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산수국'
짙은 녹음으로 물든 숲이 한순간 환해지는가 싶더니 여기저기 나비가 날아간다. 바람결따라 나풀거리던 나비는 어느 사이 꽃과 하나되어 다시 꽃으로 핀다. 그 꽃을 보기 위함이 초여름 숲을 찾는 이유다.


혼자 피어도 그 고고한 기품은 살아있고 무리지어 피어도 그 가치를 나누지 않고 더해간다. 그 꽃무리 속에 서면 나도 한마리 나비가 되는듯 몸도 마음도 한결 가벼워진다. 가뭄에 꽃들도 몸살을 앓고 있다 숲을 찾는 마음이 무겁지만 산수국 그 환한 마음으로 달래본다.


수국 닮은 꽃이 산에서 핀다고 산수국이다. 주변에 양성화가 달리는 탐라산수국, 꽃받침에 톱니가 있는 꽃산수국, 잎이 특히 두꺼운 떡잎산수국 등이 있다는데 산수국으로 통합되었다고 한다.


토양의 상태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것과, 헛꽃이 진짜꽃보다 화려하여 매개체를 유혹하는 것으로부터 연유한 것인지 '변하기 쉬운 마음'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광릉골무꽃'
곧추선 꽃이 단연코 돋보인다. 삐쭉거리듯 고개를 내밀고 있는 모습에선 호기심 천국을 연상하게 만든다. 우뚝선 이마, 무언가를 외치는듯 입 벌린 모습에 날렵한 잎까지 특이한 꽃이다. 큰 키에 꽃마져 높이 솟았으니 풀 숲에서도 확실히 눈맞춤할 수 있다.


광릉골무꽃이다. 골무는 어린시절 할머니가 바느질할 때 손가락 끝에 끼우는 바느질 도구로 눈에 익은 물건이다. 꽃받침이 이 골무와 닮았다고 골무꽃이라고 불리다. 광릉골무꽃은 광릉에서 처음 발견된 골무꽃이라서 광릉이라는 지역명이 붙여졌다.


골무꽃, 호골무꽃, 산골무꽃, 참골무꽃, 왜골무꽃, 애기골무꽃 등 종류도 다양하다. 분류의 기본이되는 몇가지를 알더라도 구분이 쉽지가 않다.


호기심 많은 개구장이들이 고개를 내밀며 여기저기 기웃거리는 듯 숲속의 풍경이 눈앞에 펼쳐진다. 그래서 일까. 골무꽃 무리들이 핀 숲에 들면 볼거리들을 찾아 두리번거리는 마음이 분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닭의난초'
삶의 터전을 옮기고 정신없는 한해를 보내고 난 후 시작된 숲 탐방에서 딱 한개체를 만난 후 두해동안 보지못해 안타까운 마음으로 사라진 꽃을 마음에 담았다. 다른 식물의 현황이 궁금해 찾아간 곳에서 뜻밖에 무리지어 잘 자라고 있는 모습을 보고 반가운 마음에 한참을 눈맞춤 했다.


주름진 녹색의 잎 사이에 황금빛색으로 유독 빛나는 꽃을 달고 아래로부터 차례로 피운다. 백색의 입술모양 꽃부리의 안쪽에는 홍자색의 반점이 유독 눈을 사로잡는다. 녹색과 노랑 그리고 하얀색의 조합이 매력적이다.


닭의난초라는 이름은 꽃잎 모양이 닭의 부리를 닮았다고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난초류에 제비난초, 잠자리난초, 병아리난초 등과 같이 동물이름이 많이 붙어있는데 동물의 특징적인 모습을 식물어서 찾아 짝을 지어 이름 부르는 것이 흥미롭다.


초여름의 풀숲 사이에 녹색이나 하얀색이 피는 다른 난초들과는 달리 특별한 색감으로 피어 '숲속의 요정'이란 꽃말이 잘 어울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광대싸리'
더위가 사나워질무렵 다소 무거운 숲의 공기를 가르며 걷는다. 찾고자 해서 보게되는 꽃보다는 우연히 눈에 띄는 꽃들이 많다. 자연스러움에서 조금한 벗어나도 금방 눈에 띄는 것을 지나치지 않으면 의외로 가까운 곳에서 다양한 식물들을 만날 수 있다.


가지를 둥그렇게 둘러싼 꽃을 층층이 피웠다. 한껏 무르익은 초록의 잎에 연노랗게 핀 꽃이 늘어진 가지와 서로 조화를 이뤄 주목 받기에 충분하다.


왜 광대싸리라는 이름이 붙었을까. 보통의 싸리와는 다른 종이면서도 잎이 싸리와 비슷해서 싸리로 오인하게 되므로 광대처럼 싸리를 흉내내는 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광대나물, 광대수염 등과 같이 광대라는 이름이 붙은 식물에서 그 유래를 유추해본다.


구럭싸리, 맵쌀, 고리비아리, 공정싸리, 굴싸리, 싸리버들옷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흉내'라는 꽃말은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족제비싸리'
꼬리 모양을 닮은 꽃뭉치가 우뚝 솟아올라 자잘한 꽃들이 하나씩 펼쳐진다. 색의 조화가 꽃을 한층 돋보이게 하며 한층 콧대를 높인 모양새가 예사롭지 않아 보인다.


족제비싸리라는 이름은 꽃대의 모습이 족제비 꼬리를 연상케 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다. 꽃 피는 모습을 보면 곧추선 꽃대가 족제비의 꼬리와 영락없이 닮았다. 동물 족제비 꼬리와는 색갈이 약간 다를뿐이다.


족제비싸리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배경에는 조선 후기 이후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황폐해진 산을 가꾸기 위해 들어온 아까시나무, 리기다소나무, 사방오리나무 등과 함께 1930년경에 들어왔다고 한다. 척박한 땅에서도 잘자란다는 의미일 것이다.


출퇴근길에 마주하는 고속도로 비탈진 사면에 자리잡고 늦은봄에 무리지어 꽃을 피우는 모습이 길가는 사람의 눈길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