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에 동영상을 올려 연 수입이 3억 7000만원에 달하는 청년에 대한 기사가 회자되고 있다. 동영상을 클릭한 숫자에 따라 유튜브와 5 대 5의 수익배분을 나눠갖음으로써 큰 수입을 얻게 됐다. 또 최근엔 유료 앱 콘텐츠를 개발해 단번에 8000만원의 수입을 올린 사람이 있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사람들은 앱 하나 잘 만들거나 동영상 하나 잘 만들면 떼돈을 벌 수 있을 것이라는 환상에 빠진다. 마치 10여년 전 로또 하나 잘 맞으면 벼락부자가 될 수 있다는 희망처럼. 물론 로또야 순 운이지만-누군가는 복권을 20년 30년 꾸준히 샀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반론을 제기하기도 한다. 성실함이 행운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근면, 성실의 이데올로기가 확률의 게임에까지 개입된다- 앱이나 동영상은 창조적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개개인의 노력이 밑바탕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 다르긴 하다. 하지만 모두 다 큰 것 한방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사람들은 한 방에 목말라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상은 이 한방의 기회가 점차 많아지고 있는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단순히 천운에 기대는 것 뿐만 아니라 아이디어 하나만 있으면 인생역전이 가능할 것이라는 희망을 안고 산다. 그러나 유튜브 동영상이나 앱 콘텐츠나 주식이나 부동산이나 한 방은 결코 많은 사람들에게 돌아가지 않는다. 여전히 소수의 사람들만이 누릴 수 있다. 그 기회가 넓어지고 있는 건 분명 사실이고, 어찌보면 자본주의의 발달은 이런 기회의 넓어짐으로 설명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하지만 역시 모두에게 돌아갈 수는 없는 일이다.  

오늘 내가 하고 있는 이 일이 행복하다면 한 방에 대한 목마름이 그토록 크진 않을 것이다. 생계에 대한 두려움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도 한 방의 유혹은 그 힘을 많이 잃을 것이다. 사는게 힘들고 일이 자아의 완성이 아니라 입에 풀칠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수단일 때 한 방은 크게 다가온다. 한 방이 보다 더 크고 보다 더 쉽다고 느껴질 수록 우리는 진리나 행복이라는 단어를 잊은 채 오직 한 방을 그리워한다. 그 한 방에 목메는 순간,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지를 가끔 잊어버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