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버트 카파는 보도사진기자다. "만약 당신의 사진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그것은 너무 멀리서 찍었기 때문이다"라는 말을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실제로 그 자신 전쟁터에서 항상 군인들보다 더 가까이 현장에 접근했다. 그의 기자정신으로 '카파이즘'이라는 말이 탄생되기도 했다. 그는 마흔 한 살의 젊은 나이에 베트남에서 취재를 하다 지뢰를 밟고 숨졌다.
그의 사진 중 가장 유명하면서 또한 그가 종군기자로서 세상에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된 것은 1936년 스페인 내란에서 총탄을 맞아 쓰러지는 병사의 모습을 찍은 사진 덕분이다. 도저히 인위적인 설정으로는 불가능한 숨막히는 순간을 담아냈다.
또 그를 대표하는 작품으로는 '카파의 손은 떨리고 있었다'라는 사진이다. 1944년 6월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담은 것으로 핀트가 맞지 않은 사진이다. 하지만 전쟁의 절박함을 오히려 잘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큰 감동을 주었다.
그런데, 그 전
후사정을 살펴보면 인생이란 참 우연이라는 것이 거대한 운명의 수레바퀴를 돌리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보게 만든다. 노르망디에서 찍은 파카의 사진은 총 106장이었다. 그런데 '라이프' 암실 직원의 실수로 대부분 소실되고 겨우 10장 정도만 남는다. 이 사진들이 라이프에 실리면서 오히려 빛을 발하게 됐다.
소실된 사진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는 모른다. 개인적으로 생각해보건대 발표되지 못한 96장의 사진 중엔 제대로 포커스가 맞고 구도가 잡힌 사진이 몇 장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아마도 그렇게 잘 나온 사진이 보도자료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살아남은 사진은 흔들리는 촛점의 사진. 그 뒷이야기를 알지 못하는 나로서는 순전히 상상을 해본다. 편집자는 무척 고민을 했을 것이다. 초점도 맞지 않는 이런 사진을 실어야만 할 것인가. 사진은 실렸다. '카파의 손은 떨리고 있었다'라는 이름으로. 사진은 이 제목 하나로 더 큰 힘을 얻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인생은 때론 실수가 실패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행운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그래서 우린 좌절할 필요가 전혀 없다. 물론 그의 흔들리는 사진은 목숨을 걸고 찍은 것이라는 것은 잊지 말아야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