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김용옥 지음 / 통나무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올선생 책의 재미는 곁가지에 있다. 책의 중심테마를 이야기하면서 뻗어나가는 곁가지가 풍성하기 때문이다. 때로는 그 곁가지가 너무 지나쳐 간혹 중심테마를 미처 다 보여주지 못한다는 부작용이 있긴 하지만 말이다.

 

이번책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는 반야심경을 해제한 것이 중심테마다. 반야심경을 풀이하고 이야기하기 위해 스무살 때 화장실에서 보게된 반야심경과의 인연에서 시작해, 조선시대 불교사의 중심인물을 훑고 내려온다. 

 

그러면서 뻗쳐내려가는 곁가지 중 주의깊게 새겨들을만한 구절들이 있다.

 

30년 동학의 민중조직건설의 비결은 다름 아닌 콜레라와의 전투였습니다. 희한하게도 괴질귀신은 동학도들을 피해간다는 소문이 전국에 유포된 것이죠. ... 하여튼 19세기 조선에 상륙한 콜레라는 한편으로 동학혁명의 기초를 구축시켰고, 한편으로는 새로운 선불교의 정신혁명을 촉발시켰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역사라는 것은 항상 동일한 국면을 놓고도 다양한 인물들이 다양한 테마를 전개해나가는 것이죠. 59쪽

 

 

 

새로운 선불교를 선보였던 경허 또한 콜레라에 걸린 마을을 지나치며 느낀 생사일여의 무너짐을 통해 용맹정진의 계기를 갖게 된다. 이처럼 어떤 한 사건이 운명을 쥐고 흔들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물론 그 사건 단 하나의 조건으로 그렇게 된 것은 아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인연처럼, 수많은 원인들이 쌓여서 그 하나의 큰 사건이 운명을 촉발시킨다. 하지만 그런 큰 사건을 맞이하면서도 그것이 자신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사건임을 인식하지 못한다면, 결코 변화는 찾아오지 않을 것이다. 사건과 그것에 대한 반응이 어떻게 행동으로 나타나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지금, 그곳에서 당신에게 일어나고 있는 그 사건이 운명적 사건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채는 눈과, 그것에 대해 행동할 줄 아는 손발을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하나의 사건을 넘어 환경이나 배경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삶에 대한 시선의 차이도 있다.  

 

 

고조선 고구려문명의 테마가 생이고, 인도문명의 테마가 고라고 한다면 중동문명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테마는 역시 죄입니다. 사막에서의 삶은 공동체의 영역이 매우 좁으며, 대자연의 순환이라는 생생지도에서 단절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대지를 생명의 근원으로 인식할 수 없으며, 땅에 대한 애착과 신념이 없습니다. 따라서 하늘을 수직적 관계 속에서 초월적 존재로서만 인식되고, 우주의 순환이라는 시공범주를 벗어나 버리죠. 그런데 사막의 사람들이 이 하나님이라는 존재자에 대하여 갖는 의식은 죄라고 하는 한계상황을 통해 매개됩니다. 126쪽

 

지금의 나를 이루는 것은 나 혼자만의 독단적인 것이 아니라, 내가 처한 환경과 역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그렇기에 절대적인 그 무엇이란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아무튼 이런 곁가지를 지나 불교와 반야심경에 마주친다. 

 

 

 

누구든지 석가모니를 생각하고 석가모니를 본받고 석가모니의 말씀을 실천하기만 하면 석가모니가 될 수 있다. 그러한 각성, 자각이 든 사람을 보리살타, 즉 보살이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죠. 보살은 보리를 구현한 존재, 보리를 향한 존재, 보리의 실현이 그 본질인 사람, 보리가 체화된 사람이라는 뜻이지, 비구보다 더 낮은 단계의 사람도 아니고, 스님을 섬겨야만 하는 공양주보살도 아닙니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불교라는 전체체제에 엄청난 변화를 주게 되었습니다. 비구중심의 승방정사에서 탑중심의 거대한 가람으로 불교중심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죠.  173쪽

 

싯달타가 보리수 밑에서 깨달은 것은 연기 하나입니다 연기라는 것은 이 우주의 모든 사태는 그것을 가능케 하는 무수한 원인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한 관계망 속에서만 이벤트, 해프닝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연이라는 것도 인은 주원인이고, 연은 그 주변에 묻어 있는 수없는 보조원인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인연이 사라지면 존재는 소리 없이 사라지고 맙니다. 그것이 공입니다. 213쪽

자, 그래서 반야심경은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을까.사법인(제행무상, 일체개고, 제법무아, 열반적정)과 연기(유전연기 - 고제(과) 집제(인) 와 환멸연기 - 멸제(과) 도제(인)), 대승의 실천원리 6바라밀(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 등을 통해 삶의 지혜를 건네고 있다. 뜬구름같은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먼저 부를 찬양하고, 물질적 소비를 권유하며, 쾌락에 탐닉하는 시대의 정신을 알아챌 필요가 있을 성싶다. 그리고 이런 시대적 배경 속에서 과연 우리는 어떤 정신으로 삶을 향유하는 것이 진정한 행복인지를 고민해보아야 할 것이다. 반야심경 또한 이런 이야기를 건네고 있는 것이기에.

 

 

 

 

 

 

 

경허스님 법문- 삐뚤어진 나무는 삐뚤어진 대로 곧고, 찌그러진 그릇은 찌그러진 대로 반듯하며, 불량하고 성실치 못한 사람은 그대로 착하고 성실함이 있느니라.

불교의 경직된 계율주의를 본질적으로 거부. 우리를 짓누르고 있던 모든 속박으로부터의 해탈을 구가하는 자유로운 영혼. 96쪽

한국의 불교는 불교의 원래의 모습을 통째로 보전한 통불교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경허 같은 사람이 고뇌하고 있는 것은, 훌륭한 선사가 되기 위한 노력이 아닐, 단지 불교가 가르쳐준 근본 진리를 통해 참다운 인간이 되고자 하는 아주 보편적이고, 기본적이고, 상식적인 인간학의 과제상황이었습니다. 113쪽

선이니 삼매니 요가니 하는 말들이 뭐 대단히 어려운 철학적 용어가 아니라 정신집중 정도의 아주 비근한 인도말의 다양한 표현일 뿐이라는 것이죠. 116쪽

종교는 기원(빔)입니다. 화를 피하고 복을 비는 것은 인간의 지극히 평범한 심원이고 종교의 본질에 속하는 것이죠. 탑돌이도 기원의 문화입니다. 170쪽

금강경이 말하는 벼락은 나와 대상 사이의 집착에 치는 것이 아니라 바로 나에게 내려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멸집이다. 193쪽 그림 풀어보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