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을 뜬다는 것은 물리적인 의미와 함께 각성의 의미도 갖는다. 영화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는 갑자기 눈앞이 하얗게 변하며 눈이 머는 바이러스가 퍼지고, 이 와중에 인간이 집단 속에서 어떻게 힘의 균형을 유지하는지, 반대로 현재의 힘의 균형이라는 것이 얼마나 위태롭게 유지되고 있는 것인지를 깨닫게-눈을 뜨게- 해준다. 그리고 다시 느닷없이 시력을 회복하면서 과연 살아남은 자들이 희망찬 미래를 만들어 갈 것인지, 암울한 미래로 떨어질지 관객 스스로 상상하게 만든다.  

힘의 균형이 깨져 나가는 것은 먼저 개인과 국가간의 관계에서부터다. 여기에서 힘이란 부와 권력보다 더 근원적인 물리적 힘, 즉 폭력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국가란 군대와 경찰과 같은 물리적 힘을 갖고 있는 대상이다. 그들은 눈이 먼자들을 격리 수용함으로써 자신들의 지위를 유지하고자 한다. 격리에 저항하는 자들은 군의 총에 의해 사살당한다.  

격리수용된 눈먼 사람들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생존의 문제다. 특히 먹을것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을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다. 이 과정에서 수용인구가 늘어나자 힘의 불균형이 생기게 된다. 한쪽 집단은 유일하게 눈이 보이는 여자가 힘의 중심에 서게 되고, 다른 한쪽은 총을 든 남자가 힘을 발휘한다. 총은 곧바로 생명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권력을 휘어잡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 그리고 이 총을 쥔, 즉 힘을 꿰찬 권력은 이 힘을 과용해 성상납과 패물과 같은 재산을 빼앗는다. 눈이 멀었다는 그 한가지 점만으로도 인간은 도덕을 잃어버리게 된 것이다. 민주적 집단보다 총을 쥔 집단이 그들만의 세상에서 권력을 쥐게 된 것이다.

하지만 눈먼 총이라는 힘은 결국 그 눈멈 때문에 파멸에 이른다. 유일한 눈뜬 자에 의해 권력의 치우침은 깨지고, 그 와중에 격리수용을 담당했던 사회마저 무너져내린다. 이제 모든 세상이 눈 멀어 있는 셈이다. 그 속에서 과연 인간은 힘의 균형을 유지하며 평화를 정착시킬 수 있을까. 인간에 대한 믿음만이 그 결과를 예측가능하도록 해 줄 것이다. 영화는 눈먼 자가 다시 눈을 뜨는 것을 통해 암울한 전개과정에서 한줄기 빛을 내비친다.  

그런데 정녕 우리는 눈을 뜰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