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전쯤이던가, 근처 도서관에서 주차를 하다가 화단 벽을 받아버렸다. 화단은 멀쩡했고 내 차에만 벽돌색 스트레치가 선명했는데 아픈 마음은 차치하고 어쩌다 이랬나 하는 생각에 크게 상심했다. 화단이 낮아 보이지 않기도 했지만 그래도 ‘삐삐’ 소리가 들렸을 텐데. 급하지도 않았고 워낙 천천히 후진하는 나인데 이게 정말 웬일인가. 나중에 생각해 보니 그때 음악을 틀어놓고 있었던 것 같다. 김동률을. 무려 김동률을.
후진만 안 되는가 전진할 때도 김동률은 안 된다. 운전할 때 자세는 앉아 있는 자세다. (이미 아시는바) 오른발로 차의 전진과 멈춤을, 핸들로 방향을 조정한다. 실제로, 차는 스스로 움직인다. 브레이크에 발을 올리고 (주로 브레이크에 발 올려놓는 사람), 엑셀을 살짝살짝 밟아가면서 핸들을 양쪽으로 살살 돌리면, 차는 스스로 잘도 간다.
김동률의 노래를 듣는다. <답장>의 8번 트랙, <Contact>. 멈춰버린 것 같은 3초가 흐르고 김동률이 말한다.
널 첨으로 스친 순간
절로 모든 시간이 멈췄고
그때, 김동률의 목소리가 내 귀에 닿는 순간, 어깨에 힘이 빠진다. 핸들을 잡고 있는 팔꿈치를 지나 손목, 그리고 손가락 끝을 거쳐 내 몸의 어떤 힘이 내게서 빠져나가는 것을 느낀다. 내 몸 안의 모든 힘들이 빠져나가고 있다. 그리고 2분 12초.
네가 나를 만지면 그 작은 울림에 쏜살같이 멀리 튕겨서
빛이 다른 공간에 한없이 떠돌다 타버릴지 몰라
널 놓치지 않게 나를 잡아 줘
김동률이 노래할 때, 나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사람이 된다. 깃털처럼 가벼워진다. 0그램이 된다. 이언 맥큐언의 『속죄』 (많은 분이 읽지 않으셨기를)의 ‘서재 장면’ (많은 분들이 기억하지 못하시길) 속, 토미가 된다. 내가 했던 모든 약속을 파기해 버리고 싶다. 내가 했던 모든 계획이 수포가 되었으면 좋겠다. 내가 꿈꿨던 모든 시간이 다 사라져 버렸으면 좋겠다. 토미가 서 있는 낭떠러지에 내가 서 있다. 김동률을 들을 때마다 나는 그런 기분에 사로잡힌다.
어디에선가 우울증 초기 증세 중 하나가 같은 노래를 반복해서 듣는 거라고 하던데, 나는 십 년 전부터 그랬다. 나는 노래를 딱 하나, 앨범에서도 딱 하나만 듣는다. 물론 전체를 다 듣고, 그 노래가 바뀌기도 하지만, 듣는 노래는 딱 하나이고, 그 하나를 들을 때는 딱 그 노래 하나만 듣는다.
여기까지다. 컴퓨터에 이렇게 써놓은 게 몇 달은 되었고, 김동률 음반을 넣어 페이퍼로 써야지 생각하고 있었다. 지지난 주에 도서관에 갔다가 ‘책추천 친구 ‘북트럭’을 만났고, 『한낮의 우울』을 뽑아왔다. 예전에 가까운 사람 중 한 명이 내게 ‘나, 우울증 같아. 나 우울증 걸린 것 같아’라고 말할 때, 알 수 없는 죄책감을 느꼈다. 궁금했다. 우울증 증세가 있는 사람이,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이 ‘나, 우울증 있어’라고 말할 수 있는 건가. 자신이 그걸 인지할 정도면 우울증이 아닌 거 아닌가. 그 물음에 대한 답을 찾고 싶었다. 친한 친구가 ‘갑자기 우울함이 확 밀려왔어’라고 자주 말하기에 그 친구를 더 이해할 수 있을까 싶어 책을 대출했다.
어떤 사람은 훨씬 더 쉽게 우울증에 빠지게 되는 게 정말 뇌 혹은 호르몬과 관련이 있는지 알고 싶었다. 의사를 만나고 약을 처방받고 제대로 관리하면 정말 증세가 호전될 수 있는지 알고 싶었다. 노력해서 나을 수 있는 게 아니라면 영원히 나을 수 없다는 건지 궁금했다. 그러니까, 1년에 350일 이상 명랑한 나는, 다른 사람을 위해, 친구를 위해 이 책을 읽어봐야지 했다. 그 사람들을 이해하고 싶어서. 솔직히 말하면 그 사람들이 ‘우울함’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고 싶어서. 그들의 우울함이 내게 무거워서. 그런데 이 책을 읽다 이런 구절을 만났다.
우울증 환자들은 고통에서 광기로의 이행을 묘사할 때 항상 "벼랑 끝에서 떨어진다"는 표현을 쓴다. 이것은 매우 물리적인 묘사로 심연으로 떨어진다는 의미를 함축하는 경우가 많다. 벼랑 끝은 실제로 극히 추상적인 은유이기 때문에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한결같이 그런 표현을 쓴다는 건 놀라운 일이다. 벼랑 같은 데서 떨어져본 사람은 거의 없으며 심연으로 떨어진 사람은 더욱 없다. 그랜드 캐니언? 노르웨이의 피오르? 남아프리카의 다이아몬드 광산? 심연은 발견하기조차 어렵다. 사람들에게 심연에 대해 물으면 거의 일치된 대답이 나오는데 그 첫째는 암흑이라는 것이다. 심연으로 떨어지는 것은 햇빛으로부터 캄캄한 어둠으로 떨어지는 것이다. (38쪽)
김동률을 들으면서 내가 느끼는 막연함, 그 아득한 느낌이 우울증 환자들이 그들의 절망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비유와 정확하게 일치한다는 걸 알게 됐다. 그러니까, 내게 김동률은 나의 미세한 우울함 상자를 여는 비밀 열쇠라고 할까. 김동률을 들으면서 생각한다. 그런 걸까. 정말 그런 걸까. 김동률을 들으면 난 더 우울해지는 걸까. 책을 조금 더 읽어보고 싶은데 도서관 책이라 어제 자기 집으로 돌아갔다. 3일 뒤에 찾아오리. 알아보리. 꼭 밝혀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