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갑자기 홍콩 느와르가 그리워진다. 이쑤시개를 입에 문 주윤발의 모습과, 코피를 흘리는 유덕화, 총에 맞고 쓰러지는 장국영 등. 고등학교 시절 푸른 빛이 감도는 홍콩영화에 반해 프라모델 소총까지 샀던 기억이 있다. 동생과 함께 BB탄을 날리며 영화 속 주인공이 된 듯 착각에 빠졌다.

그런데 갑자기 이런 홍콩 느와르가 떠오른 이유는 무엇일까? 아무래도 세월이 하 수상키 때문일련지도 모르겠다. 홍콩 느와르라는 것이 중국으로의 반환을 앞둔 홍콩인들의 불안한 감정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추측된다. 눈앞에 닥친 현실이 자꾸 우울하기 떄문에 당시의 기분으로 되돌아가고싶어하기 때문이지 않는냐는 것이다.

1980년대말, 1990년대 초 홍콩영화의 소재이자 테마는 의리였다. 주인공들이 비록 조직폭력배이거나 범죄자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동경했던 것은 목숨을 내주고서라도 의리를 지키는 모습 때문이었다. 물론 이 의리를 지킨다는 것이 악용이 되다보면 처참한 복수의 연쇄로 이어지겠지만, 당시 피끓는 나이엔 다른 것은 보이지 않았다. 목숨도 바칠만큼 끈끈한 그 무엇을 나도 갖고 싶었던 것이다.



그런데 갑자기 이들의 의리가 떠오른 이유는 무엇일까. 아무래도 영웅본색에서 지폐에 불을 붙여 담배를 피는 주윤발의 모습의 영향이 가장 클 듯 보인다. 돈이면 다 될 것 같은 세상, 돈으로 모든 것을 움직일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지는 세상을 대하다보니, 너무 우울하다. 그런데 그 돈을 불쏘시개 정도로 생각하며 친구를 위해, 가족을 위해 피를 바치는 모습은 지금 돌이켜보아도 감동적이다.

그렇게 불쏘시개마냥 돈을 대할 순 없을까? 그렇게 목숨을 바칠만큼 애정을 가지고 사람을 대할 순 없을까? 점차 시대에 묻혀가는 내 자신을 돌아보며 홍콩의 푸른 빛 밤거리를 떠올려본다. 영화 포스터처럼 더 나은 내일을 맞이할 수 있을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