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먼 옛날, 호랑이가 막 담배 피우고 그러던 시절의 일이다. 영어 이름이 필요했다. 완전 발음하기 쉬운 경우라면 그럴 필요가 없지만 가능하면 영어 이름을 지어오라 했다. 영어 이름이라…
떠오르는 건 톰과 제인. 철수와 영희. 그 외에는 떠오르는 이름이 없었다. 아… 어쩌나. 이제야 생각하면 내 이름의 음차를 생각하면 ‘제인’이 좋은 선택이기는 하다. 아, 제인이라니. 제인... 뭔가, 무언가 특별한 무언가를 찾고 싶던 나로서 ‘제인’은 받아들일 수 없는 선택지였고. 그땐 '제니'라는 이름을 모를 때여서 ‘제니’를 쓸 수도 없었다. 알든 모르든 제니는 쓸 수 없다, 이제는. 제니는, 이제 이 지구상의 제니는, 오직 이 제니뿐이고.

외고 나온 친구들은 샤넌이라니, 이사벨라니, 부르기 쉽고 세련되고 예쁜 이름으로 속속 등장하는데, 시간은 흐르고 떠오르는 이름은 없고. 그때 갑자기 떠오른 사람이 당시 텔레비전에서 보았던 이 사람. 강하고 쎈 인상의 기자, 클락 켄트의 직장 동료, 슈퍼맨의 그녀. 그래, 그 이름으로 하자, 그 이름으로 해야겠어. Lois.

로이스로 정했다. 로이스로 하자, 내 이름을. 근데 내가 정하면 뭐 할까, 누구든 내 이름을 불러줘야 되는데… 아무도 안 불러줘, 내 이름을. 이름 정해오라던 교수는 내내 발음하기도 어려운 내 이름을, 이상한 발음으로 불러댔고. 그나마 다행인 것은 나를 많이 부르지는 않았다는 것. 로이스라 불리지 않은 채로 그렇게, 졸업을...
심사숙고해 고르고 고른 이름이었으나 불리지 못했던 내 이름 Lois가 <바닷가의 루시>에 나온다. 물론 전작(이라고 내가 생각하는 <오, 윌리엄!>)에도 나온다. 유일한 아이라 생각하고 자랐던 윌리엄은 70이 다 된 나이에, 누나의 존재를 알게 된다. 평생 동안 알지 못했던 어머니 캐서린의 비밀. 캐서린은 윌리엄의 아버지를 만나기 전, 동네의 농부와 결혼한 상태였다. 전쟁 포로로 캐서린의 동네에 잠시 머물게 된 윌리엄의 아버지에게 반해 자신이 살던 고향을 떠나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그녀가 떠난 것은 감자밭을 일구던 남편만이 아니라, 그와의 사이에서 낳았던 두 살 된 갓난 아기, 그녀의 딸아이 Lois였다. <오, 윌리엄!>에서 생전의 캐서린을, 그리고 남겨진 윌리엄을 만나길 거부했던 로이스는 <바닷가의 루시>에서는 윌리엄을 만난다. 코로나 상황의 그를, 자신의 동생을 걱정한다. 행복한 만남이, 따뜻한 재회의 시간이 이어졌다. 로이스는 동생을 끌어안고, 마침내 윌리엄은 누나를 발견했다.
지난주 토요일에 집회에 나가기는 했는데 이런저런 사정으로 짧게 찍고만 왔다. 매서운 바람을 모른 체하며, 차가운 바닥에 줄 맞추어 앉아 계신 분들에게 미안하고 고마웠다. 거리에 나가면, "윤석열을! 파면하라!"을 몇 번이나 크게 외치고 나면 마음이 조금이라도 가벼워졌다. 누구를 위해서가 아니라, 그러니깐 나라를 위해서가 아니라, 나를 위해서. 나를 위해, 나의 정신건강을 위해 안 갈래야 안 갈 수가 없었다. 새로운 아침을 맞으면, 마음이 다시 무거워지고. 밤의 기도는 아침에도 이어졌다.
선고 날짜가 잡혀서 얼마나 기쁜지 모르겠다. 이제 아무도 나를 로이스라 부르지 않을 테지만, 이제 나는 로이스가 될 수 있을 것 같고, 루시가 될 수 있을 것 같고, 크리시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어쩌면, 윌리엄이. 나는 윌리엄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금요일이 기다려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