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산다는 것은 뭘까?

시대의 사명을 온 몸으로 실천하는 사람, 인류의 운명을 바꿀 특별한 업적을 남긴 사람, 국제평화기구와 같은 단체를 통해 인류애 실천하는 사람, 있는 듯 없는 듯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 자신의 안위를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은 사람 등 사람들의 삶을 몇 마디 말로 규정할 수는 없다. 모두가 자신의 가치관에 의해 세상과 사람들을 바라보고 자신의 삶을 꾸려간다고 본다면 이를 구분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 차체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에 잘 산다는 것에 대한 규정 역시 대단히 어려운 문제라고 본다.

 

 

각자의 상대성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잘 산다는 일반적인 규정은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이 지점이 개인들의 삶을 구분하는 출발점이 된다. 보통의 경우 한 사람의 삶은 그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 보여주었던 행적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 의해 평가되고 규정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는 역사적 인물들을 평가하는 일이나 동시대 사람을 평가하는 일이나 동일 선상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동 시대 사람을 평가한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기에 역사 속의 인물들을 통해 그러한 부담감을 줄이면서도 사람의 tkaf을 통해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연암고전연구회에서 발간한 ‘선비의 길 원칙과 현실, 그리고 시대정신’을 중심으로 역사인물을 평가한 ‘나의 길을 가련다’는 의미 있게 다가온다. 조선시대를 살았던 스물 네 명의 삶을 들여다보고 그들의 삶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올바른 삶이 될 것인가를 유추해 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들은 보한재 신숙주, 사숙재 강희맹, 매월당 김시습, 화담 서경덕, 면앙정 송순, 퇴계 이황, 남명 조식, 북창 정렴, 사암 박순, 송암 권호문, 내암 정인홍, 율곡 이이, 송강 정철, 손곡 이달, 백호 임제, 어우당 유몽인, 교산 허균, 서포 김만중, 성호 이익, 청담 이중환, 연암 박지원, 청장관 이덕무, 다산 정약용, 매천 황현 등 대단한 인물들이다.

 

 

스물 네 명의 사람들을 그들의 삶을 통해 특징지을 수 있는 키워드를 선정하고 그 기준으로 그 사람의 삶을 재조명하고 있다. 그 키워드로는 처세(處世), 명예(名譽), 절개(節介), 격물치지(格物致知), 무욕(無慾), 겸양(謙讓), 경의(敬義), 겸허(謙虛), 염퇴(恬退), 관물(觀物), 충의(忠義), 언로(言路), 트라우마(Trauma), 고절(孤絶), 풍류(風流), 기간(奇簡), 진보(進步), 어머니(母), 실학(實學), 명당(明堂), 초탈(超脫), 탐독(耽讀), 민본(民本), 사기(士氣) 등이다. 이는 선비로 통칭 할 수 있는 사람들의 삶을 가르는 기준으로 삼을 만한 것들이라고 볼 수 있지만 시대를 불문하고 자신의 삶의 화두로 삼을만한 주제들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준은 물론 옛사람들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기에 현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평가에도 적용할 수 있어 ‘나의 길을 가련다’라는 책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역사책이나 드라마 등을 통해 우리에게 익숙한 역사 속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어느 한 시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후대의 다양한 평가를 모두 살핀다. 처세(處世)로 신숙주를 보는 것이나 진보(進步)로 허균을 탐독(耽讀)으로 이덕무를 보는 것 등은 익숙한데 초탈(超脫)로 박지원을 트라우마(Trauma)로 정철을 살핀다는 것은 의외다.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지니 보지 못했던 그 사람의 다른 측면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나의 길을 가련다’는 시대에 따라 그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이 달라지는 사람들에 대해 있는 그대로의 이야기를 반영하고 있어 나름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고도 보인다.

 

 

온전히 자신의 길을 가는 사람들은 잘 산 사람일까? 살아생전의 평가는 그 평가를 하는 사람들의 이해요구가 더 크게 반영되지만 죽은 뒤의 평가는 그 사람을 통해 얻고자 하는 다른 이해요구가 반영된다. 이렇듯 한 사람에 대해 올바른 평가란 애초에 무리한 것이 될 수도 있다. 그렇더라도 먼저 산 사람들의 삶을 통해 아직 살아있는 사람들이 배워야 할 삶의 교훈은 분명하게 얻을 수 있다. 대부분 분명한 정치적 삶을 살았던 사람들이기에 현대의 정치가들과 비교하여 이들을 통해 분명한 교훈을 얻어야 한다는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군가는 선운사를

다른 누군가는 오동도를

어떤이는 남해안 바닷가를

또 다른 사람은 ..

.

.

사람들은 자신의 그림움을 담아

봄을 기다리는 마음을 달래곤 한다.

 

육지를 향한 그리움으로

먼 바다를 건너온 바람이

붉디 붉은 속내를 가만히 내려 놓는 곳마다

꽃으로 피어난다.

 

간절함이 얼마나 사무친걸까?

붉은 속내를 가득 안고 피어나

목숨을 통채로 떨구고서도

멈출 수 없는건지

붉은 향기는

봄 바람에 자신을 내 맡기고 있다.

 

나에게 그 붉은 마음은

백수해안도로 한 모퉁이에서

툭...떨어져 나뒹굴던

그리움이었다.

 

지금도 그 자리에 그대로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텍스터[448]번째 책이야기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 이순자

내가 몰랐던 책 책이야기 텍스터(www.texter.co.kr)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 이순자
왕가란 무엇인가?
궁(宮)은 왕족이 사용하는 장소로 왕가, 궁집, 궁가, 궁방이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기능에 따라 잠저, 사당, 제택으로 나눌 수 있다.

잠저
잠저는 왕의 서열이 아닌 왕자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을 말한다. 만약 세자가 아닌 왕자가 왕위에 오르게 되면, 궁궐 밖에서 살다가 궁궐로 들어오게 되는데 이때 왕이 살던 옛 집을 ‘잠저’라 한다. 잠저는 《주역》에서 유래한 ‘잠룡(潛龍)’에서 비롯된 단어로 ‘잠겨있는 용’, 즉 ‘숨어 있던 왕이 즉위한다’는 뜻이다. 세조가 혼인하여 살던 영희전, 광해군이 살던 이현궁, 인조가 살았고 효종이 태어나 살던 어의궁, 영조가 살던 창의궁, 고종이 태어나 살던 운현궁이 잠저에 속한다.

사당
왕비가 아닌 후궁에게서 태어난 왕자가 왕이 될 경우 왕의 어머니는 왕비가 아니므로 죽은 후에 신주를 종묘에 모시지 못한다. 또 왕위 계승자가 아닌 왕자가 왕이 되었을 때 그 아버지도 마찬가지였다. 이 때문에 왕의 어머니와 아버지, 즉 사친(私親)을 모시는 사당을 궁이라 불렀다. 궁에는 어머니의 사당인 육상궁, 연호궁, 저경궁, 대빈궁, 선희궁, 경우궁, 덕안궁과 아버지의 사당인 도정궁, 경모궁, 누동궁이 있다.

제택
혼기가 차서 출가한 왕의 자녀들인 왕자가 살던 집과 공주나 옹주가 혼인 후 남편과 살던 집도 ‘궁’이라 불렀다. 그 예로 용동궁, 계동궁, 사동궁, 창성궁, 죽동궁 등이 있다. 그리고 왕가의 특별한 행사를 위해 지은 ‘별궁’으로 안국동별궁이 있고, 요절하거나 후사 없이 죽은 왕자와 공주를 위한 수진궁도 있었다.
◆ 참가방법
  1. 텍스터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먼저 해주세요.
  2. 서평단 가입 게시판에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서평단 신청합니다"라고 써주시고 간단한 서평단 가입의도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3. 자신의 블로그에 서평단 모집 이벤트(복사, 붙여넣기)로 본 모집글을 올려주세요.
  4. 자세한 사항은 텍스터 서평단 선정 가이드를 참고하십시오.
※ 문의 : 궁금하신 점은 lovebook@texter.co.kr 메일로 주시거나 텍스터에 북스토리와 대화하기에 문의사항을 적어주시면 빠르게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짧은 설 연휴를 마치는 시간 모처럼 시간 여유가 났다. 하고 싶은 공부를 위해 일찍 집에서 떨어져 생활하는 딸아이와 함께 곡성 집으로 가는 길에 나들이를 하기로 한다.

어디로 갈까? 

 

완도에서 곡성으로 가는 길, 추억이 남아 있는 곳을 골라 길을 나섰다. 보성 녹차밭으로 가는 길에 딸아이가 어렸을 때 함께 했던 그 시간이 떠오른다. 그때는 봄날 따스한 햇볕이 반겨주었는데...지금은 차가운 겨울 바람이 분다. 대한다원 입구에서 오른쪽으로 난 길을 따라 한국차박물관으로 올라간다. 시간이 지난 만큼 그때는 보지 못했던 시설들이 많이도 들어서 있다. 우리처럼 휴일을 맞아 나들이 온 사람들이 제법 있다. 산 골짜기에 자리잡은 한국차박물관의 넉넉한 품이 추운 겨울 따스하게 반긴다.

 

자동화된 입장권 구입에서 다소 생소함이 느껴진다. 사람의 손이 필요치 않고도 입장이 가능한 곳들이 이처럼 늘어 난다.  바닥에 난 발자국을 따라 들어선 곳이 차 문화관이다. 차를 이해하고 보성차를 비롯한 세계 차 산업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곳이다. 차나무는 실화상봉수라고 하여 꽃과 열매가 같은 시기에 한 가지에서 볼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 붙인 이름이다. 이를 바탕으로 화목을 상징하는 것이 차나무라고 한다.

 

차문화관에는 기본적으로 차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차와 인간의 몸에 유익한 점, 보성차의 현황을 비롯하여 세계 각국의 차 생산현황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차의 색과 맛, 향이 베오나는 듯한 사진들을 보고 있노라면 차한잔 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 진다.

 

 

 

 

 

1층의 차문화실을 나와 2층 차 역사실로 자리를 옮긴다. 고대부터 근 현대에 이르기까지 차의 발자취와 차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곳이다. 각종 차 도구가 실물로 전시되어 있어 도자기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주목 받을만한 곳으로 보인다. 특히, 일본에서 국보급 보물로 인정 받고 있는 보성덤벙사발이 시선을 사로 잡는다. 3층 차 생활실에는 일상생활에서 차를 마시고 즐겼던 세계 각국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또한 차와 함께 예를 배울 수 있는 차문화체험공간이 있어 저렴한 가격에 차 한잔 할 수도 있다.

 

전망대에 올라 멀리 보이는 율포 바다를 보며 바람에 실려 오는 봄 기운을 느껴 본다.

주변에 산재한 다원들을 둘러볼 여유가 있다면 더 넉넉한 나들이 길이 될 것이다.

 

한국차박물관

전남 보성군 보성읍 봉산리 1197

T. 061-852-0918

관람시간 : 오전 10시 ~ 오후 5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눈이 보배다.

그저 보는 것에 불편함이 없을 땐 무슨소린가 싶었다.

지금도 여전히 눈 앞에 펼쳐진 풍경을 보는 것은 자유롭고

그 덕분에 참으로 다양한 느낌을 얻고 깊은 감정으로

내 가슴을 다독인다.

 

하지만, 언제부터가 침침해지는 것을 느낀다.

오로지 그 좋아하는 책을 볼 때면 말이다.

그 덕에 오랫동안 읽지 못하고

너무도 자주 책에서 눈길을 거두어

창밖으로 눈을 돌려 한 숨 쉬게 한다.

 

그동안 책으로 눈을 혹사한 대가를 치르는 걸거다.

좋아하는 것을 하면서 망가지는 것을 알지 못하고

또는 무딘 감정이 이를 안이하게 바라봤던

그 대가가 혹독하다.

흐릿한 글자 사이를 더욱 집중해서 봐야하기에

더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고

그렇다보니 책에서 멀어지는 이 미련함을 계속하다

더 이상 미루지 못하고 보조눈을 마련하기에 이른 것이다.

 

영수증에 싸인을 해야 하는데 내가 쓴 글씨가 흐릿하다.

휴대폰 문자를 사용하는데도 저만치 거리를 두어야 가능하다.

이쁜 꽃도 자세히 보기위해선 멀리 봐야 한다.

이것만이 아니다.

이제 세상과 만나는 것에 다른 마음가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애써 가까이 두어야만 마음이 놓이던 것들이

이제는 적당한 거리가 필요한 것이다.

 

안경, 아니 돋보기

그것도 '노안'이라는 이유로

이젠 가장 가까운 벗이 되어야 하는 물건이다.

이 친구와 별 탈없이 사귀고

책과 세상과 만나야 한다.

 

가능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