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4월 5일 맑음 1도~18도
매년 새로 심어야 하는 한해살이보다는, 한 번 심고나서 여러해를 관리해야 하는 여러해살이를 좋아한다. 되도록이면 땅을 파헤치는 일을 최소화하고 싶어서다. 하지만 우리의 식탁 위에 올라오는 다양한 반찬들의 대부분은 한해살이가 많다. 여러해살이의 경우엔 식탁에 한 번 올리기 위해 긴 시간을 기다리는 것이 경제적으로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서일 것이다. 대신 여러해살이 작물의 경우엔 약재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긴 시간만큼의 생명력이 더해져 약성이 더 강하기 때문이지 않을까. 다만 여러해살이의 경우엔 중간에 관리 소홀로 죽게되면 낭패가 아닐 수 없다. 그 긴 시간을 통째로 잃어버린 셈이기 때문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408/pimg_7731841432905932.jpg)
황기가 새롭게 싹을 냈다. 올해 2년차다. 비록 두세개 정도밖에 되진 않지만, 그래도 살아있다는 것이 반갑다. 반면 옆에 심겨졌던 지황은 싹을 내밀 기미가 없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408/pimg_7731841432905933.jpg)
지난 여름 장마기간 물에 푹 파묻혀 죽을줄로만 알았던 도라지도 얼굴을 내밀었다. 신기할 따름이다. 다년생 식물이 자라기에는 땅이 거칠고 황폐하기에, 양분을 어떻게 공급해야 할지 고민이다.
여러해살이 풀들이 나이를 한 살 먹었다. 뿌리는 더 굵어질 것이다. 하지만 매년 새롭게 잎을 낸다. 우리도 나이를 먹으며 지혜와 심지는 굵어지고, 생각은 파릇파릇하기를 소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