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범의 파워 클래식 1 -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고 아무도 시도하지 못했던 신 클래식 강의
조윤범 지음 / 살림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격과 기발함으로 무장한 음악계의 괴물', '폭발적인 반응' '뛰어난 글솜씨'라는 수식어 때문인지, 내가 국문학 전공자라 읽은 글들의 '글솜씨'나 '괴물'같은 정도가 높아서 그런지, 글은 그냥저냥하다.  

그래도 별 세개라는 범작 수준이 아니라 별 네개를 주게 된 것은, 이 책이 소개하고 있는 음악가들의 삶이 새로웠다기 보다는, 이 책을 통해 콰르텟엑스의 음악에, 콰르텟엑스가 재해석해낸 클래식에 접할 수 있었기 때문이고, 이들의 음악은 단연 별 다섯개이기 때문이다. 

콰르텟엑스의 앨범은 필청, 그 후에 이 책을 봐도 좋다. 이 책을 읽으며 과도한 카피에 비해 실망했다면, 그 후에 앨범을 들어볼 것.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얼마전에 강유원 선생이 공개적으로 내 글솜씨가 형편없다고 비판했는데, 내가 생각해도 석사논문 쓴 이후로는 서평에 공을 안 들이고 드라이하게 쓴다. 쩝; 2006년 이전의 서평들은 하나의 '글'로 썼다면, 그 이후는 그냥 끄적이고 말뿐. 그래도 적어둔다는 일념하에 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04-08 23: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4-09 00: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4-22 15: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4-22 15: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벤야민의 이 글은 폴드만의 응답과 데리다의 해체적 읽기를 통해 재사유되는 고전의 지위를 획득한 글이다.  읽으면서 그럴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해당 텍스트의 언어를 번역자의 언어화하는게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언어가 외국어를 통해 강력하게 영향을 받도록" 하는 것이라는 논의는 충격적이기 까지 하다. '한국어'스러운 번역이 아니라, 오히려 '일본어' 스러운, 또는 '영어' 스러운 번역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의 전제에는 벤야민의 언어관이 있는데, 그는 '순수언어'라는 것을 상정해서, 번역의 과제는 해당 작품의 '순수언어'를 번역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언어들은 모두 근친성을 지니고 있고, 이의 근원에는 "표현할 수 없는 말, 창조적인 말로서 모든 언어 속에 의도된 것" 인 순수언어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언어를 번역하는 것은 그 언어가 속해있는 문화 전체를 번역하는 것이며 동시에 하나의 언어체계를 확장하는 일이된다.  

이 논의는 벤야민의 '순수언어'라는 개념을 의문시하더라도(이는 랑그-빠롤이나 이데아-사물같은 이분법을 연상케한다.) 충분히 유의미한데, '한국어스러움'이라는 것, 그 순수성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서 반성케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무성의하거나 무책임한 '오역'을 두둔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다만 한국어로 '잘 읽힘'만을 지상과제로 설정하는 것에 대해, 그 전제에 대해 질문하게 만드는 힘을, 벤야민의 위 텍스트는 갖고 있다. 

 * 근 몇년 사이에 출간되고 논의되기 시작되는 번역관련 글들 

 

 

 

6월에 벤쿠버에서 열리는 한국문학 작품 번역 워크숍에 참석해야 한다. 공식적으로 내가 무엇인가를 발표하게 될지는 잘 모르겠으나, 비공식적 잡담은 꽤나 많이 떠맡아야 할 위치에 처하게 될 것 같다. '번역'에 대해서 나름의 관점을 정리해야 될 필요를 느낀다. 이를 위해서는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한국에서의 번역관련 담론들 (번역관련 학술지나 학회도 포함해서)은 물론 번역에 관한 철학적 담론이나 번역학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정리를 해야 될 것 같다. 헐; 언제 하지? -_-; 

 

(최근 책 두권, 많이 논의되는 책 두권정도 우선 골라본다.. ㄷㄷㄷ 원서로 최근책도 몇권 포함...)

 항상 한국문학 전공하는 젊은 국내학자들이 외국학자들에게 아무 말도 못하게 고개만 끄덕여서 답답하다고 노학자들에게 꾸중을 들어왔었기 때문에서라도, 이번에는 가서 말을 많이 할 필요를 느낀다. 뭐, 노학자들이 그렇게 꾸중을 해서 말한다기 보다, 나로서는 이번이 석사학위 취득(-_-)후 처음 학회에 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실컷 있는말 없는말(?) 다 하고 올 예정이다;;; 

그러려면 공부할 것이 산더미인데... 쩝. Of course you guyz have read 벤야민~ 하면서 이야기내 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임슨 스터디. 언제나 왠지(-_-; ) 하고 싶었던 제임슨 스터디를 시작했는데, 역시 제임슨 읽어내기가 만만치 않다. 

서론 13페이지 읽는데 한시간은 걸린 듯. 결국 무슨말을 하고 싶은지도 잘 감이 안 온다 -_-a 

우선 현재의 상황이 한편으로는 modern을 부정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modern을 긍정하고 있고, 거대담론의 부정 또한 또다른 거대담론이고, 서사 개념을 부정하는 것도 서사로 볼 수 있고, 역사의 종말 이후 어떻게 정치적 미래를 그릴 수 있겠는가 하는 것 등. 복잡하게 들어가고 실제 분석의 예는 거의 없다. 역시 계속 오세영 선생님의 근대/현대/탈현대의 말끔했던 개념 규정이 떠오른다. ㅎㅎ 

 

 

 

어쨌든 흥미로운 지점은 탈근대를 농업의 산업화 (즉 전통적 소작인의 붕괴)와 무의식의 식민화와 상업화 (즉 대중문화와 문화 산업)로 특징짓는 것. 

이렇게 복잡다단한 'modern'이라는 '단어' (concept이 아니라 word)가 어떻게 쓰이는 지를 살펴볼 것이라는 것. 그리고 이는 이 단어의 올바른 용법을 발견하거나 이를 개념하거나 제안하지도 않겠다는 것. 이러한 작업을 토대로 후기 근대라는 역사적 특정 개념으로 결론지을 것이라는 점. 

이는 단어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분석이라는 것.  

뭐, '포스트모던'이니 '모던'이니 하고 말이 많기 때문에, 이 '단어'의 이데올로기적 분석을 통해 당대 사상의 지형도를 그려내겠다는 것 같다. 

A Singular Modernity -essay on the ontology of the present 

라면 이제 '독특한 근대성' -현재의 존재론에 관한 시론  

정도로 번역이 될 것 같은데, 이것이 왜 '현재'의 '존재론'이 되는지는 약간 짐작이 가고

왜 이를 singular이라고 하는지, 이것이 데리다의 독특성 개념과 통하는 것인지는 읽으면서 정리해봐야겠다.  

쩝.. 제임슨. 내 사상적 방황과, 영어 실력을 키워주기를. 아, 제임슨 선생님!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사춘 2009-05-06 0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동안 공부를 하두 안 해서 낯설어요. ㅎㅎㅎ (개뻥임, 원래 낯설어함)
그간 결혼도 하시고 변화가 많으셨네요.
늦었지만 축하드리구요, 학문적 성취도 이빠이데쓰요~

기인 2009-05-06 06: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ㅎㅎ 산사춘님도 화이팅 :) ㅎㅎ

지나가는 사람 2011-12-14 12: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제임슨의 `singular modernity`에 대한 관심은 많은데 아직 보지 못한 사람으로서,
얼마 전 지젝의 `시차적 관점`을 읽다가 지젝이 제임슨을 인용한 구절을 보았는데
그게 이 책이더라구요. 거기서 제임슨은 탈근대에 대한 비판적 수용으로 새로운 근대(`대안적` 근대)를 주장하는 이들을 비판하기 위해 바로 singular란 용어를 선택한 듯 보입니다.
따라서 singular의 일차적 의미는 `단일한` 혹은 `하나의`로 해석하는 게 올바를 듯 합니다.
 

으어; 훈련소 들어갈 때도 이정도는 아니었던 것 같은데;; (뭐 공익이었기는하지만 ^^; ) 

결혼 10일 남으니, 잠도 잘 안오고,  

한편으로는 설레고, 한편으로는 싱숭생숭하고 ㅋ 

공부는 전혀 손에 안 잡히고, 복학 적응도 안되어서 어리버리한데..  

이거 원 참... 

 

이런 날 잘 믿고 결혼해주는(^^) 신부에게 감사할 뿐 ㅎㅎ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9-04-02 09: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참, 이거는 이거는 자랑질 페이퍼에욧. 축하해요.

Mephistopheles 2009-04-02 1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혹시 요즘 결혼하는 커플등 유행이라는 OS는 아니시겠죠?)

여울 2009-04-02 1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합니다.하하. 결혼전날 친구들에게 잡혀 밤을 새다싶이한 기억이 왜 나는건지. ㅎㅎ. 잘 치루시길. 바래요.

기인 2009-04-02 18: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감사합니다 :)
역시 메피님 저보다는 훨씬 젊으세요. 저는 무슨 말씀인지 이해도 안되요 ㅎㅎ ^^;

2009-04-02 23: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이매지 2009-04-02 2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오. 이제 유부남이 되시는거군요. ㅎ
괜히 아쉽네요 ㅋ
미리 축하드려요~~

기인 2009-04-03 1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메피님 다행(?)히 그렇지는 않아요 ㅎㅎㅎ
이매지님 ㅋㅋ :)

LAYLA 2009-04-03 18: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러워요 기인님
좋은 계절에 좋은님이랑 :)
신혼여행은 어디로 가시나요?

기인 2009-04-03 19: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ㅎㅎ 푸켓가요 ^^

2009-04-03 22: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4-05 15: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4-05 23: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바라 2009-04-07 0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혼축하드립니다^^ 아이구 부럽습니다 요새 내조의 여왕을 보니 아직? 어린 저도 약간 결혼이 하고 싶어지는군요 ㅎㅎㅎ

기인 2009-04-07 09: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헐. 그런건 '바라'지도 마세요 ㅋㅋ
 

이 중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과 "세계 시민적 관점에서 본 보편사의 이념"을 읽었다. 

특히 두번째 글에서 '자연'이라는 것의 의미를 분석해볼만하다. 의지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고, '신'이라는 것과도 비교해볼만하다. 이한구 선생이 헤겔의 개념들이 칸트에서 발견된다는 서문처럼, '세계정신'과도 상통한다.   

전자에 대한 훌륭한 '발제'로는 푸코의 "계몽이란 무엇인가?"라는 글을 들 수 있다. 이런 것이 진정한 의미에서의 '발제'가 아닐까. 세미나 때마다 이를 염두에두고, 이러한 발제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