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으로 박완서를 읽다
김민철 지음 / 한길사 / 2019년 11월
평점 :
박완서에게 꽃은?
좀딱취가 피는 늦가을부터 매화가 피기 이른 봄까지 제법 긴 시간동안 꽃을 보지 못한다. 이 시기를 꽃궁기라고 부르는 이들이 있다. 산과 들에 핀 꽃을 찾아다니는 이들이다. 이 꽃궁기에 꽃친구들은 일 년 동안 찍어둔 사진을 꺼내보거나 식물도감이나 사전 등을 끼고 꽃을 보지 못하는 마음을 달래기도 한다. 나 역시 그 범주에 들어가는 사람으로 꽃궁기를 심심하지 않게 건너갈 놀이감을 발견했다.
‘문학 속에 핀 꽃들’, ‘문학이 사랑한 꽃들’, ‘서울 화양연화’ 등으로 이미 익숙한 김민철의 ‘꽃으로 박완서를 읽다’가 그것이다. 박완서와 꽃, 절묘한 조합이다. 이를 발견하고 간추려 새로운 이야기를 꾸려가는 저자 김민철의 혜안이 부럽다. 꽃에 관심 갖고 공부하며 산과 들에서 직접 보는 것과 그를 기반으로 작품 속 꽃 이야기를 하는 것이 상통하는 무엇이 분명 있겠지만 문학적 소양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기에 산들꽃을 찾아다니는 나에게는 부러움의 대상이다.
‘그리움을 위하여’-복사꽃, ‘거저나 마찬가지’-때죽나무, ‘아주 오래된 농담’-능소화, ‘그 남자네 집’-보리수나무, ‘그 여자네 집’-꽈리,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분꽃, ‘미망’-수수꽃다리, ‘친절한 복희씨’-박태기나무 등 24종의 작품을 이런 조합으로 이미 연결된 박완서와 꽃을 새롭게 조망화고 있다.
작가 박완서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꽃이 작품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꽃이 지낸 의미를 확장하여 문학 작품을 이해하는데 보다 풍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문학에 대한 내공이 쌓여야 가능한 일이다. 여기에 꽃으로 대변되는 식물에 대한 이해도 역시 갖추어야 가능해지는 일이기에 저자 김민철의 열정과 노력에 심심한 응원을 보텐다. 문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동시에 꽃에 대한 흥미를 한층 더하게 만드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2020년 1월은 소설가 박완서 9주기다. 꽃이라는 테마로 작가의 작품을 새롭게 만나 그 지평을 넓히는 의미 있는 시간이며 동시에 꽃과 더 풍부한 이야기꺼리로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박완서에게 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로부터 시작하여 문학과 꽃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