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의 귓속말
이만근 지음 / 나비클럽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월이 남긴 풍경 속으로 

봄볕엔 특유의 리듬이 있다매서운 겨울의 눈보라를 이겨낸 여유로움과 펼쳐질 앞날에 대한 기대가 조심스럽게 기지개를 펴는 계절의 속내가 아지랑이의 그것과 닮았다스멀거리듯 피어나는 자잘한 리듬은 요란스럽지는 않지만 가라앉은 마음을 깨워 바람결에 실려 오는 온기를 느끼기에 충분한 여유로움이 있다.

 

봄볕의 그 리듬과 꼭 닮은 문장을 만난다펼쳐보는 페이지 마다 틈으로 스며드는 봄바람의 설렘이 있고틈과 여백이 주는 여유와 넉넉함이 리듬에서 전해지는 온기를 닮았다길지 않은 문장을 무리 없이 건너기에는 긴 호흡이 필요하다저자가 꺼내놓은 속내가 가볍지 않지만 봄날 나들이 하듯 다소 느긋한 발걸음으로 함께 걷기에도 좋다.

 

이만근의 책, ‘풍경의 귓속말이다풍경은 나를 배재하고는 존재할 수 없는 영역이다언 듯 나와는 상관없이 보이는 것처럼 인식될 수도 있지만 어떤 정경이나 상황이든 산이나 들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이든 나와 밀접한 관계를 맺을 때 비로소 풍경이 된다그 속에서 듣게 되는 귓속말은 봄날 아지랑이가 전하는 온기와 닮았다.

 

"사람도물건도옷도마음도말도소설이나 시를 짓기에는 성격상 민망해서최소한의 문장만 남겨진 글들로 이루어진 책이다애초에 무엇이 되기 위해 꿈꾸지 않았던 기질이 빚은 문장은 그의 삶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나를 둘러싼 풍경에서 나와 비슷한 또는 나와 다를 무엇인가를 하나씩 들어내다 보니 남은 결정체가 최소한의 문장으로 남아 민낯의 나와 마주하는 순간을 만난다면 이와 같을지도 모르겠다짫은 문장 하나에 넘어져 일어나기까지 봄이 가진 시간을 다 써야할지라도 기꺼이 그 안에 머물고 싶은 것은 계절에서 풍경으로 바뀐’ 이만근의 귓속말이 품고 있는 온기 때문일 것이다.

 

스스로에게 걸려 넘어지지 않고 세상과 자신을 돌아보는 저자 이만근의 섬세한 마음에 온기 가득한 편집자의 배려가 만나 따뜻한 책으로 태어났다익숙해져버려서 더 이상 온기를 전해주지 못하는 풍경을 새롭고 낯설게 볼 기회를 펼쳐 놓았다책 속에서 가다 멈추기를 반복하는 사이 봄이 여물어 가겠다.

 

아무것도 되지 못한들 어떤가누구나 세월이 되지 않습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