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단 1
플로르쩌 즈비흐트만 지음, 지명숙 옮김 / 동녘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세기 루마니아 시골 소년들의 이야기를 허구의 축으로 두고, 여기에 15세기 왈라키아(현 루마니아) 공국의 제후, 블라드 체페슈(드라큘라로 알려짐) 에 대한 해석을 더해 완성한 역사 판타지 문학.
소설은 인간의 권력욕과 폭력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인간이 선한 존재인지, 악한 존재인지에 대한 내기를 하고 있다. 하지만 마지막으로 책장을 덮으면 인간이 얼마나 나약한 존재인지를 깨닫게 된다.
 
불페는 강도단인 늑대단에 들어간다. 따분한 농촌의 삶이 지겨워서다. 그 늑대단은 불페의 형인 루푸가 두목으로 있다. 늑대단은 허물어져가는 사원에서 15세기의 보물을 훔친다. 그 중 드라큘라로 알려졌던 블라드 체페슈의 검에 서로 눈독을 들인다. 이 검은 권력을 상징한다. 불페는 형의 자리를 탐낸다. 형제간의 목숨 건 싸움이 진행된다.
이들의 싸움을 부채질하며 인간의 본성을 저울질하는 사람들이 있다. 아니, 사람이 아니라 유령이다. 바로 드라큘라와 그의 동생. 이 둘은 15세기 루마니아라는 나라의 왕자다. 당시 오스만 제국의 침략 속에서 국가의 평화와 안녕을 지켜내고, 유토피아를 건설하고자 꿈꾼다. 하지만 두 왕자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국가를 다스린다. 엄격한 제도와 법률로 다스리며 국가의 독립을 지키려하거나  제후들과 협조를 통한 조약을 통해 다스리는  방식의 차이는 단순한 정치술의 차이가 아니라 인간성의 차이로도 드러난다.
 
소설이 등장인물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는 인간의 모습을 한번 살펴보자.
 
나는 인간이 존재하지 않는 세계를 동경했다. 인간성을 초월한 육신을 갈망했다. 나는 동물처럼 살고 사냥하고, 그리고 죽이고 싶었다. 나는 더는 우리가 하는 짓이 좋은지 나쁜지, 혹은 내가 악한 인간인지에 대해서 골머리를 앓을 필요가 없기를 바랐다. 간단히 말해 나는 이제는 인간의 탈을 벗어버리고 싶었다.(2권 11쪽)
더는 인간의 가면을 쓸 필요가 없으며, 인간의 규율을 지키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흥분을 고조시켰다. 살인이 모든 법칙과 계율에서 자신을 해방시켜주었다. 스스로가 선택한 행위였다.
손에 든 단도나 활이 권력을 부여했다. 삶과 죽음을 결정짓는 권력.(2권 62쪽)
인간의 조작으로 천국이 땅에 내려올 수는 없어. 그리고 평화는 피로 얻어지는 게 아니야. 우리 마음대로 우리의 운명을 조절할 수 없어.,. 그렇게 하려고 안간힘을 쓸수록 되레 더 실망하게 마련이야.(2권 148쪽)
우리가 소위 악이라고 부르는 것의 싹이 이미 그 녀석들의 내부에 존재해 있었다는 뜻이야. 최소한의 노력으로 벼락부자가 되기를 간절히 염원하는 루푸, 자기 형을 시기, 질투하는 불페, 장난삼아 남에게 고통을 가하는 걸 즐기는 벨디에, 그런 벨디에를 솔선수범 돕는 비타.(174쪽)
인간은 무릇 다 사기꾼이야. 서로가 서로를 속이지. 그러나 무엇보다도 딱한 것은 자기기만이야. 극도로 잔악한 범죄를 저지르고 나서 범죄자 왈 [전 결백합니다.] 심지어는 하느님 앞에서까지도 그걸 유겨대는 형편이거든. (175쪽)
세상일이란 어쩔 땐 걷잡을 수없는 방향으로 나가기도 하지. 인간의 선량함에만 의지하다 보면 속는 경우도 더러 있으니까.(201쪽)
전쟁이 단지 고통, 공포, 비참함이라고 주장하는 자들은 전투의 진미를 모르고 있지. 그건 환희, 명예, 부귀영화, 무아경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물론 자신이 승리 편에 섰을 때.(228쪽)
내 말을 듣도록 해야했다.(280쪽)
 
뭔가 거창하고 복잡해 보이는 문구들이 많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이 책은 마지막 인용구 "내 말을 듣도록 해야했다"로 집약된다.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향해서든, 또는 나의 편안함을 위해서든 이것은 인간사의 왠만한 것들을 다 설명해주고도 남는다고 생각된다. 내 말을 듣도록 만들어주는 위치에 서고자하는 욕구가 바로 권력욕이 된다. 그리고 그 가능성을 가장 크게 만들어주는 것이 폭력이다. 전쟁은 폭력이 국가간으로 확대된 경우이다. 하지만 그 근간에는 말을 듣도록 하겠다는 생각이다. 이것은 어린왕자의 길들이기와 사뭇 다르다. 소설은 길들이기와 다른 폭력과 결부된 권력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소름끼치도록 현실과 역사 속에서 관찰되어지는 것들이다.
과연 권력욕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인간이라는 존재는.
그 욕망으로부터 자유롭기 위해서조차 인간은 싸워야만 한다. 자신과. 그리고 그 권력욕에 눈이 뒤집힌 사람들과. 그 부조리가 역사를 만들어왔는지 모르겠다.
현실의 FTA 진행과정도 이 그림 속에 집어넣어질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