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금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전염일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으로 세상이 멈춰버림으로써 많은 이들이 고통받고 있다. 이런 전염이 가져오는 공포는 드라마나 영화의 소재로 많이 등장한다. 꼭 전염병만이 아니다. 좀비와 같은 크리처물을 통해 전염에 대한 공포를 드러내기도 한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스위트홈]은 크리처물이지만 좀비와 같은 전염의 성격을 지니진 않는다. 하지만 전염보다도 더 막강한 욕망이 크리처를 낳는다는 설정으로 공포감을 더한다. 그야말로 한국형 크리처물의 새로운 탄생이라 할 만하다. 모두가 똑같이 뛰고 물어뜯는 좀비가 아니라 각자의 욕망에 따라 다른 형태의 괴물이 탄생하는 것이다. [스위트홈]의 재미는 이런 다양한 괴물과, 이들과 맞서는 다양한 사람들의 심리, 그리고 괴물보다 더 괴물같은 인간 등등이 등장했다 퇴장하면서 그 크기를 키워간다. 단 한 순간도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다. 시즌2가 빨리 만들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2. 크리처물은 대부분 이들과 맞서는 인간들 중 주인공을 전면에 내세운다. 나머지 조연급들은 주인공을 돋보이게 만드는 존재다. 그런 차원에서 조연들은 괴물들과 싸우다 죽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너무 쉬우면서도 허무하게, 때로는 숭고한 희생정신으로 말이다.
[스위트홈]은 조연들이 생생하게 살아있다는 점이 특색이다. 주연을 위한 장식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조연급 한 명 한 명에 대한 사연을 소개해줌으로써 애정을 갖게 만든다. 괴물을 대하는 각자의 방식이 왜 서로 다른지에 대한 설명도 자연스레 이뤄지는 것이다.또한 이런 각각의 개성이 소규모 집단을 형성하면서 때로는 갈등을 때로는 결합을 가져오는 다양한 양상을 띤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이런 <관계>에 촛점을 맞추는 것은 동양적 사고방식의 특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이런 특색이 [스위트홈]의 재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보여진다.
3. [스위트홈]이 바라보고 있는 유전에 대한 관점도 흥미롭다. 현재 방송되고 있는 드라마 [낮과 밤]은 현 인류를 뛰어넘는 새로운 종을 만들기 위한 실험도구로쓰여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스위트홈] 또한 비슷하게도 사람에서 괴물로 넘어가버린 존재가 아닌, 사람이지만 괴물의 힘을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새로운 종이 탄생됐음을 알린다. 주인공 차현수 또한 괴물에게 먹히지 않은 불멸에 가까운 존재로 변신했다. 이런 차현수에게 현 인류를 경쟁상대로 보고 죽여도 무방한 존재로 여기는 정의명이라는 괴물이 나타난다.
[낮과 밤]에서도 [스위트홈]에서도 그렇지만 이들은 마치 네안데르탈인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아 현 인류의 조상이 된 호모사피엔스처럼, 호모사피엔스를 없애고 새로운 승자의 종으로 지구를 지배하고자 하는 욕망을 드러낸다. 반대로 현수와 함께하고 있는 아파트 사람들은 처음엔 사람과 다른 종으로 배척하는 관점으로 현수를 바라보다 점차 현수의 희생정신과 인내심에 마음을 바꾸어 그를 받아들이려 한다.
[스위트홈]에서는 우리와 다르다는 이유로 배척받은 존재들의 반란을 다루는 영화 [엑스맨]의 시선도 조금 느낄 수 있다.
4. [스위트홈]이라는 시리즈의 핵심은 괴물의 등장이다. 그리고 그 괴물은 다름아닌 욕망의 실체이다. 욕망은 절대 채워질 수 없는 것, 또는 금기시됨으로써 억압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욕망은 항상 배고픈 상태이며, 갈구하는 상태이다. 그런 허기와 갈구가 결국 인간을 괴물로 만드는 것이다.
그렇다고 모든 욕망이 인간을 해치는 것은 아니다. 누군가를 해치지 않는 괴물이 있는 것처럼 말이다. 괴물로 표현된 욕망이 뒤덮힌 세상, 과연 [스위트홈]의 주인공들은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