지는 못한다. 마음으로 가슴으로 얻은 것이 아니기 때문일 수 있다. 혹시 행복전도사의 전도는 머리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을까.    

책이 나를 변화시키지 못한다면 그 책은 결코 읽은 것이 아니라는 가르침은 가슴으로 쌓는 지식의 참된 힘을 말해주는 것은 아닐까. 지행일치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새삼 깨닫는다. 또한 내가 알고 있는 것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진정한 용기를 지닐 수 있기를 바라본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그곳에서 진짜 행복하기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루살이 2010-10-11 1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죽음에 대한 권리도 제대로 누릴 수 있는 세상이 와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