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하고 더하다'

돌을 쌓은 축대 위에 흙을 이겨 올리고 나무를 얹었다. 사방을 두르고 겨우 틈하나 냈다. 숨구멍이다. 지붕까지 이었으니 어엿한 공간이 되었다. 나머지는 벼랑이다.


그대와 내가 사는 사람 세상도 별반 다르지 않다. 스스로도 알지 못하면서 남들만 모른다고 모두가 아우성이다.


여전히 구름을 이기지 못하여 지친 해가 버거운 시간의 강을 건너고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6-04-20 14: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콩배나무'
하늘거리는 하얀꽃잎이 봄볕에 눈부시다. 매력 포인트 유난히 붉은꽃술이다. 그 속에 콩만한 배가 담겨있단다. 이른 봄숲에서 만날 수 있는 흔하지 않은 모습 중 하나다.


한국이 원산지로 낙엽지는 키작은나무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가지에 가시가 있으며, 흰색 피목이 있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피고 짧은 가지 끝에 5∼9개씩 달린다. 꽃잎은 5개이고 둥글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다.


열매는 작고 둥글며 10월에 녹색을 띤 갈색에서 검은 색으로 익는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녹리(鹿梨)라는 약재로 쓴다.


우리가 먹는 과수원의 배의 원종이라고 한다. 과일로 개량되기 이전의 원시종이라는 말이다. 야생배 종류 중 하나인 돌배보다 훨씬 작다. 콩만한 배라고 해서 콩배라고 한다.


유난히 붉은 꽃술 때문일까 '온화한 애정'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봄을 탓하며'

해도 늦장부린다. 어제밤은 늦도록 달이 지붕에 걸려 헤메더니 아침엔 해도 구름을 헤치고 나올 기력이 쇠잖해진 걸까? 덩달아 봄날 아침을 맞이하는 마음이 착 가라앉는다.

다ᆢ봄, 네 탓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탱자나무'
바람앞에 연약한 꽃잎이다. 쉴새없이 흔들리며 햇볕에 빛난다. 지켜야하는 할 몫이 있어 가시를 달았다. 하지만 가시로는 다 지키지 못함을 알기에 순박한 꽃잎을 더 달았는지도 모르겠다. 하얀 꽃잎에서 노오란 탱자향이 난다.


중국 원산이며 우리나라는 경기도 이남에 분포하는 낙엽지는 나무다.


날카로운 가시가 특징이어서 귀양 온 죄인이 달아나지 못하도록 하는 산울타리로 사용했고, 민속에서는 저승의 사자를 출입 못하게 막기 위해 울타리에 심기도 했다.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자루가 없고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 떨어진다.


열매는 둥글고 노란색이며 9월에 익는데, 향기가 좋으나 먹지 못하지만, 한방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약재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은 약용식물이다.


지금은 거의 사라져 찾아보기 힘든 나무가 되었다. '추억'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의 저널리스트 '김홍도'
-이재원, 살림


"네 붓끝에 내 꿈을 실어도 되겠느냐? 네가 내 눈과 귀가 되어 서민들의 서민들의 숨결을 빠짐없이 그려오라"


'정조의 이상정치 그림으로 실현하다'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예학 군주 정조와 풍속화의 대가로 주목받는 화원 단원 김홍도의 관계를 통해 정조와 김홍도를 함께 본다.


김홍도를 이야기 하나 그 중심에 정조의 백성을 위하고자 하는 정치철학이 있고, 정조를 주목하지만 김홍도의 그림에 대한 재능과 열정이 있다. 이 책은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고자 한다.


그동안 단편적인 그림을 중심으로 만났던 김홍도를 저자 이재원의 독특한 시각으로 만날 수 있는 기회다. 나를 김홍도에게로 안내했던 오주석의 김홍도와 무엇이 어떻게 다를지 사뭇 궁금하다. 첫장을 펼치기가 머뭇거려지는 이유가 바로 이 책이 가져올 큰 설렘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