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컨벤션홀로 통하는 로비는 비가 오는 내내 바람골을 만든 듯 춥다. 손님이 없을 듯 싶지만 기다림이란 그리 어설프지 않다. 몇 권의 책이 함께 있기 때문이다. 이수명의 <내가없는 쓰기>의 몇 개월을 읽다보니 벌써 여름 가까이 온 듯하다. 그러다가 빛과 실을 건네든다.



2. 


이런 뒷부분의 일기가 묘하게 겹친다 싶다.


<빛과 실>에는 글쓰는 작업을 위해 공개한 루틴이 나온다. 더 오래, 더 길게는 작가들의 로망이기도 하다. 헌데 공짜는 없다. 꽂힌 것은 스트레칭이다. 오십견을 겪은 뒤 느낀 것은 잔근육을 지나치게 움직이지 않았다는 깨달음이다. 


3. 


전시 뒤풀이를 못한 사위와 딸. 지난 비내리는 주말 틈을 타 일정을 잡고 함께 한다. (어머님과도 한잔) 음주에 대한 흑역사를 거침없이 말하는 제멋대로 여사 앞에서 얼굴도 화끈거린다. 하지만 없는 사실도 아니니 어찌할 수는 없다. 짬을 내서 달려주지만 많이 마신 술에 장사는 없다. 여독에 더해진 일정이 말해준다 싶다. 그림 작업 역시 노동이 들어간다. 과한 작업을 하면, 노가다처럼 쓴 막걸리 한잔 해줘야 마무리되는 것이 일상처럼 되어간다. 문제는 말미의 기분이다. 몸은 넘지 않았다하지만, 시간은 정신승리 편이 아니다. 그렇게 술병은 생기고 다음날의 밀도와 농도는 구멍이 생기고 허술해진다.


4. 


몸의 무게가 내려오다가 증권차트처럼 오르내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한 점을 내려오기 위해 얼마만큼의 강도와 길이가 필요하지도 지난 몇 달간 과정으로 배우게 된다.  조금 더 내리기 위해서 하는 글쓰기도 일환의 하나다. 하지만 달리기도 노동이다. 마지막이 문제다. 매듭을 어떻게 지어주느냐다. 절주의 요령이다.


조금은 비겁해지기로 한다. 어제 숯불꼼장어 뒤 얼큰라면이 문제였다고 말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상은 흐른다. 익숙한 풍경과 반복되는 움직임 속에서, 우리는 쉽게 스쳐 지나간다


 그러나 나는 그 흐름들을 잘게 쪼갠다. 찰나의 감각들을 나누고, 분해하고, 다시 바라본다. 분해된 감각들은 홀로 남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연결을 찾아 다시 엮인다. 이 과정이 곧 작업이고, 탐구이며, 존재의 방식이다


미세한 기울기로 일상의 세밀한 결들을 포착한다. 사라지는 소리의 여운, 빛의 흔들림, 손 끝에 스치는 촉감, 이렇게 마주치는 감각들은 쌓이고 이어지며, 그 자체로 만들어진다


분해가 곧 낳음이 되고, 나뉨이 곧 창조가 되는 역설 속에서, 자신을 발견한다. 움직임은 순간의 연속이지만, 그 순간을 무한히 나누다보면 정지한 듯 보인다. 그 정지된 찰나 속에서 무한한 변화를 포착한다


일상을 미분하여 분리된 조각들을 다시 잇고, 그 연결 속에서 의미를 만들어낸다. 작업은 의도와 우연을 넘나들며, 규칙 없는 질서 속에서 완성된다. 미분한 일상은 끝없는 과정의 연속이며, 이것이 존재하는 자리이자 내가 되어가는 방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5-05-15 15: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여울 2025-05-15 15: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금요일 오후 토요일은 가능한 한 현장에 대기하려 합니다. 연락주시면 더 좋은 관람되실거예요
 

 ai 영상작업에 푹 빠져있는 친구가 오토바이를 타고 여기까지 내려오다. 6시간 가까이 운전을 한 셈이다. 그 친구는 동해 바다를 찍으며 우회해서 다시 대전으로 갈 것이다. 그 친구는 어른 김장하 영상을 보며 평범한 사람들이 세상을 지탱하고 있다는 대목에서 펑펑 울었다고 한다.


그 친구의 선민의식에 늘 불만이 있었다. 말은 하지 못했지만 , 늘 더 낫다라는 엘리트의식이 배여있는 벗이다. 그 간극, 간격에 말걸지 못하고 있는 것이 근 삼십년 지기의 한계이기도 한 것이다. 진보를 자부하는 자들을 의심해야 한다. 나는 더 알고 있다라고 자부하는 자들도 조심해야 한다. 왕년을 벗삼는 친구들은 더 심하다.


깨달음은 자신을 바꾸기도 한다.

하지만 잠시의 깨우침이었을 뿐, 다시 타성을 갖고 제자리로 돌아가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이 친구와 나의 공통점은 이제 겨우 확인된 것이다. 새로운 것을 좋아하고 푹빠져서 온도를 높이는 과정을 즐긴다는 것이다.


나무밴드 30주년 공연을 올해 준비한다고 한다. 여유와 설빈, 인효인상 등등이 그가 키워낸 제자들이기도 하다.


일상을 채우다보면, 일상을 채워 넘치게 하다보면 주변을 활짝 피우기도 할 것이다. 선민의식을 버려야 할 것이 아니라, 의식하지 않는 자연스러움만이; 추종하지 않게하는 힘이다. 모두는 나보다 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랍 안에는 새 것과 쓰던 것이 있다. 늘 애용하는 쓰던 것의 라벨이 떨어지자 새 것을 사용해본다. 그런데 정이 가지 않는다. 손톱의 부분이 잘리거나 날라가기에 불안하다. 낡은 것은 적절한 힘으로 또각또각 온전한 손톱모양을 유지하며 잘린다. 자르고 난 뒤 한번만 다듬기로 굴려주면 맵시도 있고 완벽하다. 모아 버리기도 수월하다.


전시를 준비하면서 여러 경로 가운데 알맞은 길을 찾으려고 노력중이다.  그림 카드를 만들고, 전시홀별로 자석식 도면도 만들어 둔다. 캔버스별로 라벨을 달고, 투명상자도 구입해 따로따로 넣어둔다. 그러기 위해서는 있는 것들을 또 다시 확인하고 분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흐뜨러뜨리고 다시 기억을 살리는 작업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관계들도 그러할 것이다. 경도된 결과에 어처구니없이 버려진 과정들. 여러 경우의 수의 과정들이 있던 것이다. 왜 그 관계가 어그러졌을까. 미리 예비하는 징조들이 있었을텐데, 왜 눈에 들어오지 않은 것일까. 지난 과거의 기억들을 흐트러트린다. 


지난 번에 읽은 책이 로르동이다. 분명 여성분이구나 했는데, 새 책을 보니 남성이다. 지난 번 느낌적 느낌이라는 단어를 새기면서 다시보게 되는 책이다. 그래서 화이트헤드의 느낌의 위상학이라는 책을 건네들기도 했다. 


과정이 실재다


이상사회라는 것은 없다. 그렇게 결과에 집착되는 세계는 없다.

영원한 과정만 있을 뿐이다.
















볕뉘


잘 짤리지 않는 손톱깎이를 사랑한다. 온전한 과정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